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분단 연구의 새로운 지향: 구조에서 수행으로 제1장 한반도 분단 현실에 대한 두 개의 접근: 분단체제론과 분단/탈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_박순성 제2장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분단 연구: 분단 번역의 정치와 ‘일상으로의 전환’_홍민 제3장 분단의 사회-기술적 네트워크와 수행적 분단_홍민 제4장 분단과 예외상태의 국가: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국가 폭력_홍민 제5장 분단 연구의 동향과 과제_ 조우현·조영주 제2부 안보, 분단의 블랙박스와 번역의 정치 제6장 천안함 사건의 행위자-네트워크와 분단체제의 불안정성_박순성 제7장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위협 인식과 대응에 관한 행위자-네트워크_고유환 제8장 행위자-네트워크로 본 간첩 사건_김병선 제9장 냉전의 ‘이종적 네트워크’로서 ‘평화의 댐’ 사건: ANT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_김종욱 제10장 북한 인권 문제와 한반도 분단체제: ?2014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_박순성 제3부 분단의 또 다른 얼굴: 행위자-네트워크로 본 북한 제11장 아날로그의 반란과 분단의 번역자들: 남한 드라마 시청의 행위자-네트워크를 중심으로_이희영 제12장 (탈)분단과 국제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_이희영 제13장 북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이용 행태 연구_이호규·곽정래 제14장 북한의 시장화와 젠더_조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