언어와 언어학

김진우 · 인문학
51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전 학계는 이른바 언어학적 전향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이런 계기가 마련된 것은 물론 촘스키의 변형생성문법이론의 등장이었다. 쉽게 말하자면 이때로 와서는 언어학자는 더 말할 나위가 없고 철학자나 심리학자, 뇌생리학자, 인공지능학자와 같은 다른 영역의 학자들도 그의 언어나 문법이론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데 적지 않게 신경을 쓰게 된 것이다. 그런데 사실은 그의 언어나 문법이론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는 최소한의 언어학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크게는 어떤 언어이론이든지 간에 오늘날에 특별히 빛을 보게 된 것은 지난 2500년에 걸친 긴 역사의 배경이 있기 때문이고, 작게는 그 자신의 말대로 그의 언어이론은 19세기의 언어철학자인 데카르트의 그것을 물려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목차

? 서문__v 제1장 언어학사 연구의 의의와 접근법 - 최적의 개관성을 지향하며 1.1 필요성 1 1) 언어학사 연구의 난삽성 2 2) 언어학 정사의 출현 4 3) 이론 언어학의 기초 11 1.2 전 역사적 접근법 대 특정시대적 접근법 20 1) 학문적 심도성 21 2) 저술 대 편집 24 3) 서양 중심성 27 1.3 거시적 접근법 31 1) 두 축의 역사적 사실성 32 2) 기여성 37 3) 주도성 39 1.4 이론지향적 접근법 대 자료지향적 접근법 45 1) 역사주의의 재음미 46 2) 자료 우선적 경향 48 3) 이론지향적 접근법으로의 전환 가능성 58 제2장 고대 유럽에서의 언어연구 - 전통문법의 성립 2.1 두 가지 의의 68 1) 언어학의 잉태기 68 2) 전통문법의 발달 75 2.2 고대 희랍에서의 언어연구 84 1) 언어연구의 두 가지 동기 84 2) Thrax의 문법학 90 3) 희랍어 음운론의 탄생 94 2.3 고대 로마에서의 언어연구 99 1) 건국 초기의 라틴어 연구 99 2) Donatus와 Priscian의 문법서 106 3) 라틴어 문법의 역할 112 2.4 라틴어의 음운 및 문법 조직 121 1) 고대 때의 로마 알파벳 122 2) 고전 라틴어의 음운조직 125 3) 고전 라틴어의 어형조직 127 4) 고전 라틴어의 통사구조 132 제3장 중세기와 르네상스기의 언어연구 - 양태문법의 출현 3.1 중세기의 두 흐름 135 3.2 양태문법의 출현 144 1) 양태문법의 선구자 144 2) 양태문법의 개요 148 3.3 르네상스기의 언어연구 158 1) 고전어에 관한 연구 160 2) 지방어에 관한 연구 167 3.4 포르 루아얄 문법의 출현 배경과 개요 192 1) 출현의 배경 193 2) 개요 198 3) 평가 203 제4장 19세기에서의 언어연구 - 역사언어학으로의 대전향 4.1 대전향의 의의 206 4.2 산스크리트어의 발견 222 1) 발견의 역사 222 2) 산스크리트어의 실체 226 4.3 젊은 문법학자들의 활약 239 1) 세 명의 창시자 239 2) 젊은 문법학자들의 등장 248 4.4 역사언어학의 궤적 260 1) 종속성 260 2) 업적 270 제5장 20세기에 들어서서의 언어연구 - 혁명적 구조언어학의 등장 5.1 언어학적 전향의 효시 282 5.2 Saussure의 언어 이론 298 1) 음운 이론 301 2) 문법 이론 310 5.3 Hjelmslev의 言理學 315 1) 언어이론상의 세 가지 특징 317 2) 분석 절차 326 3) 분석의 실례 329 5.4 런던(London)학파 333 1) 음운론 337 2) 의미론 341 제6장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의 언어연구Ⅰ : 통사론 - 변형생성문법의 석권 6.1 변형생성문법의 출현의 의의 349 1) 반구조주의적 문법 350 2) 이성주의적 언어사상 354 3) 언어학의 위상 격상 361 6.2 변형된 변형 문법이론 368 1) 초기이론 369 2) 표준이론 373 3) 원리와 매개변인의 이론 379 4) 최소주의 이론 385 6.3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양면성 392 1) 일관성 392 2) 의미의 문제 398 3) 인간학으로의 비약 402 6.4. 대안적 문법들 409 1) 일반화 구구조문법 411 2) 수어 추동 구구조문법 414 3) 어휘기능문법 418 4) 관계문법 422 5) 범주문법 425 제7장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의 언어연구 Ⅱ: 기타 영역들 - 연구영역의 전방위적인 확장 7.1. 화용론의 발달 430 1) 화행이론 433 2) 협력성의 원리 437 3) 정중성의 이론 438 4) 관련성 이론 443 7.2. 의미론 446 1) 어휘 의미론 446 2) 형식의미론 453 3) 담화의미론 457 7.3 담화분석론 462 1) 담화분석 463 2) 회화분석 465 3) 비평적 담화분석 469 7.4 응용언어학 473 1) 언어교육론 476 2) 제2어 습득론 480 3) 번역연구 482 7.5 자료언어학 487 1) 관용구 연구 491 2) 변이성 연구 494 3) 언어교육과의 관계 497 ? 참고문헌__500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전 학계는 이른바 언어학적 전향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이런 계기가 마련된 것은 물론 촘스키의 변형생성문법이론의 등장이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자면 이때로 와서는 언어학자는 더 말할 나위가 없고 철학자나 심리학자, 뇌생리학자, 인공지능학자와 같은 다른 영역의 학자들도 그의 언어나 문법이론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데 적지 않게 신경을 쓰게 된 것이다. 그런데 사실은 그의 언어나 문법이론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는 최소한의 언어학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크게는 어떤 언어이론이든지 간에 오늘날에 특별히 빛을 보게 된 것은 지난 2500년에 걸친 긴 역사의 배경이 있기 때문이고, 작게는 그 자신의 말대로 그의 언어이론은 19세기의 언어철학자인 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