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학교폭력에 대한 시각 바로잡기, 같은 시각 갖기 1부 교사의 목소리 01 교사가 나름의 경험을 믿고 지도하면 되지 않을까요? 15 02 따돌림 문제, 담임이 섣불리 나서지 않는 게 나은 것 같아요. 18 03 사소한 다툼마저 학교폭력으로 여기고 너무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22 04 학교폭력 문제에서 예방이 중요한 건 알겠는데 시간이 없어요. 26 05 아이 문제로 부모님과 상담해 보면 판박이처럼 똑같습니다. 31 06 왕따 당하는 애들도 문제가 있어 보여요. 35 07 교실에서 교사인 제가 왕따가 된 기분이에요. 애들이 왜 저를 만만하게 보죠? 39 08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아이, 진심으로 반성하지 않아요. 44 09 언니 같고 누나 같은 선생님이 되고 싶은데, 반 분위기가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습니다. 50 10 학기 초만 되면 아이들은 왜 그렇게 싸워 댈까요? 57 11 애들이 저보다 반장 말을 더 잘 들어요. 61 12 여자애들은 정말 속을 모르겠습니다. 68 13 도대체 왜 이렇게 애들이 담배를 많이 피워 댈까요? 그리고 왜 꼭 말보로를 피울까요? 73 14 애들이 입만 벌렸다 하면 욕입니다. 78 15 따돌림 당하는 아이가 괜찮다고 하는데 정말 그냥 가만둬도 될까요? 83 16 교사가 모두 학교폭력 전문가가 될 필요가 있나요? 89 17 학부모님들이 돈 문제로만 생각합니다. 94 2부 학부모의 목소리 01 우리 아이 물건이 자꾸 없어집니다. 101 02 우리 아이는 왜 자꾸 값비싼 브랜드만 사 달라고 할까요? 105 03 사소한 이유를 대면서 자꾸 학교에 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110 04 늘 맞고 들어오는 아이, 싸움이라도 가르쳐야 할까요? 118 05 우리 애는 왜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부모에게 말하지 않을까요? 126 06 나쁜 친구들과 어울리며 아이가 이상해졌어요. 132 07 이 지경이 될 때까지 담임선생님이 아무것도 몰랐다는 게 말이 되나요? 138 08 가해 학생들의 전학을 요구해도 들어주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148 09 반장이 청소 감독까지 해야 하나요? 151 10 우리 아이는 늘 당하면서 왜 싫다는 말을 못할까요? 156 11 우리 애가 그럴 애가 아닌데요. 161 12 공부를 잘하면 애들이 함부로 안 하지 않을까요? 164 13 아이를 대안 학교에 보내 보면 어떨까요? 170 14 대체 왜 이렇게 학교폭력이 심해지는 겁니까? 176 15 학교폭력 문제는 우리 때도 다 있었던 것 아닌가요? 184 16 선생님이 저희 아이를 너무 나쁘게 보시는 것 같아 억울합니다. 191 17 학교는 왜 이렇게 쉬쉬하며 감추려고만 할까요? 197 3부 학생의 목소리 01 서로 뒷담해 대는 반 애들이 너무 무서워요. 207 02 무슨 말만 하면 자꾸 저한테 쏴 붙이는 애 때문에 곤란해요. 212 03 반에서 자꾸 투명인간처럼 되는 것 같아요. 218 04 전 친구가 없어도 상관없어요. 친구가 꼭 필요한가요? 223 05 짜증나게 하는 애한테 쿨하지 못한 제가 이상한 건가요? 228 06 제가 싫다는데도 다들 별명을 부르며 자꾸 놀려요. 233 07 재수 없게 나대는 애, 버릇 좀 고쳐 주려고 그랬어요. 237 08 잘못은 똑같이 했는데 왜 저만 징계를 더 심하게 받아야 하나요? 243 09 학교폭력은 왜 중학교 때 가장 많이 일어날까요? 248 10 ‘학교폭력 예방 교육’ 대체 왜 하는 거예요? 너무 지루해요.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