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콘텐츠의 본질은 그것이 아니다 ? 9 # K-웨이브와 역사적 비극의 본질 K-콘텐츠의 약진 이면에는 세계 질서의 변화가 있다 ? 13 세계의 모든 창세신화는 카오스에서 시작되었다 ? 23 한극 드라마와 계급적 상상력 ? 드라마 〈오징어 게임〉과 〈D.P.〉를 중심으로 ? 32 아름답고 단단한 비극의 역사 ? 애플 TV+는 왜 드라마 〈파친코〉를 선택하였을까 ? 38 K-드라마가 꿈꾸는 K-정치Politics ? 드라마 〈고요의 바다〉 ? 45 # K-세계관과 맨몸 서바이벌의 본질 ‘아아’는 또 하나의 계급이다 ? 57 K-세계관의 붕괴와 맨몸 서바이벌 ? 65 2024년 4월 10일, 대한민국의 봄은 어떤 얼굴일까 ? 74 〈스트릿 우먼 파이터〉의 창조적 역동성과 스트릿 댄스 유니버스 ? 82 세상의 모든 작고 사소한 것, 그래서 우리가 지켜야 하는 가치 ? 2023년 올해의 벡델리안 ? 93 살아남은 자의 슬픔: 새로운 시대정신으로서 세대 담론 ?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을 중심으로 ? 101 # 문화콘텐츠와 대중예술의 본질 BL은 2023년 콘텐츠 트렌드의 새로운 좌표다 ? 111 문제의 본질은 그것이 아니다 ? 문화예술계의 왜곡·편집·표절 논란 ? 127 현실과 판타지의 적절한 균형을 찾아서 ?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을 중심으로 ? 138 윤여정론: 세상에서 두 번째로 연기 잘 하는 배우 ? 147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 ? 단막극의 ‘오래된 미래’에 대하여 ? 153 코로나 바이러스로 읽는 2020년 한국문화 트렌드 ? 4가지 장르의 화제 콘텐츠를 중심으로 ? 160 # 영화예술과 신화적 인간의 본질 시뮬라크르 세계의 박찬욱‘들’ - ‘올드’보이와 헤어질 결심 ? 169 영화 〈탑건: 매버릭〉 ‘다시’ 읽기: 매버릭의 다섯 가지 얼굴 ? 180 일본과 한국 MZ세대가 그리는 꿈의 지도 ? 189 (한국) 여자는 한 달에 한 번 마녀가 된다 ? 다큐 〈피의 연대기〉 ? 200 우리는 왜 지금 윤리를 이야기하는가 ? 영화 〈증인〉과 〈나의 특별한 형제〉를 중심으로 ?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