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

473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전근대시기의 조선 여성들이 '전통'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근대'라는 낯선 시공간을 어떻게 체험하고, 기록하고, 부딪혀 왔는지 그 지난한 자취를 살펴본다. 수동적 모습의 조선 여성이 아닌, 능동적이고 급진적인 모습을 다양한 텍스트들을 통해서 알아 볼 수 있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여성이 기록한 여성의 삶 병인양요에 대한 기억-19세기 여성의 한글일기 <병인양란록> - 정우봉 근대격동기 몰락 양반가 여성 양주조씨 노년의 삶과 ‘화병’ - 문희순 덴동어미가 걷던 길 - 김하라 20세기 초 강릉김씨 부인의 여행기, <경성유록> - 김경미 만주로 망명한 여성, 가사문학 ?위모사?를 쓰다 - 고순희 근대기 반가 출신 옥성댁의 생애 경험과 기록 - 천혜숙 제2부 여성에 대한 근대적 시선과 재현 기생, 전통과 근대를 횡단하는 여성 - 박애경 근대계몽기의 노래와 신문에 포착된 과부들 - 이형대 여학교 주변의 여자들-신문?잡지에 나타난 제도교육 최초 형성기(1898∼1910)의 여성 재현에 대하여 - 홍인숙 화자와 주체로 본 유성기 음반(SP) 속 기생 - 장유정 제3부 근대전환기 여성 형상의 변화-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 여훈서(女訓書)를 중심으로 - 성민경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 이정원 20세기 초 ‘춘향 형상’의 변화 - 이지영 근대설화집의 여성 형상화-<온돌야화>, <조선민담집>, <조선동화대집>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 유정월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