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1부 『순수이성비판』의 구조와 과제 1강 ? 『순수이성비판』의 구조 인식의 구조 | 인간 이성의 운명과 비판 |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 대상과 인식의 일치 | 인식의 두 가지 원천 | 3대 비판서의 주제 2강 ? 초월론 철학의 과제 합리론과 경험론을 넘어 | 분석판단과 종합판단 | 순수이성의 원천과 한계 | 초월적 철학 2부 초월적 감성학 3강 ? 경험적 직관과 시공간 경험적 직관 | 순수직관으로서의 시공간 | 시공간에 대한 기존의 입장들 4강 ? 시공간 개념에 대한 증명 공간이 순수직관인 이유 | 시간이 순수직관인 이유 | 시공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해설 | 철학적인 것에 대하여 5강 ? 초월적 감성학의 의미 초월적 관념성과 경험적 실재성 | 논리적 구별과 초월적 구별 3부 초월적 논리학 1 : 분석학 6강 ? 감성과 지성 인식의 두 원천 | 초월적 논리학과 초월적인 것 | 초월적 분석학과 초월적 변증학 7강 ? 초월적 분석학과 판단의 문제 순수지성(개념)의 요건 | 순수지성 개념들을 발견하는 초월적 단서 | 무한판단의 문제 8강 ? 범주에 대하여 범주, 지성의 순수개념 9강 ? 직관과 범주의 접속 문제 초월적 연역에 대하여 10강 ? 순수지성 개념의 연역(초판) 경험 가능성을 위한 선험적 근거 | 직관에서의 포착의 종합 | 상상력에서의 재생의 종합 | 개념에서의 인지의 종합 | 대상=X와 초월적 통각 | 선험적 인식에 있어 범주들의 가능성 | 대상에 대한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 11강 ? 순수지성 개념의 연역(재판) 주관성이 정초하는 객관성 | 지성과 상상력의 관계 | 통각, 지성의 근본 기능 | 인간과 신과 동물 | 객관적 타당성 | 생각하는 나와 존재하는 나 | 자연의 법칙은 나의 범주에 있다 12강 ? 도식론과 판단의 원칙론 판단력에 대하여 | 도식론의 문제의식과 라이프니츠의 충분이유율 | 시간의 도식 | 양의 범주의 도식 | 성질 범주의 도식 | 관계 범주의 도식 | 양상 범주의 도식 | 도식에서 해방된 범주 13강 ? 선험적 종합판단의 원칙들 원칙론의 문제의식 | 수학적 원칙과 역학적 원칙 14강 ? 현상체와 예지체 지성의 땅과 가상의 바다 | 개념의 경험적 사용과 초험적 사용 | 예지체에 대한 오해 | 예지체의 적극적 의미와 소극적 의미 | 라이프니츠 철학에서 반성 개념의 모호성 4부 초월적 논리학 2 : 변증학 15강 ? 순수이성과 형이상학 초월적 가상에 대하여 | 초월적 가상과 순수이성 | 초월적 이념 16강 ? 순수이성의 오류추리 ‘나는 생각한다’ | 실체성의 오류추리 | 단순성의 오류추리 | 인격성의 오류추리 | (외적 관계의) 관념성의 오류추리 | 순수 영혼론의 결산 | ‘나’(영혼)의 속성과 범주의 관계 | 매개념 다의의 오류 | 훈육으로서의 이성적 영혼론 17강 ? 순수이성의 이율배반 순수이성의 안락사 | 우주론적 이념들의 체계 | 첫번째 이율배반 | 두번째 이율배반 | 세번째 이율배반 | 네번째 이율배반 | 에피쿠로스주의와 플라톤주의의 대립 | 이율배반의 이유와 비판의 척도 | 변증학 해결의 열쇠로서의 초월적 관념론 | 우주론적 논쟁에 대한 비판적 판결 | 이율배반의 가상적 상충 | 순수이성의 규제적 원리 | 수학적 이율배반의 해결 | 역학적 이율배반의 해결 18강 ? 순수이성의 이상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성 |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성 | 물리신학적 증명의 불가능성 | 이념들의 규제적 사용 | 이성의 변증성과 그 궁극적 의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