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말
1장 새벽빛 깨달음
아는 사람은 말이 없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하는가
- 최치원이 진감 선사를 기린 쌍계사
상생의 화음에 서린 뜨거운 뜻
- 육두품의 문장파 전설이 어우러진 성덕대왕신종
불상읠 세우며 도덕경을 읽은 유학자들
- 문학사의 걸작을 낳은 곳, 경주 감산사터
마음이 트이니 길이 열린다
- 무량수전 오르는 다섯 가지 방법, 부석사
네가 눈 똥이 내가 잡은 물고기다
- 원효가 혜공을 만나 깨달음을 얻은 오어사
2장 창조와 발견
타고 남은 역사 모은 일연
- <삼국유사> 저술의 현장, 인각사
나그네 처지로 누대에 오르니 감탄이 많다
- 채홍철, 우탁, 권근이 시문을 남긴 안동 영호루
눈앞의 물결에서 천지만물의 이치로
- 이색이 노래한 우리 땅 우리 바다, 영덕 판어대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산
- 김종직과 조식이 찾은 지리산
기행문, 변방의 삶과 문화를 기록하다
- 유의양의 <남해문견록>에 비친 남해
이천만 동포가 생겨나서
- 신재효가 민족의식을 노래한 곳, 고창
제3장 자아 발견의 터전
광대 탈에 나타난 각성의 표정
- 교성오광대 전승의 현장, 고성
시련을 이긴 여인, 운명을 개척하다
- 인파로 뒤덮인 <춘향전>의 고장, 남원
천하로 집을 삼고 백성으로 몸을 삼다
- 전우치의 도술 이야기 전하는 논산 개척리
뱃놀이 하는 전라감사 백성의 우너수로다
- 정약용의 분노와 '합강정가'의 무대, 적성강
슬기로운 기생이 어리석은 양반을 희롱하다
- 제주민들의 항변 담은 <배비장전>, 판덕정
제4장 비늘 잃은 영웅들
홍의장군 곽재우, 어디로 갔나
- 곽재우의 신출귀몰 설화가 전하는 곳, 의령 세간리
나라 구한 장군의 비참한 최후
- 김덕령의 고장에 남은 자취, 광주 충장사
수난의 영웅, 숭앙을 모으다
- 임경업의 전설이 흐르는 충주 달천
몸을 날려 시체가 쌓일 적에
- 임진왜란 첫 전투의 현장, 동래
용맹이 뛰어나도 되풀이된 패배
- 곳곳에 전하는 장수 이야기, 제주
5장 시대를 넘어선 발상
영원한 자유인 김시습, 방외인 문학의 세계를 열다
- <금오신화> 창작의 현장, 경주 남산 용장사
혁명아 허균, 율도국을 상상하다
- <홍길동전>이 씌어진 배경, 서울.강릉.상주
변산 도적과 허생의 국가 경영 방책
- 박지원이 제시한 이상향의 모습, 안성.변산
파격의 글쓰기로 국가의 법도와 맞서다
- 이옥이 그린 저잣거리 풍경, 합천 삼가
최제우가 득도한 뜻을 다시 새기다
- 동학 발상지에서 듣는 칼 노래, 경주 용담정
이 책에 등장하는 지역

<한국문학통사>등의 한국문학관련 서적과 탈춤에 관한 연구로 한국고유의 문화적 유산들을 체계화했다고 평가받는 조동일 교수의 답사기행문. 지은이가 직접 국내 30여곳의 땅과 바다를 답사하며 직절한 필치로 현장조사와 문헌연구를 연결한 보고문이기도 하다. 책 곳곳에서 한국학 연구에 매진해 온 노교수의 변함없는 열정을 느낄 수 있으며, 기존의 많은 기행문과는 다르게 개인의 주관적 감상과 , 학자로서의 안목이 고른 균형을 이루고 있다. 1993년 출간되었던 <우리 학문의 길> 이후 지은이가 줄곧 견지해온 '창조적 한국학' 노선이 이 책에서도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한국인다움'이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기행문이라는 장르에서는 어떤 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관심있는 독자들, 전국 각지에 남아있는 한국인들의 정신사적 유산에 관심있는 독자들이 이 책을 집어든다면 꽤나 값진 앎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속 '주인'처럼 10대였던 시절 🏫
윤가은 감독이 사랑한 별 다섯 개 영화들을 확인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 AD
영화 속 '주인'처럼 10대였던 시절 🏫
윤가은 감독이 사랑한 별 다섯 개 영화들을 확인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