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극적 구조의 본질 1. 극적 구조의 본질 2. 선형적인 이해 제2장 시나리오의 3막 구조 스터디 필름: <위트니스> 1. 1막―셋업 2. 2막―대립 3. 3막―해결/ 특별 노트 3장 다섯 개의 주요 초점 스터디 필름: <위험한 청춘> 1. 시나리오의 모델들 2. 영화 세그먼트의 구조 3. 1막―셋업 4. 2막―대립 5. 3막―해결/ 특별 노트 제4장 인물구성과 구조의 관계 스터디 필름: <카사블랑카> 1. 캐릭터들이 바라는 것과 필요로 하는 것 2. 캐릭터의 발전 3. 캐릭터 아크와 플롯 구조의 관계 4. 도덕적 차원/ 특별 노트 제5장 주제와 구조의 관계 스터디 필름: <피아노> 1. 주제가 플롯 구조에 연결되는 방식 2. 클라이맥스에 의한 주제의 통일성 3. '병 속의 메시지'/ 특별 노트 제6장 플롯의 구조 스터디 필름: <차이나타운> 1. 이야기와 플롯 2. 갈등의 역할 3. 액션의 원칙들/ 특별 노트 제7장 복습 스터디 필름: <퀴즈 쇼> 1. 캐릭터―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 2. 주요 진전들 3. 전체 구조 4. 주제의 통일성/ 특별 노트 제8장 서브플롯의 구조 스터디 필름: <투씨> 1. 중심 플롯과 서브플롯의 관계 2. 서브플롯의 구조 3. 서브플롯과 캐릭터 변화/ 특별 노트 제9장 구조와 앙상블 영화 스터디 필름: <청춘의 양지>, <우리 아빠 야호>, <우리 생애 최고의 해>, <그랜드 호텔> 1. 극적 통일성 2. 2막과 3막의 클라이맥스 3. 플롯 시퀀스 4. 영화들/ 특별 노트 제10장 구조와 비선형적인 플롯 스터디 필름: <시민 케인>, <라쇼몽>, <신봉자>, <애니 홀>, <저수지의 개들> 1. 극적 통일성 2. 플롯 시퀀스 3. 막 구분/ 특별 노트 제11장 추진력 만들기: 장면 시퀀스와 액션 시퀀스의 구성 스터디 필름: <라스트 모히칸> 1. 액션 시퀀스 2. 장면 시퀀스/ 특별 노트 제12장 오프닝과 주 설명부 스터디 필름: <제리 맥과이어> 1. 주 설명부/ 2. 오프닝 장면―어디에서 시작하는가?/ 특별 노트 제13장 중간부―상승하는 액션 스터디 필름: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 서스펜스 2. 놀라움의 요소/ 특별 노트 제14장 중심 클라이맥스와 해결 스터디 필름: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1. 중심 클라이맥스 2. 해결/ 특별 노트 제15장 심기와 거두기의 구조 스터디 필름: <사랑의 블랙홀> 1. 심기와 거두기/ 특별 노트 제16장 장면의 구조 스터디 필름: <세븐> 1. 액션의 단위 2. 장면 구성의 원칙 3. 구성 테크닉/ 특별 노트 제17장 대화 스터디 필름: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1. 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