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몸

박선영님 외 2명
39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58명)
0.5
3.5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58명)
코멘트
더보기

다양한 삶의 이력을 지닌 여성 88인의 몸 이야기와 이를 기록한 두 여성 제작자의 에세이 <말하는 몸>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질병, 우울, 출산, 직업병, 성폭력, 성정체성, 다이어트, 운동, 탈코르셋, 연대 등 여성의 삶을 말하는 수많은 주제들이 몸의 고백에서부터 시작된다. 총 두 권으로 출간된 <말하는 몸> 1권은 '몸의 기억과 마주하는 여성들', 2권은 '몸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여성들'에 초점을 맞춘다. 여성들이 자신의 몸과 삶에 대해 말하는 오디오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로 한 유지영 기자와 박선영 피디는 다양한 환경에서 분투하고 있는 여성들을 만나 질문을 건넸다.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은 무엇인가요?" "당신의 몸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말하는 몸>에 참여한 여성들은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부터 자신의 몸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느낀 순간, 월경이나 임신, 투병, 운동 등 몸의 변화가 일어난 순간, 타인에게 몸에 대한 피드백을 들었던 순간 등 몸을 구석구석 회고하며 자신의 언어로 몸의 역사를 말했다. 피디 정혜윤, 작가 이슬아,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국회의원 장혜영, 노동운동가 김진숙, 아나운서 임현주, 뮤지션 요조 등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들이 대거 참여하여 주목받기도 한 오디오 다큐멘터리 <말하는 몸>은 2019 제21회 양성평등미디어상 최우수상, 2020 제241회 이달의피디상을 수상했다. 여성들의 말을 글로 옮기면서 오디오 다큐멘터리에서는 편집된 부분들을 추가로 정리하여 공개하였으며, 각 출연자 에피소드에 박선영 피디와 유지영 기자의 에세이를 더했다. 그들이 여성들을 만나며 느낀 것들, 콘텐츠 제작자이자 한 여성으로서 공감하고 배워나가는 지점들까지 촘촘히 기록하여 여성 출연자들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깊이를 더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8(58명)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5

목차

책머리에 수백 가지의 몸, 수천 가지의 질문 4 1부 몸의 신호를 감각하다 _유지영 엮고 쓰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제 몸은 건강한 몸보다 허약해요 _백세희의 몸 14 씹는 동안에 괴로워진다 _정혜윤의 몸 22 혜경이에게 날개가 달리면 얼마나 좋을까요 _한혜경의 몸, 김시녀의 몸 32 장애 남성과 결혼할 일은 없다고 생각했어요 _배복주의 몸 41 글쓰기도 결국 몸으로 하는 일이더라고요 _이슬아의 몸 49 털이란 게 사소하지만 저에게는 크거든요 _줄라이의 몸 58 폴댄스를 하면 할수록 몸에서 자유로워졌어요 _곽민지의 몸 65 ‘귀여운 몸’이라는 사회적 자원을 놓치기 싫었어요 _강혜민의 몸 75 내 몸을 다 잘라버리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_배리나의 몸 83 콜센터 노동이 감정노동이라는 말은 절반만 맞아요 _오희진의 몸 92 이 사회는 임신한 여성의 몸에는 관심이 없어요 _송해나의 몸 101 행복해서 운동하러 오시는 분은 없거든요 _김수영의 몸 111 키스가 그렇게 황홀한 줄 몰랐어요 _김인선의 몸 120 제게 이 몸은 유일한 재산입니다 _김명선의 몸 129 하나의 감정으로 결론지어질 수 없는 부분이 크더라고요 _오드리의 몸 138 아시아 여성 말고 저라는 사람을 봐줬으면 좋겠어요 _봄이의 몸 148 어떻게 아이를 ‘그냥’ 낳나요 _박나비의 몸 157 여자가 아니면 꼭 남자여야 하나요? _챠코의 몸 165 몸매가 좋아진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 해요 _김다해의 몸 173 모범생이 되면 아무도 몸에 대해 뭐라고 안 한 대요 _정김의 몸 182 색칠할 도화지가 없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_이나연의 몸 191 공적인 자리에서 몸을 말하는 경험이 중요할 것 같았어요 _김슬기의 몸 198 2부 몸의 기억과 마주하다 _박선영 엮고 쓰다 이 몸이 역사 이야기를 할 책임이 있어요 _이용수의 몸 208 아프다고 말하기까지 10년이 걸렸어요 _조한진희의 몸 214 나와보니까 대한민국이 업소 같아요 _봄날의 몸 223 왜 여성은 죽어서도 평가당해야 하나요 _박보나의 몸 233 나와볼 만하다, 다시 살아볼 만하다 _정인숙의 몸 242 60킬로그램 환자를 들어올리는 일이거든요 _최원영의 몸 249 누가 감히 운동을 가볍게 권할 수 있을까요 _정인선의 몸 259 젠더 문제를 정치권에서 무겁게 받아들이면 좋겠어요 _신지예의 몸 268 그분들의 몸에 남은 상처는 그냥 상처가 아닌 거죠 _구수정의 몸 278 우리가 겪은 끔찍한 일을 이야기할 수 있는 용기 _하리타의 몸 289 하루 300킬로칼로리, 죽음에 가까워졌다는 느낌이 들어요 _강의 몸 299 가슴이 작아도 괜찮다는 말, 미묘했어요 _최리외의 몸 308 몸은 훨씬 더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도구니까요 _노지양의 몸 317 ‘조금 더 사랑하자’가 아니라 ‘조금 덜 미워하자’ _신나리의 몸 324 방송작가들은 자는 시간 빼면 뭘 하고 사는지 모르겠어요 _유은환의 몸 333 용서받고 싶다는 생각을 안 했으면 좋겠어요 _민희정의 몸 340 믿기 어렵겠지만 법조계에도 차별이 많아요 _조수진의 몸 348 레즈비언의 몸도 각자 다 다를 거잖아요 _김보라의 몸 358 다양한 사람들이 교사로 일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_김소연의 몸 366 슬픔을 드러내면 약한 사람이 되는 것 같았어요 _이현의 몸 375 이건 자기위로도, 자격지심도 아니야 _이성희의 몸 383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몸은 내가 살아온 날들의 역사이고 살아갈 날들의 가능성이다” 함부로 말해졌던 몸에 대해 스스로 말하기로 한 여성들 “<말하는 몸>은 여성의 몸을 통해 무수한 갈래로 뻗어나가는 세계를 접할 수 있는 위대한 프로젝트이다.” _요조(작가, 뮤지션) #여성의몸 #몸에세이 #여성서사 #여성인터뷰 #페미니즘 #에세이 피디 정혜윤, 작가 이슬아, 성매매 경험 당사자 봄날, 인권운동가 이용수… 한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의 몸 이야기 2019 제21회 양성평등미디어상 최우수상, 2020 제241회 이달의피디상 수상작 <말하는 몸> “여기 이렇게 말하는 몸들이 있다.” 다양한 삶의 이력을 지닌 여성 88인의 몸 이야기와 이를 기록한 두 여성 제작자의 에세이 『말하는 몸』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질병, 우울, 출산, 직업병, 성폭력, 성정체성, 다이어트, 운동, 탈코르셋, 연대 등 여성의 삶을 말하는 수많은 주제들이 몸의 고백에서부터 시작된다. 총 두 권으로 출간된 『말하는 몸』 1권은 ‘몸의 기억과 마주하는 여성들’, 2권은 ‘몸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여성들’에 초점을 맞춘다. 여성들이 자신의 몸과 삶에 대해 말하는 오디오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로 한 유지영 기자와 박선영 피디는 다양한 환경에서 분투하고 있는 여성들을 만나 질문을 건넸다.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은 무엇인가요?” “당신의 몸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말하는 몸』에 참여한 여성들은 몸에 대한 최초의 기억부터 자신의 몸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느낀 순간, 월경이나 임신, 투병, 운동 등 몸의 변화가 일어난 순간, 타인에게 몸에 대한 피드백을 들었던 순간 등 몸을 구석구석 회고하며 자신의 언어로 몸의 역사를 말했다. 피디 정혜윤, 작가 이슬아, 범죄심리학자 이수정, 국회의원 장혜영, 노동운동가 김진숙, 아나운서 임현주, 뮤지션 요조 등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들이 대거 참여하여 주목받기도 한 오디오 다큐멘터리 <말하는 몸>은 2019 제21회 양성평등미디어상 최우수상, 2020 제241회 이달의피디상을 수상했다. 여성들의 말을 글로 옮기면서 오디오 다큐멘터리에서는 편집된 부분들을 추가로 정리하여 공개하였으며, 각 출연자 에피소드에 박선영 피디와 유지영 기자의 에세이를 더했다. 그들이 여성들을 만나며 느낀 것들, 콘텐츠 제작자이자 한 여성으로서 공감하고 배워나가는 지점들까지 촘촘히 기록하여 여성 출연자들의 이야기를 확장하고 깊이를 더했다. 각계각층 여성들의 목소리가 수록된 이 책은 한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여성들의 생생한 ‘지금’이 담긴 논픽션으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이다. 친족 성폭력, 거식증, 비만, 논바이너리, 탈코르셋, 생리, 자위, 낙태… 여성의 몸에 대해 할 수 있는 모든 이야기 “사람들은 비만인 사람을 보면 자기들이 추측한 이야기를 늘어놓잖아요. 다들 게으를 것이고 잘 걸어다니지도 않고 잠도 많이 잘 것이라고요. 그런데 저는 걷는 것도 좋아하고 잠을 많이 자지도 않아요.” (『대학생 이나연의 몸) “공부를 열심히 해서 모범생이 되면 아무도 몸에 대해서 뭐라고 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실제로 똑같이 꾸미고 화장해도 공부를 못하면 ‘노는 애’로 바라보잖아요.” (학교 밖 청소년 정김의 몸) “콜센터 노동은 보통 감정노동이라고들 하잖아요. 