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 2
제2장 법명제(Rechtssatz)의 의미와 구조 / 12
제3장 구체적인 법적 판단을 법명제로부터 획득하는 작업, 특히 포섭의 문제 / 60
제4장 추상적인 법적 판단을 법명제로부터 획득하는 작업: 법명제의 해석과 이해 / 96
제5장 법명제의 해석과 이해: 입법자인가 법률인가? / 141
제6장 법률가법(Ⅰ): 불확정 법개념, 규범적 개념, 재량, 일반조항 / 177
제7장 법률가법(Ⅱ): 흠결보충과 잘못된 법률의 수정 / 228
제8장 법률에서 법으로, 법학에서 법철학으로 / 307
□ 후기: 칼 엥기쉬의 생애와 저작 / 337
□ 옮긴이 후기 / 342
□ 참고문헌 / 346
□ 사항색인 / 366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https://an2-img.amz.wtchn.net/image/v2/30n2nHWSAw51zVsHKabnBg.png?jwt=ZXlKaGJHY2lPaUpJVXpJMU5pSjkuZXlKd0lqb2lMM1l5TDNOMGIzSmxMM0J5YjIxdmRHbHZiaTh4TlRBeU9USTRPRE14T1RJek9EUTNOU0o5LnJhWnI0MTlmU3o2TFBzZVVyemhLQksxRjdUZG1GMkZMYkJiWWhYVWR1cmM=)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https://an2-img.amz.wtchn.net/image/v2/eG_9e_QNuoozo-T-wRT1vw.png?jwt=ZXlKaGJHY2lPaUpJVXpJMU5pSjkuZXlKd0lqb2lMM1l5TDNOMGIzSmxMM0J5YjIxdmRHbHZiaTh4TURReE56ZzBNemd6TlRFM09UUTVNU0o5Lk5oMmExaFA3U3JLeVVpZWdRbl9ET0NjSzRQMVczWExMV2RDVUR6eFVRcU0=)
<법학방법론>은 독자들에게 법학적인 사고방법뿐만 아니라, 법 자체 그리고 법의 개별 영역에 대해서도 소개하는 <법학입문>과는 다른 목표를 추구한다. 이 책은 무엇보다 법과대학 학생들과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 법학적 사고의 비밀스럽고도 동시에 의심스러운 논리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물론 법발견(Rechtsfindung)이라는 핵심문제만을 고려할 뿐, 예컨대 법적 개념구성과 체계형성과 같은 ‘고도의’ 도그마틱 활동은 이 책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문의 서술에서 등장하는 실질적인 법적 문제들은 오로지 법발견의 관점에서 다루게 된다. 법학적 논리학과 방법론은 실질에 부합하는 법학적 인식과정에 대한 성찰이다. 그러므로 법학적 논리학과 방법론은 인간의 인식능력에 주어 진 한계 내에서 ‘진리’를 발견하고 충분한 근거가 있는 판단을 내린다는 목표를 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