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경성 모더니즘론 1. 경성과 모더니즘의 이율배반 2. 제국 공간과 식민지 소설의 지형도 3. 식민지 근대화와 경성 모더니즘 제2장 경성의 도시구역 분화와 소설의 재현양상 1. 일상공간(북촌)과 리얼리즘: 『천변풍경』 2. 공적 공간(서촌)과 알레고리: 「윤초시의 상경」, 「애욕」 1) 사라진 공간지표와 방향 상실: 「윤초시의 상경」 ― ‘서대문정2정목 34번지’ 2) 대한제국의 흔적과 공간 선택의 문제: 「애욕」 ― ‘인사동 119번지’ 3. 이역공간(남촌)과 불완전한 재현: 『금은탑』 4. 배후공간(용산)과 우회적 서술: 「피로」, 「길은 어둡고」 제3장 식민지 도시의 산책자와 정치적 무의식 1. 식민지 산책자의 아나키즘적 욕망: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2. 서대문형무소 에두르기: 『낙조』, 「최노인전 초록」 3. 밤의 산책자와 억압된 꿈의 기억: 『적멸』 4. 경성의 배후와 통속 연애소설의 이면: 『청춘송』 제4장 대경성 확장과 소설적 대응 1. 공간재편과 미완의 기획: 『애경』 2. 식민자본과 악순환의 서사: 『사계와 남매』 제5장 세계문학 속 경성 모더니즘의 의의와 과제 보론 경성의 모더니스트, 박태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