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튼이 말하다

안창모님 외 7명
32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2명)
코멘트
더보기

서울 한복판에서 40년의 시간을 품고 있던 호텔, 서울 힐튼은 남산 곁에서 오랜 시간 동안 서울의 한 풍경을 이루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3년 서울 힐튼 호텔이 개관한 이후의 사회적 역할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나 서울 힐튼은 2022년 12월 31일 영업 종료 후 처분을 기다리며 덩그러니 남아있다. 『힐튼이 말하다』는 이제는 사라진, 그리고 남은 공간마저도 곧 사라질 서울 힐튼에 대한 기록집이다. 건축사적으로나, 사회사적으로 중요한 공간이 어떻게 태어났으며 어떤 역할을 하다, 어떻게 사라지는지를 기록했다. 건축사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 그리고 보존을 위한 대안과 노력들을 담았다. 책은 맨땅에 한국건축의 중요한 역사가 만들어지는 장면을 담은 사진, 서울 힐튼과 함께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주변 풍경들, 그리고 힐튼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사연들을 담은 사진, 그리고 영업 종료를 앞둔 시기의 사진들과 종료 이후 텅 빈 공간을 담은 사진까지 역사를 보여주는 사진 아카이브를 실었고, 서울 힐튼의 청사진부터 실시 설계도면을 충실하게 실어 기록집으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NEW 팝콘 붕어싸만코

