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무대를 열며 1막 나는 주인공입니다 *힐하우스의 주인공: 매킨토시의 <래더백 체어> *튀는 의자들: 베르너 판톤의 의자 *표현의 매개체: 론 아라드와 자하 하디드의 의자 *까칠한 매력의 소유자: 요나스 볼린의 <콘크리트 체어> *일필휘지의 묵직함: 최병훈 작가의 <태초의 잔상> 2막 나는 조연이 더 좋습니다 *대중 의자의 탄생과 귀환: 미하엘 토네트의 *스테디셀러의 대표 주자: 아르네 야콥센의 의자 *핀란드의 국민 의자: 알바르 알토의 <스툴 60> *무명씨가 만든 좋은 디자인: 셰이커 교도의 의자 *특별한 평범함: 야나기 소리의 <버터플라이 스툴> 3막 나는 의자가 아닙니다 *가구와 조각의 합집합: 보리스 베를린의 <아포스톨> *의자가 된 도자기: 도예가 이헌정의 의자들 *변신하고 합체하는 장난감: 칼슨 베커의 아이를 위한 의자 *빈민촌의 삶을 대변하는 모형: 캄파나 형제의 <파벨라> *앉아 기대는 장소: 하지훈의 <자리> 4장 나는 살아있는 역사입니다 *역사와 타이밍: 미술공예운동과 레드하우스의 <세틀> *<바실리 체어>에서 지워진 이름 *고유함을 향한 욕망: 체코 큐비즘과 의자 *틀을 깨는 매력: 멤피스의 의자 *덜고 덜어 남은 본질: 미니멀리즘과 의자 5장 나는 질문합니다 *색바랜 시간의 의미: 닐스 바스의 <어제의 신문> *새로움이란 무엇인가: 위르헌 베이의 <코콘 체어> *복제와 오마주의 차이: 중국 의자와 <더 차이니스 체어> *의자란 무엇인가: 우치다 시게루의 <다실> *무엇을 위해 디자인하는가: 윤호섭의 <골판지 방석 의자> *미래에도 의자 디자인이 필요하다면: 판보 레멘첼의 <24유로 의자> 무대를 닫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