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부 철학적 예술론 ] 제1강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의 본질은 무엇인가? / 예술이란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 예술의 분류와 장르의 상호매체성 / 공간예술의 '유사시간'과 시간예술의 '유사공간' 제2강 예술과 미메시스 미메시스란 무엇인가? / 고고대 그리스에서 미메시스는 어떻게 철학적 의미로 사용되었는가? / 예술은 미메시스를 통해 어떻게 실재를 담는가? / 미메시스 개념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 역사적으로 살펴 본 미메시스의 다양한 의미 / 예술은 어떻게 자연을 모방하는가? 제3강 미와 예술 예술은 미를 어떻게 드러내는가? / 고대 그리스 조각은 미의 이상을 어떻게 나타냈는가? / 레싱의 라오콘론: 문학과 미술의 차이 / 해겔: 고전적 형식은 감각적 아름다움의 이상을 보여준다 제4강 플라톤의 예술론 실천학자로서의 플라톤 / 이데아의 철학 / 예술은 무엇을 모방하는가? / 플라톤은 에술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는가? / 규범적인 예술관 / 플라톤은 그의 이상국가에서 어떠한 예술이 추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가? / 예술의 자율성보다 더 우위에 있는 삶의 윤리 제5강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 플라톤의 학원에서 수학 / 리케이온에서의 학문연구 /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체계 / 예술의 자율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 모방은 왜 즐거움을 주는가? / 플모방의 수단에 의하여 예술 장르가 나뉘어진다 / 비극론과 시예술의 모방 - 비극은 무엇을 모방하는가? / 창조적 모방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 모방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비극의 주인공을 통해 어떻게 보편적인 것이 표현되는가? [ 2부 주요 사조의 예술론 ] 제6강 고전주의와 괴테의 예술론 고전주의란 무엇인가? / 괴테의 고전주의 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 독일 고전주의 문학의 정수 괴테의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에> / 괴테의 고전주의 예술관에서 본 르네상스 미술: 균형과 조화의 미: 라파엘로 / 르네상스적 천재의 전형: 미켈란젤로 / 인간적인 감정으로 표현한 종교적인 내용: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 고전주의 건축의 모범: 팔라디오의 빌라 로톤다 제7강 독일 낭만주의 풍경화 낭만주의란 무엇인가? /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풍경화의 세계: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 - 프리드리히의 생애와 창작활동 / 유한한 것과 무한한 것을 연결해 주는 자연 / 자연을 대면한 인간을 통해 어떻게 숭고감이 표현되는가? / 풍경화에서 종교적 상징이 어떻게 자연과 융합되어 표현되는가? 제8강 루카치의 리얼리즘 예술론 리얼리즘의 일반적 의미는 무엇인가? / 미술사에서의 리얼리즘 / 루카치의 리얼리즘 예술론 - 리얼리즘의 미학적 의미 / 루카치가 본 근대 리얼리즘 문학 / 리얼리즘의 시각에서 본 서구미술사 / 현대미술의 알레고리적 성격과 반리얼리즘 / 삶의 핵심을 전달해주는 리얼리즘 미술 / 모든 가치 있는 예술창작의 기초로서의 리얼리즘 제9강 표현주의 미술운동과 문학 표현주의 미술운동의 특징은 무엇인가? - 다리파 / 청기사파 / 표현주의적 경향을 지닌 화가들 / 표현주의 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 대표적인 표현주의 시: '세계의 종말' / 표현주의 문학은 어떤 환경에서 발생했는가? / 표현주의 시에 나타난 도시의 체험 [ 3부 현대예술론 ] 제10강 예술과 사회: 하우저의 현대 예술론 현대 사회와 예술 - 현대미술의 선구적 경향은 무엇인가? / 현대적 사회적 상황이 예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에술의 위기가 어떻게 도래하였는가? / 예술에 영향을 미쳤던 사회의 부정적인 징후들은 무엇인가? / 현대예술에 미친 사상적 영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현대예술의 특성 - 현대예술가들은 어떻게 현실로부터 이탈했는가? / 예술은 사회의 부정적인 징후를 어떻게 반영하는가? / 예술은 지속되는가? / 모더니즘 예술의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 콜라주와 몽타주 형식은 어떻게 현실을 반영하는가? 제11강 예술과 재현: 곰브리치의 재현론 모방에서 이미지의 구성으로 - 재현은 실재의 복사가 아니다 / 화가는 대상의 본질적인 형태를 어떻게 나타내는가? / 이미지의 구성에서 기억과 학습이 중요하다 / 지적인 작용이 이미지의 해석에서 중요하다 / 이미지와 기호 - 이미지는 기호이다 / 이미지는 표본과 도식에 의해 상징의 기호처럼 사용된다 / 미술과 환영 - 재현양식은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 이미지는 실재를 새롭게 볼 수 있게 만들어준다 / 환영을 만들어내는 데는 유사성과 원근법의 역할이 중요하다 제12강 현상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