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들어가는 글 _ 단 일 밀리미터라도 세상을 바꿀 수 있다면” 1장 백인도 인종차별당할 수 있나 : 역차별 딜레마 특권을 무기로 삼는 사람들 / 차별을 합리화하는 논리 / 구조로 작용하는 억압 / 남자도 차별당한다? / 중첩되고 교차하는 정체성 / 소수자가 소수자를 차별할 때 2장 차별과 배제를 선동하는 은밀한 말 : 도그휘슬 중립적인 듯 배제하는 말 / 도그휘슬, 혐오를 퍼뜨리는 암호 / 적당히 가리고 드러내는 ‘무화과잎’ / “다른 사람들도 다 그렇게 생각해” 3장 남자는 쓰레기다? : 총칭적 일반화 해시태그 ‘남자는 쓰레기다’ / 쓰레기다움의 증거들 / 젠더와 남성성 / 논점 이탈과 주의 흐리기 / 언어철학에서 배운다 / 남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4장 ‘모든 생명은 소중하다’ : 가짜 논리 피부색을 따지지 말자고? / 반대 논리는 논리적인가 / ‘모든 생명은 소중하다’가 어때서? / 백인은 그들의 죄를 알고 있다 / 인종 자본주의를 넘어서 5장 우리는 누구를 믿어야 하는가 : 권력, 고정관념, 신뢰 누가 신뢰받고 누가 불신받는가 / 신뢰 과잉과 신뢰 결여 / 과학이라는 이름의 고정관념 / 가면 증후군과 이중 구속 / 불신의 함정에 갇힌 사람들 / 거짓말하거나 침묵하거나 / 신뢰 결여가 서로 충돌할 때 / 나무의 증언을 듣자 6장 누가 설명하는가 : 설명적 불의 설명이란 무엇인가 / 스플레인, 무지에 기반한 자신감 / 무엇이 설명되고, 무엇이 설명되지 않는가 / ‘이해해주지 않기’ 전략 7장 ‘지나친’ 정치적 올바름 : 예절과 금기 선을 넘는 올바름? / 지나치게 예민한 사람들 / 성별화된 욕설의 정치학 / 발설할 수 없는 금기어 / 아무도 낙오되지 않는 사회 8장 캔슬 컬처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가 : 외면과 희생양 도편 추방과 캔슬 컬처 / 누가 정치적으로 이용하는가 / 희생양 만들기, 희생양 추방하기 / 사과의 딜레마 / 정의는 어떤 모습인가 / 작품과 작가의 분리는 가능한가 9장 불평등 구조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 : 보편화 가능성 구조적 불의와 개인의 책임 / ‘탄소 발자국’이라는 사기극 / 고기를 얼마나 먹는 것이 타당한가 / 개인이 집단을 이룬다 / 담배 규제에서 얻는 교훈 / “잘못된 삶을 올바르게 살 수는 없다” 나가는 글 _ 우리에겐 나무와 꿀벌이 있다 감사의 글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