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의 아포리즘

프란츠 카프카 · 인문학/에세이
131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5(104명)
0.5
3.5
5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104명)
코멘트
더보기

카프카의 일기, 메모장, 팔절판 노트, 편지와 산문 등에서 비유와 역설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195개의 짧은 글을 발췌해 모은 것이다. 한국카프카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평생을 카프카 연구에 매진해온 편영수 전주대학교 명예교수가 카프카의 문장들을 선별하여 번역하고 배치했는데, 주로 독일 데테파우 출판사와 체하베크 출판사에서 ‘세계 지혜의 작은 도서관’ 시리즈로 출판된 『프란츠 카프카. 인생, 예술 그리고 신앙에 관한 성찰』이라는 책을 참고하여, ‘인생’과 ‘문학’이라는 두 가지 대주제로 나누어 연대순으로 묶어냈다. 이미 국내에도 카프카 전집이 완역되어 카프카의 세계 전반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지만, 분량이 워낙 방대하여 독자들이 접근하기에는 힘든 면이 없지 않았다. 이 책 『카프카의 아포리즘』은 편역자가 카프카의 생애 각각의 국면에서 품었던 고민과 성찰의 흔적이 묻어나는 문장들을 세심하게 가려 뽑은 것으로서, 수수께끼 같은 카프카 세계를 지금까지와는 조금 다른 방향에서 낯설게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글쓰기에 대한 고뇌, 결혼과 가족에 대한 고민과 같은 카프카의 일상적 삶에서 진실에 대한 추구, 종교에 대한 깊은 숙고에 이르기까지, 카프카의 세계관 및 핵심 사상을 압축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5(104명)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0+

목차

인생에 대하여 1. 인간과 인생 2. 결혼과 성 3. 가족과 교육 4. 유대적 요소 5. 신과 신앙 문학에 대하여 1. 진실과 허위 2. 역설적 인식 3. 작가로서의 자기이해 4. 작가와 글쓰기 5. 문학과 예술 엮고 옮긴이의 글-카프카의 역설 작가 연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폐허에서 새로운 삶이 꽃핀다는 것은 삶의 지속보다는 죽음의 지속을 입증하는 것이다.” 20세기 실존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프란츠 카프카의 세계를 들여다보다 현대인이 겪는 불안과 소외를 통찰하고 인간 운명의 부조리를 깊이 고민했던 작가 프란츠 카프카. 그의 작품은 사르트르와 카뮈, 쿤데라 등 많은 철학자와 작가들에게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분석, 신학, 철학 등 다방면에서 끊임없이 연구되고 다양하게 해석되어왔다. 그리고 카프카의 난해하고 다의적인 문학 세계를 해명하는 실마리로 지목되어온 것이 다름 아닌 1,500통에 달하는 편지와 일기, 메모 등 긴 세월에 걸쳐 그가 써 내려간 방대한 기록물이다. 이 책 『카프카의 아포리즘』은 카프카의 일기, 메모장, 팔절판 노트, 편지와 산문 등에서 비유와 역설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195개의 짧은 글을 발췌해 모은 것이다. 한국카프카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평생을 카프카 연구에 매진해온 편영수 전주대학교 명예교수가 카프카의 문장들을 선별하여 번역하고 배치했는데, 주로 독일 데테파우 출판사와 체하베크 출판사에서 ‘세계 지혜의 작은 도서관’ 시리즈로 출판된 『프란츠 카프카. 인생, 예술 그리고 신앙에 관한 성찰』이라는 책을 참고하여, ‘인생’과 ‘문학’이라는 두 가지 대주제로 나누어 연대순으로 묶어냈다. 이미 국내에도 카프카 전집이 완역되어 카프카의 세계 전반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지만, 분량이 워낙 방대하여 독자들이 접근하기에는 힘든 면이 없지 않았다. 이 책 『카프카의 아포리즘』은 편역자가 카프카의 생애 각각의 국면에서 품었던 고민과 성찰의 흔적이 묻어나는 문장들을 세심하게 가려 뽑은 것으로서, 수수께끼 같은 카프카 세계를 지금까지와는 조금 다른 방향에서 낯설게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글쓰기에 대한 고뇌, 결혼과 가족에 대한 고민과 같은 카프카의 일상적 삶에서 진실에 대한 추구, 종교에 대한 깊은 숙고에 이르기까지, 카프카의 세계관 및 핵심 사상을 압축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 카프카식 아포리즘 글쓰기 카프카에게 글쓰기는 자아실현을 위한 길이자 살아보지 못한 삶의 대용물이었다. 특히 폐결핵의 발병과 진단으로 생사의 기로에 선 카프카에게 아포리즘은 비유적 글쓰기를 자유롭게 펼치게 해주는 표현 수단이었고, 진실, 신앙, 죽음, 구원 등 인간 실존의 근본 문제들을 탐구하는 방편이었다. 아포리즘이 간결함을 통해 형식적 완결성이라는 이상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또 독자에게 자발적인 사상적 논쟁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카프카는 아포리즘 형식을 선호했다. 그는 희망과 절망, 진실과 허위, 자유와 속박, 존재와 비존재, 신앙과 회의, 생과 사 등 수많은 대립의 끝없는 긴장 속에 놓인 인간 존재를 역설적으로 형태화한다. “찾는 자는 찾지 못하나, 찾지 않는 자는 찾는다” “새장이 새를 찾으러 나섰다”와 같이 카프카의 역설은 주로 ‘전복’과 ‘전향’을 무한 반복함으로써 모순을 드러내 의미의 확정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카프카는 전통적 역설인 ‘전복’과 통속적인 사고로부터의 이탈을 뜻하는 ‘전향’을 결합한 ‘미끄러지는 역설’이라는 사고의 법칙을 사용해서 이미 확립된 개념들을 끊임없이 유동적으로 만들고, 독자를 논리 정연한 사고 습관에서 벗어나게 한다. 이로써 독자는 카프카의 작품 앞에서 혼란을 겪고 감각이 예민해진다. 카프카가 ‘아포리즘’을 통해 독자에게 말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세계에 대한 상투적이며 고정된 해석을 깨는 즐거움을, 그로부터 벗어난 해방감을 만끽하라는 것이다. 카프카는 독자에게 소외 의식을 불러일으킴으로써 ‘현실’을 변화시키려는 의지를 일깨운다. 카프카에게 글쓰기가 감시하고 처벌하는 권력의 담론에 저항하는 무기였다면, 독자에게 그 무기는 바로 카프카의 텍스트를 읽는 행위일 것이다. “많은 책은 자신의 성 안에 있는 낯선 방들을 여는 열쇠 같은 역할을 한다네”(「오스카 폴락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