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당신은 계속 ‘국민’이고 싶은가 역자 서문 서장 남만병풍이 말하는 것―세계시스템과 국민문화에 대하여 1. 지구시대의 개막 2. 구식민지로 연결된 ‘하얀 길’ 3. 국민문화라는 성역 제1부 국가이데올로기로서의 문명과 문화 1. 쇠사슬과 꽃장식 2. 문명과 문화―말의 탄생과 관념의 변용 3. 대항개념으로서 문명과 문화―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4. 일본에서의 문명과 문화 5. 전후로 넘겨진 국민문화론 제2부 지구시대의 ‘민족=문화’이론 1. 전후 시기 ‘민족’에 대한 향수어린 회상―다케우치 요시미의 ‘국민문학론’ 2. 고전적·정태적인 문화 모델 3. 민족과 문화―문화의 정의를 둘러싸고 4. 양심적 대응책―문화상대주의와 비교문화론 5. ‘민족=문화’ 개념의 전환을 보여주는 몇 가지 징후 6. ‘국민문화’로부터의 해방―동태적인 문화 모델 제3부 일본인론·일본문화론을 묻는다―자국에 대한 과잉관심은 어디에서 오는가? 1. 사회현상으로서의 일본인론·일본문화론 2. 역사적 고찰―서구화와 회귀 3.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인론·일본문화론 저자후기 부록 일본인론·일본문화론 관련 연표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