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서론: 팩트 시대의 탈진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팩트, 팩토이드, 사실관계, 맥락 / 팩트물신주의와 반지성주의 / 인문교양서의 팩트물신주의 / 그들이 팩트를 사용하는 방식 1장 팩트물신주의가 보여 주지 않는 것 《팩트풀니스》와 《지금 다시 계몽》 / 신낙관주의의 세계관 / ‘탈정치’라는 착각 / 다시, 팩트는 무엇인가: 팩트의 구성, 관련, 가치 2장 어떤 팩트는 만들어진다 -빈곤과 발전- 그들은 극단적 비극을 어떻게 측정했는가——— 극단적 빈곤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 팩트가 구성된다는 것은 /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 물가지수가 보여 주는 것과 숨기는 것 어떻게 측정해야 할까——— 세계은행 빈곤선의 진짜 문제 / 해석자와 정치적 함의 / 풍요의 세계화인가, 빈곤의 세계화인가 / 1990년 중국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지수의 정치——— 삭스와 워너의 지수가 갖는 문제 / 자본주의와 빈곤 / 200년 전 세상에 대해 알 수 있는 것 / GDP가 하루아침에 바뀌다 / GDP와 식민지 근대화론 / 1810년 극빈율이 23퍼센트라는 데이터 / 왜 빅토리안 홀로코스트를 다루지 않는가 3장 관련: 사실의 구조 -건강 및 수명, 사회 진보- 장수의 비결이 경제성장?——— 기대수명, 세상이 좋아지고 있다는 두 번째 지표 / 치료약이 개발되기도 전에도 결핵이 감소한 이유 / 경제성장이 아니라면? 프레스턴 커브: 돈으로 수명을 얼마나 살 수 있을까——— 국가의 경제성장 vs 그 밖에 다른 요인 / 공시적 상관관계와 통시적 인과관계 / 교육과 수명의 상관관계 문제는 정치야, 바보야!——— 정치와 진보 / 왜 중국의 기대수명이 인도보다 높을까 / 노동력의 탈상품화와 건강 4장 가치: 팩트에도 불구하고 -행복과 웰빙- 행복하다고 느끼지 않는 사람들 / 사람들은 정말 긍정적 변화를 금방 잊을까 / 행복의 비법 / 사회안전망과 행복의 관계 5장 우리 본성의 천사, 혹은 국가 본성의 악마 핑커가 폭력을 측정하는 방식 /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가 / 거듭되는 오류들 / 국가 본성의 악한 악마? / 긴 평화인가, 반복되는 패턴인가 / 전쟁 사망자 수는 전쟁의 추세를 대리하는가 / ‘역사의 종말’은 취소됐을까 / 데이터는 스스로 말하는 법이 없다 6장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은 무엇을 착각했나 -환경 및 생태- 우리는 환경운동가들에게 속았는가 /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의 착각 / 맥락을 벗어난 인용 / 허수아비 공격 / 인터뷰이가 반박하는 인용 / 취소되지 않았다 / 종말은 아니지만 결론: 팩트 너머의 공동체 일베와 팩트물신주의 / 역사수정주의가 팩트라고 일컫는 것 해제——— 승엽 씨, 놀랍습니다! (강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