맞는 말이긴 한데 절반만 반영하는 말인 것 같아요. 분명 육체노동의 측면이 있거든요. 귀는 계속 불특정 다수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고 입은 말해야 하고 손은 바쁘고 허리는 아프고 계속 앉아서 오랫동안 일하니까 가끔 화장실 문제가 있을 때는 방광이 터질 것 같고요. 강성 민원을 응대할 때는 심장이 벌렁거리기도 해요.” (콜센터 노동자 오희진의 몸) “내가 이렇게까지 해서 담배를 피워야 하나, 라는 식의 ‘현타’가 올 때가 있거든요. 그런데 그렇게까지 좋아하는 것이 있다는 얘기이기도 한 거예요. 저는 금연을 한 입장에서 담배를 끊는 게 좋다고는 생각하지만, 담배에 대한 사랑이 어쨌든 내 인생에서 중요했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러니 모두 열심히 감추시고, 열심히 피우십시오.” (여성학자 권김현영의 몸) “스물한 살 때 처음으로, 어딘가에 부딪히는 우연 따위 없이 적극적으로 클리토리스를 자극해봤어요. 혼자 침대에 누워 있다가 자연스럽게 만지기 시작했는데, 어느 순간 오르가슴을 느꼈어요. 평소에 쓰지 않던 단어였지만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오르가슴’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더라고요. 그때 그 방안의 온도나 기분이 생생하게 기억나요.” (섹스토이샵 대표 강혜영의 몸) “저는 다시 태어나도 노동운동을 할 것이고, 선택할 수 있다면 청소하는 노동자, 식당에서 일하는 노동자로 살아보고 싶어요. 또 한번 빡세게 살아보고 싶어요. 그때는 몸에게 원망 듣지 않고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노동운동가 김진숙의 몸) 몸에 관한 구호들은 넘쳐나지만, 현실적으로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게 바로 ‘몸’이다. 우리는 ‘몸’을 주제로 대화할 때 자연스럽게 콤플렉스라 생각하는 신체 부위를 먼저 떠올리곤 한다. 사회가 말하는 이상적인 몸의 기준에 맞춰 ‘되고 싶은 몸’ ‘되어야 하는 몸’을 생각하느라 좋았던 기억과 아팠던 기억, 수많은 서사와 관계를 품고 있는 몸을 돌아볼 기회는 부족했다. 내 몸은 어떤 기억을 지니고 있을까. 내 몸은 어떤 신호를 보내고 있을까. 내 몸에 대해 마음껏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 과연 어떤 이야기부터 나올 것이며 마침내 어떤 이야기까지 터져나오게 될까. 유지영 기자와 박선영 피디는 여성들이 분명 내내 몸에 품고 있었지만 발화될 기회가 없었을 뿐인 말들을 직접 찾아나서기로 했다. 처음 <말하는 몸>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주변에서 “비슷한 이야기들이 중복되지 않겠어?” “여자들은 다이어트 얘기만 하잖아”라는 걱정을 사기도 했지만, 실제로 마주한 여성들의 몸은 하나하나 달랐다. 평생 육체노동자로 일하며 세 아이를 키운 미싱사 김명선에게 몸은 “유일한 재산”이다. 작은 키로 소극적이게 살아왔던 번역가 노지양에게는 “나를 더 먼 세상으로 데려다주는 수단”이고, 여성을 위한 섹스토이숍을 운영하는 강혜영에게는 “누구도 함부로 어지럽혀서는 안 될 내 집”이다. 또 아일랜드 교민 봄이에게는 “작고 인종이 다른 몸”이고, 장애여성공감 전 대표 배복주에게는 “연애관계에서 ‘하자가 있다’고 여겨지던 몸”이다. 그 밖에도 날씬하지 않고 식욕이 왕성한 요가 강사, 미인대회 출신 중학교 음악 교사, 하루 300킬로칼로리씩 섭취했던 섭식장애 경험자, 여름이 끔찍하게 싫은 다모多毛인, ‘똥꼬에서 피 날 때까지’ 일하던 방송작가, 구두를 신고 태평양을 걸어서 건너는 승무원, 위험상황에서 ‘인간 방패’가 되는 활동가, 담배를 사랑하는 여성학자, “생리 해방 세상!”을 외치는 생리중단시술 경험자 등 다양한 직업군, 다양한 경험, 다양한 관점의 몸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몸이 겪었던 폭력과 상처에 대해 이야기하는 여성도 있었고, 몸의 기능과 잠재력을 발견하는 기쁨에 대해 이야기하는 여성도 있었다. 한편 같은 주제에 관해서도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는 글들을 함께 읽을 수 있다는 것도 『말하는 몸』의 묘미다. 예를 들어, 운동하면서 느낀 해방감을 말하는 여성도 있지만, ‘누구나 평등하게 운동할 수 없는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시선으로 말하는 여성도 있다. 또 성범죄 피해 당사자인 여성들의 목소리와 이들을 변호하고 조력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여성들의 목소리도 함께 실려 있다. 이렇듯 여성들이 말하기로 결심한 몸의 서사는 저마다 다르나 ‘오늘 이 자리에서 이 말을 하겠다’는 의지, ‘이 이야기를 다른 이에게 들려주겠다’는 의지만은 하나같이 닮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질문하는 몸과 대답하는 몸이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5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