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작가 에두아르 르베의 『자살』(한국화 옮김)이 워크룸 문학 총서 ‘제안들’ 31권으로 출간되었다. 사진과 글을 주요 매체로 삼아 활동한 에두아르 르베는 개념적인 작업에 몰두한 작가였다. 자신에게 영향을 준 예술가들과 이름이 같은 이들을 전화번호부에서 찾아 찍고, 유럽의 도시와 이름이 같은 미국의 도시를 촬영하고, 전형적인 인물들의 포즈나 회화, 꿈속 장면 등을 현실의 사진으로 재구성했던 그는 2002년 533개 작품 아이디어를 모은 『작품들』을 출간하면서 문학가로서의 이력을 시작했다. 이 책 『자살』은 에두아르 르베가 자살한 이듬해에 출간된 책으로, 그가 자살하기 며칠 전 송고한 글이다.
자살이라는 방식
이 책은 작가가 생전에 집필한 마지막 작품이다. 모든 작가가 자신이 마지막으로 쓸 작품을 결정할 수 있지는 않은데, 에두아르 르베는 이를 결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르베가 개념 미술적인 작업을 해 온 작가라는 점에서 중요해진다. 개인적인 삶을 끝내는 방식과 작가로서의 삶을 끝내는 방식을 일치시키는 선택은 작가로서 그가 추구해 온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자살’은 이름이든, 포즈든, 장면이든, 자신이 현실에서 만드는 작업에서 그것들을 재구성하고 재현했던 르베의 여러 선택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제 그의 삶은 자살에 대한 소설을 쓰고서 자살한 작가로 쓰이고 읽힌다. 지나치게 축약되었다 해도, 이것은 에두아르 르베라는 작가에 대한 사실이다.
쓰였다는 사실
“(...) 르베는 전형적인 줄거리를 가진 작품 쓰기를 거부했고, 강력한 혹은 사소한 사실만을 원했다. 그가 『자화상』 그리고 『자살』에서 보인 서술 방식은 이를 증명한다. 기억의 단편적인 조각들은 어떠한 인과관계도 시간의 흐름도 보이지 않고 그저 나열될 뿐이고, 오직 문장들의 진실만이 존재할 뿐이다.”(옮긴이의 글 118쪽)
『자살』을 쓰기 전에 발표한 『자화상』에서 자신에 대한 글을 쓴 바 있는 작가는 『자살』의 등장인물인 ‘너’에 대해 이렇게 적는다. “너는 그것이 진실인지 거짓인지에 상관없이 쓰인 것을 믿었다.”(43~4쪽) 누군가는 이 책의 등장인물인 ‘너’, 화자인 ‘나’, 그리고 작가 르베가 과연 얼마큼 겹쳐지는지 가늠하려 애쓸 수 있다. 그러나 이 세 명의 인물이 진실로 동일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실은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서사를 이룰 수 있는 구성을 배제하고 문장들을 나열하며 이루어진 이 글은 쓰여져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누군가의 죽음이 누군가의 삶에 의해 이루어졌고, 누군가의 삶이 누군가의 죽음에 의해 이루어졌고, 이 모든 과정이 누군가에 의해 글로 쓰였다는 사실을 소설이라는 매체를 둘러싼 사실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이 책에 어울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