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 러셀, 톨스토이의 행복론과 더불어 세계 3대 행복론으로 꼽히는 명저 ★
★ 100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알랭의 행복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다 ★
★ 법의학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교수 유성호 강력 추천 ★
행복을 밀어내지 않고 곁에 두는 마음가짐과 태도에 관한 선명한 통찰
“스스로 행복하기를 바라지 않는다면 절대로 행복해질 수 없다.”
『아주 오래된 행복론』은 20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철학가이자 비평가인 알랭이 1906년부터 1936년까지 프랑스 신문에 연재한 철학적이고 짧은 에세이(일종의 칼럼으로 프로포[propos]라고 불렀다) 중에서 행복을 주제로 한 글을 선별해 담은 에세이집이다. 1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행복에 대한 그의 철학과 지침은 하나도 퇴색되지 않고 오히려 또렷하고 분명하게 다가온다. 시대가 변하고 가치관이 바뀌어도 인간의 감정, 의지, 행동, 관계 등 행복을 이루는 핵심과 본질은 변치 않기 때문일 것이다.
행복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대한민국 헌법에도 누구나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는 문구가 명시되어 있듯, 행복이란 사람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이다. 알랭은 그 시대에도 일찌감치 행복은 권리이자 ‘의무’라는 관점을 제시하면서 행복에 대한 인식을 뒤흔들어놓았다. 책은 이러한 철학을 기반으로 희미하기만 한 행복을 손에 잡힐 듯이 선명하게 그려낸다. 사전적으로 행복이란 ‘생활하면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상태’이다. 언뜻 매우 단순한 것 같지만 인간이라는 복잡한 존재는 과거에 사로잡혀 후회하며 우울해하거나 미래를 두려워하며 불안에 떠느라 행복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만다. 더구나 빈부의 격차가 심해지고 미디어의 발달로 서로를 비교하기에 바쁜 현실을 살아내는 현대인에게 행복은 점점 거창하게 부풀려져 다가오고 그래서 원할수록 멀리 달아나는 것처럼 느껴진다.
알랭은 모두에게 행복은 중요한 주제이며, 행복은 ‘감정’이 아니라 ‘행동’이라고 강조한다. 모든 일은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어렵고 복잡하고 슬프고 우울하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생각을 멈추고 의지를 갖고 자리에서 일어나 직접 해보면 훌쩍 행복이 가까워진다. 새해가 되면 모두들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를 입버릇처럼 나눈다. 여기서 말하는 ‘복’이 바로 ‘행복’이다. 이 흔한 인사처럼 복이 그냥 굴러들어온다면 얼마나 좋을까마는, 복은 가만히 있어도 거저 받는 소극적인 것이 아니라 작더라도 자기 몸을 움직여서 스스로 적극적으로 만들어갈 때 손에 넣을 수 있다. 『아주 오래된 행복론』을 읽다 보면 행복이 추상적인 개념이 아닌, 일상의 작은 순간에서 의식적으로 추구하고 실천해야 하는 삶의 방식임을 마음 깊이 새기게 된다. 행복으로 가는 길을 찾고 있다면 이 책이 등대처럼 환한 불빛으로 그 길을 밝혀줄 것이다.
☞ 21세기북스 구독 채널
▶ 페이스북 facebook.com/jiinpill21 ▶ 포스트 post.naver.com/21c_editors ▶ 인스타그램 instagram.com/jiinpill21
▶ 홈페이지 www.book21.com ▶ 유튜브 youtube.com/book21pub
☞ 함께 읽으면 좋은 에쎄 시리즈
삶의 새로운 문을 여는 산문, '에쎄’
에쎄는 ‘시험하다’ ‘경험하다’ 등을 뜻하는 ‘에세이예(essayer)’에서 유래한 단어로,
‘나’로부터 출발해 스스로를 깊게 탐구하며 ‘재발견’하고 ‘재정립’함으로써, 삶의 새로운 문을 열게 하는 산문 시리즈입니다.
