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어 데어

토미 오렌지 · 소설
37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2.3
평균 별점
(5명)
코멘트
더보기

“이것은 21세기 문학이 마침내 우리 앞에 당도했음을 알리는 거대하고 우렁차고 폭발적인 소리다”(말런 제임스, 소설가)라는 찬사와 함께 미국 문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긴 신인 작가 토미 오렌지의 데뷔작 『데어 데어』가 출간되었다. 깊은 울림을 남기는 진실한 목소리로 현대 아메리카 원주민의 삶과 고뇌를 탄탄하고 강렬한 서사에 담아낸 이 작품은 2018년 출간 즉시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펜/헤밍웨이상(2019)과 미국도서상(2019),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존 레너드 상(2018) 등을 수상했고 퓰리처상(2019)과 앤드루 카네기 메달(2019) 소설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 또한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타임> <보스턴 글로브> 등 각종 언론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을 뿐 아니라, 오바마 전 대통령이 그해 최고의 책 중 하나로 뽑기도 했다. 소설의 제목인 ‘데어 데어(There There)’는 작품 속에서도 언급하고 있듯, 시인이자 소설가인 거트루드 스타인의 말에서 따온 것이다. 거트루드 스타인은 『모두의 자서전(Everybody’s Autobiography)』에서 자신이 어린 시절을 보낸 오클랜드에 더이상 옛 모습이 남아 있지 않다는 의미로 “거기엔 그곳이 없다(There is no there there)”라고 이야기했는데, 작가는 이 글귀를 처음 보고 아메리카 원주민이 처한 현실에 꼭 들어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온 외지인들의 침략과 수탈로 생활의 터전과 삶의 방식을, 수많은 목숨을 빼앗긴 원주민들에게 미국은 물리적으로는 존재하지만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땅이나 다름없다. 또한 그 상실된 땅 위에서 원주민은 사회의 저편으로 밀려나며 역사에서도 현실에서도 지워져갔다. “거기엔 그곳이 없다”라는 역설적 명제는 부재 속에서 자신의 뿌리와 정체성을 찾아야 하는 원주민들의 내적, 외적인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프롤로그 _009 1부 남다 _021 2부 되찾다 _101 3부 돌아오다 _195 4부 파우와우 _281 감사의 말 _361 옮긴이의 말 _36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열두 개의 목소리, 뜨겁게 박동하는 단 하나의 이야기, 강렬한 현재 시제로 다시 쓰이는 ‘도시 인디언’의 삶. “실로 경이로운 데뷔작.”_마거릿 애트우드(소설가) #아메리카원주민 #인디언 #정체성 #미국 #역사 #스토리텔링 #문학상수상작 #퓰리처상최종후보 2019 펜/헤밍웨이상 수상 2019 미국도서상 수상 2018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존 레너드 상 수상 2018 센터 포 픽션 퍼스트 노블 프라이즈 수상 2019 퓰리처상 최종 후보 2019 앤드루 카네기 메달 소설 부문 최종 후보 2019 애스펀 워즈 문학상 최종 후보 2018 아트 세덴바움 상 최종 후보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타임> <보스턴 글로브>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O, 오프라 매거진> <댈러스 모닝 뉴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NPR, 버즈피드, 오바마 전 대통령 선정 올해의 책 “이것은 21세기 문학이 마침내 우리 앞에 당도했음을 알리는 거대하고 우렁차고 폭발적인 소리다”(말런 제임스, 소설가)라는 찬사와 함께 미국 문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긴 신인 작가 토미 오렌지의 데뷔작 『데어 데어』가 출간되었다. 깊은 울림을 남기는 진실한 목소리로 현대 아메리카 원주민의 삶과 고뇌를 탄탄하고 강렬한 서사에 담아낸 이 작품은 2018년 출간 즉시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펜/헤밍웨이상(2019)과 미국도서상(2019),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존 레너드 상(2018) 등을 수상했고 퓰리처상(2019)과 앤드루 카네기 메달(2019) 소설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 또한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타임> <보스턴 글로브> 등 각종 언론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을 뿐 아니라, 오바마 전 대통령이 그해 최고의 책 중 하나로 뽑기도 했다. 소설의 제목인 ‘데어 데어(There There)’는 작품 속에서도 언급하고 있듯, 시인이자 소설가인 거트루드 스타인의 말에서 따온 것이다. 거트루드 스타인은 『모두의 자서전(Everybody’s Autobiography)』에서 자신이 어린 시절을 보낸 오클랜드에 더이상 옛 모습이 남아 있지 않다는 의미로 “거기엔 그곳이 없다(There is no there there)”라고 이야기했는데, 작가는 이 글귀를 처음 보고 아메리카 원주민이 처한 현실에 꼭 들어맞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온 외지인들의 침략과 수탈로 생활의 터전과 삶의 방식을, 수많은 목숨을 빼앗긴 원주민들에게 미국은 물리적으로는 존재하지만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땅이나 다름없다. 또한 그 상실된 땅 위에서 원주민은 사회의 저편으로 밀려나며 역사에서도 현실에서도 지워져갔다. “거기엔 그곳이 없다”라는 역설적 명제는 부재 속에서 자신의 뿌리와 정체성을 찾아야 하는 원주민들의 내적, 외적인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나는 늘 스스로를 방어했다. 