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는 어떻게 오는가 - 시적 언어와 상상력 여우는 어디로 사라졌을까 : 안도현 「그리운 여우」 사랑과 연민의 차이 : 장석남 「소나기」 사람을 찾습니다 : 황지우 「심인」 ‘쓴다’와 ‘클릭한다’ 사이에서 : 이 원 「나는 클릭한다 고로 존재한다」 2. 누구를 통해 말하는가 - 화자와 퍼소나 받아쓰십시오, 시인 선생님 : 장정일 「철강 노동자」 거미의 말 : 고형렬 「거미의 생에 가 보았는가」 ‘나’와 ‘너’는 이동 중 : 이장욱 「먼지처럼」 3. 소리는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가 - 구조와 리듬 다, 다, 두고 왔네 : 허수경 「바다가」 후하! 후하! : 황인숙 「조깅」 냉이와 나생이 : 김선우 「나생이」 사람이 자꾸 죽는다 : 이영광 「유령3」 4. 대상을 어떻게 보여 주는가 - 묘사와 이미지 의자 고행 : 김기택 「사무원」 물로 지은 방 : 김혜순 「눈물 한 방울」 버무린다는 느낌 : 문태준 「어두워지는 순간」 5. 감추면서 드러낼 수 있는가 - 은유와 상징 무언가 안 되고 있다 : 이성복 「극지에서」 그의 영혼은 고드름처럼 : 기형도 「이 겨울의 어두운 창문」 시와 농업, 오래된 미래 : 이문재 「농업박물관 소식」 달그락거리던 밥그릇 : 박형준 「해당화」 6. 시와 이야기는 어떻게 만나는가 - 서정과 서사 처용이 오래 살아남은 이유 : 최두석 「노래와 이야기」 기린은 왜 족장이 되었을까 : 송찬호 「기린」 술주정뱅이의 유머 : 심보선 「The Humor of Ex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