문상훈을 울린 달콤한 만남

빙그레 붕어싸만코 · AD

NEW 팝콘 붕어싸만코

문상훈을 울린 달콤한 만남

빙그레 붕어싸만코 · AD

저자/역자

목차

프롤로그: ‘서울 힐튼’ 기록집을 내며 ? 장소와 건물의 운명 힐튼의 모습들 ? 힐튼 이미지 아카이빙 힐튼의 탄생 ? 도시와 이미지 그리고 기억 ? 건축가 김종성과 서울 힐튼의 탄생 ? 모더니즘 건축물 서울 힐튼의 탄생 과정 힐튼의 시간 ? 김종성 건축이 한국 현대건축에 끼친 영향 힐튼의 사람들 ? 국내 호텔 최초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남긴 것들 ? 밀레니엄 힐튼 서울의 마지막 영업장 유에서 무로 돌아가기에 앞서 PART ① 건축가 칼럼 ? 〔홍재승〕 보존과 철거 사이 ? 〔지정우〕 시간복합개발과 도심 시민공간으로의 가능성 ? 〔오호근〕 도시의 정체성을 기록하는 새로운 접근 ? 〔전이서〕 Demolish? or Not? PART ② 좌담회 ? 〔김종성〕 서울 힐튼이 말하다 ? 〔우대성, 홍재승, 지정우, 오호근, 전이서〕 좌담회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 서울 힐튼의 미래지향적 보존 활용과 법제화의 필요성 ? 서울 힐튼이 남긴 것, 남겨야 할 것 ? 보존에 대한 제안 에필로그: 글을 마치며 ? 서울 힐튼의 마지막 서울 힐튼 주요 도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소중한 한국 현대 건축의 유산, 모더니즘 건축의 거장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철학을 이어받은 모더니스트 김종성 건축가의 역작, 그러나 곧 철거될 운명에 놓인 서울 힐튼에 대한 마지막 기록! 서울 남산자락에 자리 잡은 서울 힐튼, 40년간 도시의 한 공간으로 현대사를 함께 해 온 서울 힐튼의 기록을 탄생부터 소멸까지 상세하게 수록 힐튼의 역사를 보여주는 귀한 사진 아카이브와 38p에 이르는 설계 도면 수록 서울 한복판에서 40년의 시간을 품고 있던 호텔, 서울 힐튼은 남산 곁에서 오랜 시간 동안 서울의 한 풍경을 이루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3년 서울 힐튼 호텔이 개관한 이후의 사회적 역할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나 서울 힐튼은 2022년 12월 31일 영업 종료 후 처분을 기다리며 덩그러니 남아있다. 신간 『힐튼이 말하다』는 이제는 사라진, 그리고 남은 공간마저도 곧 사라질 서울 힐튼에 대한 기록집이다. 건축사적으로나, 사회사적으로 중요한 공간이 어떻게 태어났으며 어떤 역할을 하다, 어떻게 사라지는지를 기록했다. 건축사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 그리고 보존을 위한 대안과 노력들을 담았다. 책은 맨땅에 한국건축의 중요한 역사가 만들어지는 장면을 담은 사진, 서울 힐튼과 함께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주변 풍경들, 그리고 힐튼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사연들을 담은 사진, 그리고 영업 종료를 앞둔 시기의 사진들과 종료 이후 텅 빈 공간을 담은 사진까지 역사를 보여주는 사진 아카이브를 실었고, 서울 힐튼의 청사진부터 실시 설계도면을 충실하게 실어 기록집으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이 책은 지난 2023년 4월12일, 문화예술 전문 디지털미디어 《컬처램프》가 창간 기획으로 개최한 특별좌담회 ‘건축가 김종성과의 만남 : 힐튼호텔 철거와 보존사이’에서 출발했다. 좌담회에서는 1980년대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을 상징하는 현대건축의 자산인 서울 힐튼 철거가 과연 올바른 결정인지에 대해 설계자인 건축가 김종성과 중견 건축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진지한 토론을 나누었다. 서울 힐튼 보존과 관련한 의미 있는 이야기를 시작으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모여 오랜 시간 서울 힐튼이 간직한 이야기들을 담고자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었다. 서울 힐튼이 쌓아 온 시간과 건축적 가치를 기록하는 책 《힐튼이 말하다》를 출간했다.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는 말을 실감케 했던 1980년대에 힐튼호텔은 한국을 찾은 바이어를 위한 최고의 호텔 중 하나였다. 1980년까지 서울에 지어진 특급호텔들이 대부분 일인 건축가의 설계로 지어지거나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어졌지만, 힐튼호텔은 20세기 모더니즘 건축의 표준을 만들어 낸 건축가 ‘미스 반 데 로에(Mies van der Rohe)’의 제자인 김종성의 설계로 지어졌다. 당시 대형 빌딩의 주류인 일본색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세계적인 호텔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디자인으로 수출한국의 비즈니스를 뒷받침했던 장소다. 이러한 1980년대 이후 힐튼호텔의 사회적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동시에 서울 힐튼은 유럽 현지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장 먼저 소개하는 창구이기도 했고, 역사적으로도 주요한 대형 이벤트가 열려 온 공간이기도 했으며, 특별한 날 누군가의 추억 속 한 페이지이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나 금융위기로 압박을 받은 대우그룹은 힐튼호텔을 싱가포르계 CDL호텔 코리아에 2600억원에 매각(1999)했고 2004년 ‘밀레니엄힐튼서울’로 이름을 변경해 운영하다 2021년 12월 국내 부동산투자사 이지스자산운용에 1조1000억원에 매각했다. 이지스 측은 최대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주변 건물들을 추가 매입해 대규모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11월 22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 ’힐튼호텔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변경안‘이 수정 가결됐다. 계획에 따르면 서울 힐튼의 일부 (로비 바닥과 기둥 정도)만 남을 것이다. 서울시에서는 정비계획을 통해 남산뿐 아니라 한양도성 및 역사문화환경 보존 지역 그리고 힐튼호텔이 가진 건축사적 가치를 살리고자 했다고 하지만 건축가 김종성의 의견은 다르다. 제대로 보존하려면 전체 공간을 남겨야 한다고 강조한다. #힐튼이 걸어온 길 - 서울 힐튼 개요 위치 서울 중구 소월로 50번지 연면적 8만2856㎡ 설계자 김종성(서울건축) 시공 대우건설 준공 1983년 객실 684실 규모 지하 2층 ~ 지상 23층 1978년 한국인 1세대 건축가(김종성)에 의한 국내 1호 호텔 설계 1983년 호텔 개관, 대우개발이 운영 1986년 서울시 건축상 금상 1999년 대우개발, 싱가포르계 CDL호텔 코리아에 2600억원에 매각 2004년 ‘밀레니엄힐튼서울’로 이름 변경 2021년 국내 부동산투자사 이지스자산운용에 1조1000억원에 매각 2022년 이지스자산운용, 현 힐튼 건축물을 철거하고 오피스호텔 복합시설 개발계획을 수립 2022년 12월 31일 밀레니엄힐튼서울 영업 종료 2023년 11월 22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소위원회에서 ‘힐튼호텔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변경안’ 수정가결 #서울힐튼 기록집을 만들기 위해 모인 이들 김종성, 함혜리, 홍재승 그리고, 홍순언 에그피알 대표. 상지대/인하대 겸임교수.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기획 전문가. 힐튼호텔 보존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이강석사진작가. 파사드 공간문화브랜드 대표, 이강석아카이브 작가. 건축사진을 중심으로 도시를 아카이빙한다. 건축적 물성과 재료에 관심을 두고 사진, 영상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로 도시 그리고 건축을 기록한다. 오픈하우스서울의 생동감 있는 공간을 담아 오면서 도시를 기록하고 있다. 박준기그래픽 디자이너. 주로 종이/화면/공간을 다룬다. 친구들과 함께 출판사 엠디랩프레스(M.D.LAB PRESS)를 운영하며 편집과 디자인의 경계를 탐구한다. 김다희다양한 텍스트 기반의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한다. 엠디랩프레스(M.D.LAB PRESS)의 에디터로 활동하며 좋아하는 마음으로부터 출발하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