내가 충분히 원주민이 아니라는 듯이. 오바마가 흑인인 것만큼 나는 원주민이다. 하지만 다르다. 원주민에겐. 그건 나도 안다. 그런데 어떻게 원주민이 되어야 할지를 모르겠다. 원주민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내가 생각해내는 방법은 모두 잘못된 것 같다.” _본문 92쪽 백인 어머니와 원주민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평생 원주민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탐구해왔던 작가는 ‘인디언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단 하나의 답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다. 특히 대다수의 원주민들이 인디언 보호구역이 아니라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시대의 미국에서 원주민의 삶은 여느 미국인들처럼 다채롭고 복잡하다. 토미 오렌지는 대중문화나 역사책 속에서 묘사되는 틀에 박힌 인디언의 모습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우리 곁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는 ‘도시 인디언’의 삶을 열두 명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노년을 앞둔 자매와 이십대 청년들, 그리고 어린 소년들까지, 생생하게 살아 있는 다양한 인물들의 갈등과 혼란, 상처와 절망, 그리고 사랑과 용기의 서사는 서로 얽히고설키며 비극적이고 폭발적인 결말로 독자를 이끈다. 그 각각의 인물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하는 것, 그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것, 그럼으로써 인디언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것, 그것이 바로 ‘역사를 잊지 않고 나아가는’ 방법이라고 작가는 이야기하는 듯하다. 우리는 존재한다, 치열하고 절박하게, 지금 바로 이곳에 “우리는 서로 다른 이유로 빅 오클랜드 파우와우에 왔다. 우리의 어지럽고 위태로운 삶의 가닥들이 하나로 땋아졌다―이곳에 이르기 위해 우리가 해온 모든 일들이 이곳에서 하나로 묶였다. 우리는 먼길을 왔다. 기도와 손으로 짠―구슬을 달고, 꿰매 붙이고, 깃털을 달고, 꼬고, 축복을 받고, 저주를 받은―전통 의상이 겹겹이 쌓여 이루어진 여러 해를, 여러 세대를, 수많은 이들의 평생을 거쳐 왔다.” _본문 169쪽 『데어 데어』는 캘리포니아 오클랜드를 배경으로 중심인물 열두 명의 이야기가 교차하면서, 서서히 그들의 연결 고리가 드러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인물들이 소설의 끝에 다다르는 종착지이자 그들을 연결해주는 매개는 ‘파우와우’라는 원주민의 전통 행사이다. 파우와우는 미국 전역에서 실제로 행해지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축제로 커다란 광장에 함께 모여 춤과 노래를 즐기고, 전통 공예품이나 먹거리 등을 사고팔며 원주민의 문화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행사다. 특히 파우와우의 중심 이벤트는 춤 경연이며, 많은 원주민들이 이날만큼은 전통 의상을 차려입고 북소리에 맞춰 격렬한 춤을 선보인다. 등장인물들은 거액의 상금이 걸려 있는 ‘빅 오클랜드 파우와우’에 서로 다른 이유로 참석하게 된다. 그중에는 파우와우 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파우와우 위원회’에 소속된 인물들도 있고, 원주민 문화에 대해 더 알고 싶어 인터넷 동영상을 검색해보다가 파우와우 춤에 매료되어 경연에 참가하게 된 어린 소년도 있고, 파우와우가 열리는 오클랜드 콜리시엄 경기장에서 오랜 세월 관리인으로 일해온 남자도 있으며, 오직 북을 치는 순간에만 고된 삶으로부터 해방된다고 느끼는 북 연주자도 있다. 그리고 춤 경연에 걸린 상금을 훔치기 위해 3D 프린터로 총을 제작하는 한 무리의 청년들도 있다. 파우와우 당일,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원주민으로 북적이는 콜리시엄 경기장에 각자의 희망과 열망과 욕망을 품은 이들이 속속 도착한다. 그들의 의도는 때로는 적중하고 때로는 빗나가며 일련의 예상치 못한 결과들을 낳는다. 이곳에서 누군가는 평생 한 번도 본 적 없던 아버지를 만나고, 누군가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먼 옛날 입양 보낸 딸과 마주친다. 그리고 곧 한 발의 총성을 시작으로 행사장은 아수라장이 된다. 빼앗아야 하는 사람들과 지켜야 하는 사람들이 처절하게 뒤엉킨 가운데, 누군가는 죽고, 누군가는 살아남는다. 삶을 증명하는 이야기들…… 당신의 목소리가 지나는 길 위에서, 우리는 이토록 선명해진다 “난 여기서 이야기를 모으고 있어. 온라인에 올려서 우리 공동체 사람들이, 우리랑 비슷한 공동체 사람들이 보고 들을 수 있게 하려고. 자신과 같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덜 외로워지니까. 덜 외로워지면, 우리 뒤에, 우리 곁에 공동체 사람들이 있다고 느끼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 나는 믿어. 무슨 뜻인지 이해가 되니?” _본문 154쪽 소설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은 모두 창작의 산물이지만 그들 각각의 모습에는 작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이 녹아 있다. 특히 오클랜드에 사는 원주민들의 이야기를 모아 영상으로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제작자 ‘딘 옥센딘’은 이야기의 힘을 믿고 그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려 노력한다는 점에서 작가 토미 오렌지를 가장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