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제1장 교환의 도구
유럽 : 최저 수준에서의 교환기구
오늘날과 같은 보통 시장들 / 도시와 시장 / 시장의 수가 늘어나고 전문화하다 / 도시의 개입 / 런던 / 직접 세어보라 / 영국의 진리는 곧 유럽의 진리 / 각종 시장 : 노동시장 / 시장은 하나의 경계이며, 그 경계 자체가 움직인다 / 시장보다 아래의 수준 / 상점 / 전문화와 계서화 / 상점이 세계를 정복하다 / 약진의 원인 / 행상인의 활발한 활동 / 행상은 낡은 직업인가?
유럽 : 최고 수준에서의 교환기구
정기시, 늘 손질이 필요한 낡은 기구 / 도시의 축제 / 정기시의 변천 / 정기시와 순환 / 정기시의 쇠퇴 / 창고 / 거래소 / 암스테르담의 증권시장 / 런던에서 모든 것이 다시 시작되다 / 파리를 방문할 필요가 있을까? / 거래소와 화폐
유럽 이외의 세계
시장과 상점은 어느 곳에나 존재한다 / 초보적인 시장 영역의 변화 / 등짐장수의 세계인가, 대상인의 세계인가? / 인도의 은행들 / 거래소가 거의 없는 대신 정기시가 많다 / 유럽과 나머지 전 세계는 동등한가?
잠정적인 결론
제2장 시장과 경제
상인과 상업순환
왕복여행 / 상업순환과 환어음 / 상업순환이 마감되지 않으면 사업 자체가 불가능하다 / 반대거래의 어려움에 대하여 / 상업상의 협력 / 상업망, 분할 지배, 정복 / 아르메니아인과 유대인 / 포르투갈인들과 스페인령 아메리카 : 1580-1640년 / 상충하는 상업망, 쇠퇴하는 상업망 / 지배적인 소수
상업의 부가가치 : 수요와 공급
상업의 부가가치 / 수요와 공급 : 제1동인의 문제 / 수요 / 공급
시장과 지리
기업들과 그것이 속한 공간 / 도시의 공간 / 원재료 시장 / 귀금속
국민경제와 무역수지
무역수지 / 수의 해석 / 1700년 전후의 프랑스와 영국 / 영국과 포르투갈 / 동유럽과 서유럽 / 전체적인 국제수지에 관하여 / 인도와 중국
시장의 자리매김
자체조절적인 시장 / 수 세기의 시간을 가로질러 / 현재는 증거를 제시하는가?
제3장 생산 : 자기 영역을 벗어난 자본주의
자본, 자본가, 자본주의
“자본”이라는 말 / 자본가, 자본가들 / 자본주의 : 최근에 나온 말 / 자본의 실체 / 고정자본, 유동자본 / 자본에 대한 계산 / 영역별 분석
토지와 돈
자본주의의 전제조건 / 농민층의 수, 타성, 생산성 / 궁핍과 생존 / 장기지속이라고 해도 변화가 없는 것은 아니다 / 서양의 영주제는 죽지 않았다 / 몬탈데오 / 장애를 넘다 / 유럽의 변두리로부터 중심부로 / 자본주의와 재판농노제 / 자본주의와 아메리카의 플랜테이션 / 자메이카의 플랜테이션 / 유럽의 중심부 / 파리 근교 : 루이 14세 시대의 브리 지역 / 베네치아와 테라 피르마 / 19세기 초 로마 주변의 농촌 : 탈선한 경우 / 토스카나의 포데레 / 선진지역은 소수에 불과하다 / 프랑스의 경우
자본주의와 전(前)산업
4중의 모델 / 부르쟁의 도식은 유럽 이외에서도 타당한가? / 농업과 전산업은 뗄 수 없는 관계이다 / 공업 : 신의 섭리 / 노동자의 불안정성 / 시골에서 도시로, 도시에서 시골로 / 선구산업이 존재하는가? / 상인과 길드 / 선대제 / 독일의 선대제 / 광산과 산업자본주의 / 신대륙의 광산들 / 소금, 철, 석탄 / 매뉴팩처와 공장 / 아브빌의 반로베 가문 / 자본과 부기 / 산업 이윤에 관하여 / 발터 호프만의 법칙(1955)
수송과 자본주의적인 기업
육상 수송 / 수상 조운 / 해상 수송 / 계산해볼 수 있는 진리 : 노동과 자본
다소 부정적인 결론
제4장 자기 영역에서의 자본주의
상업화된 사회의 최상층에서
상인들의 계서제 / 전문화는 오직 하층에서만 일어난다 / 상업적인 성공 / 자금주 / 크레딧과 은행 / 화폐 : 유통될 것인가, 퇴장될 것인가?
자본주의의 선택과 전략
자본주의 정신 / 원거리 무역 : 1등 복권 / 교육과 정보 / “경쟁자 없는 경쟁” / 국제적인 차원의 독점 / 실패한 독점의 사례 : 1787년의 코치닐 시장 / 화폐의 배신 / 예외적인 이윤, 예외적인 지체
상사와 회사
상사 : 초기의 발전 / 합자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