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1. 동일성 신화의 마감 2. 예후로서의 포스트해체주의 1장 엔드게임으로서의 철학과 미술 1. ‘마지막 쇼’로서 엔드게임 2. 엔드게임하는 철학과 미술 2장 엔드게임하는 해체주의 1. 데리다의 엔드게임과 해체주의 2. 엔드게임으로서 해체주의 예술론 3장 엔드게임과 포스트모더니즘 1. 엔드게임의 두 얼굴 2. 리오타르의 엔드게임 3. 엔드게임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4장 엔드게임 시대의 현대미술 1. 현대미술의 엔드게임으로서 탈구축 현상 2. 탈구축 표현양식의 방법적 특징 3. 해체주의와 추상미술 4. 엔드게임의 서막과 외광파의 등장 5장 포스트모더니즘과 현대미술 1. 두 개의 시계인가, 양면성인가? 2.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징후와 양식 3. 엔드게임하는 미술사 6장 현대미술-발광하는 엔드게임 1. 인간의 본성으로서 광기 2. 광기의 시대와 현대미술 3. 엔드게임과 회화적 실존주의 7장 종말의 예후와 탈구축 이후 1. 미술의 종말과 해체의 후위 2. 탈구축 이후와 미래서사 3. 포스트해체주의 시대의 미술 결론 부록 용어로 다시 읽기 참고문헌 도판목록 인명색인 사항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