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네스코의 연극적 상상력은 반(反)연극이라는 타이틀 <의무의 희생자>를 탄생시켰다. 이 희곡은 1953년 2월 카르티에라탱 극장에서 자크 모클레르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무대 음악은 폴린 캉피슈, 무대장치는 르네 알리오가 맡았다. 1954년 바빌론 극장과 1959년 샹젤리제 극장에서의 재공연은 자크 노엘이 무대장치를 맡았다. 플롯은 1952년 자신이 발표한 동명의 1인칭 소설 ≪의무의 희생자(Une victime du devoir)≫에서 따왔다.
슈베르-이오네스코, 니콜라-이오네스코
사이코드라마적 특징을 보이는 이 작품은 이오네스코의 개인의 고정관념, 고뇌, 환상이 잘 드러나 있다. 특히 주인공인 슈베르의 죽은 아버지와 수사관을 동일시한 것은 이오네스코적 콤플렉스를 드러내는 심리극이라 할 만하다. 실제로 작가의 죄의식이 매우 강조되어 있다. 그의 어린 시절 경험처럼 슈베르-이오네스코는 용서하라고 말하는 엄마의 말을 경청한다. “용서해야 한다, 얘야, 힘들겠지만… 눈물의 시간이 오고, 후회의 시간이 오고, 고백성사의 시간이 올 것이다… 아버지를 용서하렴.”
또한 이오네스코는 작중인물 니콜라를 자신의 대변자로 삼아 연극에 대한 고유한 생각을 관객에게 설명하도록 한다. <의무의 희생자> 역시 연극 형식을 갖춘 전통적 드라마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 이를 통해 아방가르드 연극을 옹호한다. 쓰인 모든 희곡은 과거부터 오늘날까지 탐정극에 불과하다고 슈베르는 주장한다. 연극은 사실주의 극이거나 탐정극일 뿐이다. 모든 연극은 그럴듯한 결말로 향하는 일종의 탐색이다. 거기에 하나의 수수께끼가 있고, 그것의 정답은 마지막 장면에서 밝혀진다. 니콜라는 비이성적 연극, 몽환극, 초현실주의 연극에 대한 생각을 펼친다. 그의 주장에서 이오네스코의 연극관을 만날 수 있다.
의무의 희생자
<의무의 희생자>는 권위와 이데올로기로 인간을 옭아매는 상황에 대한 저항으로 읽힌다.
섬세하고 복잡한 성격의 존재인 슈베르는, 처음과 달리 차츰 잔인한 존재로 변해서 슈베르에게 강제로 지식을 주입하는 즉 빵을 강제로 삼키도록 하는 수사관에 의해 진흙 속으로 빠져든다. 그러다가 빛을 향해 올라가면서 어린 시절에 겪었던 상처들, 늙음과 죽음에 대한 불안, 존재들 상호 간의 몰이해, 사랑의 불가능성 등을 발견한다. 잠재의식의 미로 속에서 망설이는 슈베르를 행동하게 이끄는 그의 아내 마들렌은 기성 질서의 승리자이자 권위에 복종하는 보수주의자다.
이러한 슈베르, 마들렌, 수사관, 심지어는 수사관을 죽이는 니콜라 역시도 모두 ‘의무의 희생자’ 부류에 속한다.
꿈의 무대
이 작품은 통일성이나 일관성이 없어 보이기도 해 극의 흐름을 따라가기가 쉽지는 않다. 몽환 속에서처럼 인물들은, 작품의 정신과 일치하도록 끊임없이 변화와 변신의 흐름 속에서 움직인다. 현실의 관객은 꿈의 세계로 들어가 있는 듯하다.
이 점은 이오네스코가 의도한 바다. 자신의 의식 상태, 기억, 불안에 맞댈 수 있는 어떤 불편함을 야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초현실주의자들이 즐겨 다룬, 깨어 있는 꿈의 무대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