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백석

김자야
263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추억을 위한 변명 1부 운명내 나이 열여섯에 마누라! 마누라! 기생 진향 2부 당신의 '자야'당신만 아는 이름 '자야' '모던 보이'와 북관의 여인들 '바다'같은 사람 이별 연습 청진동 연가 나와 나타샤 삼우오(三羽烏) 사랑의 위기 방황 당신은 가고…… 짝 잃은 외기러기 3부 흐르는 세월 너머바람벽에 그려보는 얼굴 시인의 절규 꿈에 오신 당신 시 속에 당신 모습이 시전집 품에 안겨 여든살의 청년 당신 곁으로 아름다운 인연, 아름다운 족적 / 이동순 백석 시인 연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당신이 지어준 자야(子夜)라는 이름은 이 세상에서 우리 둘만이 알고, 오직 우리 둘만이 서로 통하는 나의 애칭이 되었다. 이 세상에서 그 이름을 불러줄 수 있는 분은 오직 백석, 당신뿐이다. 1. 시집『사슴』(1936)의 시인 백석(白石), 그의 연인 김자야가 50여 년 만에 털어놓는 백석의 삶과 사랑 백석은 자야의 노래에 묻혀난다 자야는 백석의 시에 묻혀난다 황토색 짙은 서정으로 30년대 우리 시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시인 백석(白石:1912∼?). 베일 속에 싸인 그의 20대 시절을 회고한 김자야(金子夜:1916∼)여사의 회고록 『내사랑 백석』이 출간되었다. 백석시인과 자야 여사의 애절한 사랑이야기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이 책은 백석 시인이 아끼고 사랑했던 김자야야 여사가, 백석과의 러브 스토리를 애틋한 어조로 복원한 것이다. 현재 팔순 가까운 노구인 자야 여사는 백석시인의 영원한 연인으로서, 시인 백성의 꾸밈없는 인간적인 품성과 자상하고 섬세한 마음씨, 30년대 문우들과의 교우관계, 그리고 그의 시가 발산하는 애틋한 정조의 이면 등과 함게 반백년을 넘어서기까지 이어지고 있는 자야 여사의 백석 시인에 대한 긴긴 그리움을 물속처럼 투명하게 보여준다. 2. 미스테리로 남아 있는 백석의 삶 복원! 한국 현대문학사에 있어서 가장 훌륭한 시와 산문, 그리고 소설과 번역물을 남긴 백석은 애당초 소설가로 출발하여 시인으로 돌아선 당대 최고(最高) 시인이었다. 오랜 세월 국토분단이라는 수렁 속에 월북작가가 아니면서도 월북작가 이상으로 부당하게 취급되어 오다가 해금된 지 어언 8년, 이미 시중에는 『백석시선집』(1987)을 비롯하여 백석의 일댁를 종합적으로 추적 복원한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1994)이 간행되어 독자들이 자유롭게 백석의 시를 읽고 백석의 삶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sfur 가운데서도 미진한 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가 왜 만주로 갔는지, 멋쟁이였던 모던 보이가 어떻게 토속적인 시를 쓸 수 있었는지, 그의 시에 나오는 나타샤, 당신, 고흔 당신, 허준 같은 이는 누구인지, 어떤 친구가 있었는지, 함흥 영생고보는 왜 그만두게게 되었는지, 그의 성격은 어떠했는지, 이 모든 궁금증은 그의 시를 연?는 데 귀중한 단서가 되는 것들인데 지금까지 상당 부분이 미스테리로 남아 있어서 뜻있는 독자들을 안타깝게 했다. 이같은 궁금증에 대한 답변이 될, 『내 사랑 백석』은 애틋한 러브 스토리로서 뿐만 아니라 백선 연구의 보조 텍스트로서의 그 의의는 각별하다. 3. 이 책이 집필되기까지 이 책의 산파역을 담당했던 이동순 시인에 따르면(「아름다운 인연, 아름다운 족적」), 원고 집필 경위는 한편의 소설만큼이나 흥미진진하다. 1987년, 이동순 시인은 『백석시전집』을 펴낸 지 얼마 안 되어 연구실에서 한 통의 전화를 받는다. 발신자는 단정하고 기품있는 음성의 할머니이었는데, 자신은 "20대 초반, 어여쁘던 처녀 시절에 함경도 함흥에서 시인 백석과 처음 만나서 뜨거운 사랑에 빠지게 되었고, 이후 3년간 서울 청진동의 한 작은 집에서 혼례를 치르지 않은 부부로서 함께 산 적이 있노라."고 말했다. 대뜸 모든 내력을 알아차린 이 시인은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곧 상경하여 그 할머니를 만난다. 자신을, 백석 시인이 지어준 아호 자야(子夜)로 불러달라고 말한 그 할머니는 백석 시인과 관련된 한많은 생애을 조용히, 상기된 표정으로 이야기했다. 그녀가 구구절절이 쏟아놓는 지난 시절의 반작이는 사연들을 보면서, 그녀의 추억 속에 너무도 큰 부피로 깃들어 있는 백석 시인을 흠뻑 느낄 수 있었다며, 이동순 시인은 그 당시 심정을 이렇게 적고 있다. "나는 (……)동시에 함흥 시절에 쓴 백석 시의 애틋함과 고뇌와 갈등 따위가 일시에 정돈된 풍경으로 다가왔다. 