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 서문
1부 미시마 유키오 對동경대 전공투 1969
[토론]
눈동자 속의 불안 | 자아와 육체 | 타자의 존재란? | 자연 대 인간 | 계급 투쟁과 '자연'으로 돌아가는 투쟁 | 게임 또는 유희의 시간과 공간 | 지속과 관계 맺기의 논리 | 천황과 민중을 잇는 멘털리티 |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사유 방식 | 관념과 현실에서의 '미' | 천황과 프리섹스와 신인 분리 사상 | 사물과 말과 예술의 세계 | '천황·미시마·전공투'라는 이름에 대해 | 우리는 역시 적대하지 않을 수 없다
[토론을 마치고 I]
사막의 주민들에게 보내는 논리적 조사 - 미시마 유키오
[토론을 마치고 II]
미시마 유키오와 우리의 입장: 금기와의 결별 - 전공투H | 어떤 데마고고스의 패배 - 전공투C | 시간의 지속과 공간의 창출 - 전공투A
2부 미시마 유키오 對 동경대 전공투 1969~2000
[1막 근대 비판 I] 좌우 대립을 넘어서
근대의 초극 ― 미시마 유키오 대 동경대 전공투 | 바리케이드의 명랑함과 '파리 5월 혁명' | '민족적 시간'과 '혁명 공간' | 전공투와 3파 전학련 ― 무상성과 스탈린주의 | <풍요의 바다> | 일본적 시스템과 불교 | 공동체 닻올림과 메이지 국가 | 해방구와 아나키즘 | 미시마 유키오와 전황 | 일본어의 신체 ― 히로마츠 와타루와 '근대의 초극' 사상 | 국어의 성립과 여성성 | 일본과 유럽의 근대 과학 | 히로마츠 와타루의 '유서' ― 일본과 아시아 | 국가와 네이션 | <금각사>·하이데거·죽음 | 신체·일본인이라는 것 | 세계 경제 시스템과 일본
[2막 근대 비판 II] 기술=예술에 대한 물음
'공간'의 이념과 '공동체 | '미와 공동체와 동경대 투쟁'이라는 네이밍 | 모델로서의 결사(結社) ― 프랑스 혁명과 공희성 | 기계론적 사회관·기술·전공투 | 우애·목소리·전공투 | 총력전·원폭·전공투 | 전공투는 패배했는가? | 전공투의 '의미' | 기술과 현대의 '국가' | 기술에 대한 물음과 경제 시스템 | 생명 과학의 현 상태 ― 과학 기술과 존재론 | 기술의 시스템성 | 인구 문제
[토론 후기]
토론을 마치고 1 - 기무라 오사무 | 토론을 마치고 2 - 고사카 슈헤이 | 토론을 마치고 3 - 하시즈메 다이사부로 | 토론을 마치고 4 - 아사리 마코토 | 토론을 마치고 5 - 고마츠 요시히코 | 토론을 마치고 6 - <주간독서인> 편집부 아카시 겐고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