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소개 추천의 글 들어가며 1부. 밤하늘에서 별을 읽다 - 별자리를 찾는 방법 1 인류, 별을 바라보다 2 나는 왜 별자리를 찾을 수 없을까? 3 계절에 따라 바뀌는 별자리들 4 그 계절의 1등성을 찾아라! - 봄 목동자리 아르크투루스 찾기 - 여름 거문고자리 직녀성(베가) 찾기 - 가을 남쪽물고기자리 포말하우트 찾기 - 겨울 큰개자리 시리우스 찾기 5 별자리를 대표하는 밝은 별을 찾아라! - 봄 사자자리 레굴루스와 처녀자리 스피카 찾기 - 여름 독수리자리 견우성(알타이르)과 백조자리 데네브 찾기 - 여름 전갈자리 안타레스 찾기 - 여름 헤르쿨레스자리 찾기 - 가을 안드로메다자리 알페라츠 찾기 - 겨울 마차부자리 카펠라와 황소자리 알데바란 찾기 - 겨울 작은개자리 프로키온, 오리온자리 베텔게우스와 리겔 찾기 - 겨울 쌍둥이자리 폴룩스와 카스토르 찾기 - 북쪽 작은곰자리 북극성 찾기 6 별의 남중고도를 활용하라! ★ 별자리 위치 확인하기 2부 하늘을 보러 떠나다: 천체관측 장소와 준비물 1 왜 우리 집에서는 별이 잘 안 보일까? 2 밤, 별을 보기 위한 장소 - 강원도 평창 청옥산 육백마지기 -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 전라남도 영광 내산서원 - 경기도 가평 화악터널 쌈지공원 - 경기도 양평 금왕리 벗고개 - 전라북도 무주 적상산 정상 주차장 - 경상남도 밀양 가지산 삼양교 주차장 3 아침, 해를 보기 위한 장소 4 떠나기 전에 확인해야 할 것 5 떠나기 전에 챙겨야 할 것 3부 별의 움직임을 기록하다: 천체 사진 촬영하기 1 누구나 천문 현상을 자세히 기록할 수 있는 시대 2 멋진 사진을 위해 알아야 할 카메라 상식 - 인물 사진과 풍경 사진의 차이: F수 - 빠른 물체와 어두운 별 찍기: 노출 시간(셔터 스피드) - 어둠 속에서 움직이는 대상: ISO 감도 - 노출 시간의 한계: 삼각대 3 스마트폰, 천체 촬영을 위한 훌륭한 장비 - 초점 고정 기능으로 밤하늘의 천체까지 초점 맞추기 - 스마트폰 카메라의 밝기 조절 기능(ISO 감도 조절) 이용하기 - HDR 기능으로 밝은 대상과 어두운 대상을 함께 담기 4 스마트폰으로 천체 사진 촬영하기 - 일상 속 밤하늘 풍경을 찍어보자! 삼각대 없이 야간 모드 촬영 - 은하수와 별자리를 찍어보자! 삼각대를 활용한 긴 노출 촬영 - 토성의 고리를 찍어보자! 망원경을 이용한 천체 촬영 - 넓은 밤하늘을 사진에 담아보자! 야간 파노라마 사진 촬영 - 별의 움직임을 사진에 담아보자! 일주 사진 촬영 4부 하늘을 가까이 가져오다: 천체망원경의 선택과 사용법 1 어두운 별을 보여주는 도구 2 천체망원경의 역사와 미래 3 망원경의 종류와 원리 4 관측 장비를 고르는 기준 - 관측 목적에 맞는 천체망원경 고르기 - 기동성을 챙기는 쌍안경 - 별을 쉽게 찾기 위한 필수 장치, 가대와 삼각대 5 천체망원경 설치하기 6 소형 천체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딥스카이 천체 - 봄철 별자리의 딥스카이 천체 - 여름철 별자리의 딥스카이 천체 - 가을철 별자리의 딥스카이 천체 - 겨울철 별자리의 딥스카이 천체 - 북쪽 하늘의 딥스카이 천체 5부 하늘을 이해하다: 천문 현상의 과학적 원리 1 천문 현상과 우리의 삶 2 천체가 그렇게 보이는 이유 - 낮에는 왜 별을 볼 수 없을까? - 지평선 위의 달은 왜 더 커 보일까? - 칠월칠석에 견우성과 직녀성은 가까워질까? - 초승달은 왜 손톱처럼 보일까? - 반달은 왜 반만 밝게 빛날까? - 행성도 반달처럼 보이는 때가 있을까? - 태양은 왜 자꾸 나를 따라올까? 3 천체의 움직임으로 생기는 변화 - 태양은 항상 동쪽에서 뜰까? - 달은 같은 위치에 올 때마다 같은 모양일까? - 달은 언제 어디서 뜰까? - 별 사이를 방황하는 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 개밥바라기별과 샛별은 같은 천체일까? - 일식 때 태양 앞을 지나는 천체는 무엇일까? - 보름달이 갑자기 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 행성의 만남은 얼마나 자주 일어날까? 4 천체의 움직임과 시간 - 하루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 해시계는 몇 시에 가장 정확할까? - 일주일이 7일인 이유는 무엇일까? - 왜 생일에는 탄생 별자리를 볼 수 없을까? - 달력은 무엇을 기준으로 만들었을까? 5 천체와 지구의 거리 계산 - 연주시차를 측정해 별까지의 거리를 알아내다 -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으로 거리를 계산하다 - 초신성 폭발로 외부은하의 거리를 측정하다 (부록) 과학은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증명하는 것이다-태양중심설과 지구중심설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과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최고의 관측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가 지동설을 거부한 이유는? 갈릴레오의 금성 관측, 세상의 중심을 바꾸다 사진 저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