내가 그토록 존경하고 흠모하던 한 선배시인의 풍모와 채취를 새삼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회에 나는 몹시 흥분의 도가니로 빠져버렸다." 그는 일차로 자야 여자가 굽이굽이 펼치는 백석 시인과 관련된 생애를 엮어서 『창작과 비평』(통권 59호)에 「백석, 내 가슴속에 지워지지 않는 이름」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이 글이 발표된 이후에도 이동순 씨는 미진한 감과 함께 아쉬움을 감출 수 없었다고 한다. 특히 자야 여사가 그토록 사랑했던 사람 백석의 인간적인 풍모에 관한 기술이 생기를 얻지 못해 미흡한 마음을 금치 못하고 있다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야 여사에게 틈틈이 백석의 3년 동안을 정리해보기를 강권하다시피 권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자야 여사는 이미 1930년대 중반 파인 김동환이 발간하던 잡지 『삼천리』지에 수필을 발표한 바가 있었고, 한 때 기생의 신분이긴 했으나 일본 유학까지 갔다온 인텔리 여성에다가 1953년 만학으로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까지 졸업한 학구파였다. 자야 여사가 이 원고에 쏟아부은 고공력과 노고는 대단한 것이었다. 1992년 봄부터 이후 4년간이나 쉬지 않고 틈틈이 계속된 집필이었다. 그렇게하여 이동순씨는 200자 원고지 앞뒤에 종서로 빽빽하니 써내려간, 낭군 백석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의 원고를 받아내게 되었다고 한다. 그때 자야 여사는 이미 팔순이 가까운 노구였다. 그녀는 이 글을 쓰면서 때때로 밤을 새우기가 여러 번, 심지어는 건강에 무리가 왔고, 이로 말미암아 두어 차례 입원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내 사랑 백석』은 그야말로 난산(難産)이었다. 4. 내용, 그리고 가치 26살 청년 시인 백석을 만났을 때, 자야 여사는 22살이었다. 그로부터 3년간이 사랑의 절정기였다. 그러다가 백석이 돌연 만주 신경으로 떠났고, 자야 여사는 짝잃은 외기러기 신세가 되었다. 백석을 향한 순정을 온전히 간직한 채 어느덧 팔순의 눈앞에 둔 호호백발 할머니가 되었다. 생사조차 확인할 길 없는 북녘 땅의 낭군을 그리는 이 팔순 소녀의 마음은 그때 그 시절 그대로 순수하고 맑다. 그러나 그녀의 순정은 단순한 순애보로 취급해버릴 수만 없는 애틋한 곡절이 있다. 자야 여사의 삶을 주(主)로 하면서 백석과의 살가운 애정행각을 집중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이 책은 크게 새부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1부 자야 여사의 성장기, 2부 백석과의 행복했던 3년, 3부 팔순에 가까운 현재의 자야 여사가 그것이다. 그리고 말미에는 시인 이동순의 발문과 백석 연보가 덧붙여져 있다. 1)문학 기생진향 먼저 <1부 운명>에서는 자야 여사 자신의 성장기를 들려준다. 어린시절, 불우한 집안사정, 기생으로의 입문, 일본 유학, 귀국, 함흥에서 백석과의 운명적인 만남까지가 애절한 필치로 그려진다. 1916년 서울 관철동에서 태어나 일직 부친을 여의고 할머니와 홀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한 그녀의 집안은 금광을 한다는 친척에게 속아 하루아침에 거리로 나앉게 되자, 1932년 당시 열여섯살의 나이로 조선 권번에 들어가 기생으로 입문했다. 기명은 진향(眞香)(그래서 그녀의 이름을 김진향이라고도 함). 그곳에서 조선 정악계의 대부였던 금하 하규일 선생 문하에서의 여창가곡, 궁중무 등을 배운다. 그런 가운데 그녀는 『삼천리』지에 수필을 발표하여 문학기생으로 명성을 날리기도 했다. 그러다가 1935년, 조선어학회 회원이었던 해관 신윤국 선생의 후원으로 일본 유학을 떠난다. 그야말로 주경야독을 하면서 공부하던 중, 해관 선생이 투옥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회차 서둘러 귀국한다. 하지만 면회가 안된다는 말을 듣고 근는 함흥땅에 주저 앉는다. 1936년 가을, 근는 궁리 끝에 자신이 그렇게도 싫어했던 기생복색을 입고 함흥 권번으로 들어간다. 그것은 오로지 은인이신 옥중의 해관 선생을 만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한 그녀의 생각은 의외로 단순하다. 기생이 되면 큰 연회 같은 곳에 나갈 수 있고, 그러면 함흥 법조계의 유력한 인사들을 만나서 해관 선생님의 특별면회를 신청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결국 해관 선생은 만나지 못하고, 1936년 함흥 영생고보 영어교사로 와 있던 백석과 운명적인 만남을 갖는다. 그 사이사이에 당시의 시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