01 좋은 죽음에 관하여 | 미셸 에켐 드 몽테뉴 지음 | 박효은 옮김 | 정재찬 기획 | 256쪽(각양장) | 값 19,800원
02 원칙 없는 삶 |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 김용준 옮김 | 박혜윤 기획 | 264쪽(각양장) | 값 19,800원
03 침묵의 서 |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지음 성귀수 옮김 | 232쪽(각양장) | 값 19,800원
04 아주 오래된 행복론 | 알랭 지음 김정은 옮김 | 304쪽(각양장) | 값 19,800원
05 헤밍웨이의 파리를 걷던 시간들 |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근간)
“당신의 행복은 진정 당신의 것인가?”
100년 전에 ‘행복의 본질’을 꿰뚫어 본 알랭의 통찰
‘행복의 외주화’라는 말이 있다. 행복을 자기 안에서 찾거나 스스로 만들어나가려 하기보다는 외부 요인이나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고 내맡기는 현상을 뜻한다. ‘보이는 것이 모든 것’인 것처럼 여겨지는 오늘날에는 특히 행복의 기준을 자신이 아닌 외부에서 찾기 십상이다. 남들만큼 가져야, 남들만큼 높은 지위에 올라야, 남들만큼 멋지고 아름다워야 행복할 수 있다는 ‘행복의 기준’은 오히려 사람들을 행복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든다. 내가 정한 행복이 아닌 사회가 정한 기준에 맞춰야 한다는 압박감에 지속적으로 시달리기 때문이다. 손쉽게 행복해지고자 남의 손을 빌린 셈인데, 아이러니하게 그럴수록 행복에서 자신이 소외된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 이어지면 어떻게 될까? 멀리 갈 것도 없이 자신과 주변을 돌아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 결과를 매일같이 목격하고 있으니 말이다. 불행의 책임을 타인에게 전가하며 네 탓을 하는 데 골몰하고, 외부 상황에 감정이 좌우되는 통제력 상실에 시달리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또한 ‘만약 ~~만 하면 행복할 텐데’라는 조건부 행복에 익숙해지는 한편, 이러한 외부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만성적인 불행감을 느끼는 사람도 비일비재하다. 현대인이 그토록 큰 스트레스에 허덕이고 정신적 허기짐에 짓눌리고,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등을 흔히 앓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행복의 외주화를 극복하고 진정한 행복을 찾기 위해서는 외부 상황과 관계없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고,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가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 또한 미래에 달성해야 하는 조건이나 과거의 경험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의 순간을 충실히 살아가야 한다. 100년 전에 알랭이 설파한 행복론과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해법이 아닐 수 없다. 알랭은 행복이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 의지와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면서 행복을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두 똑같은 모습을 하고 똑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두고 행복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알랭은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을 보통 사람의 눈높이에서 탁월하게 재구성하여 제시하는 한편, 일상에서 행복을 실천할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한다. 책을 읽다 보면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가운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혜와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지하고 행동하면 행복해지지만, 게으름을 피우면 곧바로 근심과 후회에 빠진다.”
행복의 열쇠는 일상의 작은 실천
행복의 본질과 실천 방법을 뜬구름 잡는 식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하는 이 책은 일단 ‘정념’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정념(情念)이란 감정에 따라 일어나는, 억누르기 힘든 생각을 뜻한다. 누구나 깊은 밤 홀로 깨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에 괴로운 시간을 보낸 적이 있을 것이다. 알랭은 이러한 상태를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지만 생생한 고통’이라고 말한다.
정념에 대한 알랭의 견해는 데카르트의 『정념론』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데카르트는 우리 몸과 감정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우리의 신체 상태가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역으로 감정이 신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알랭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조절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의지와 적극적인 노력 그리고 무엇보다 실질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우리는 종종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상상하며 불안해하거나, 문제의 원인을 엉뚱한 곳에서 찾아 걱정을 키우곤 한다. 이런 경험을 떠올리면 알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