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1장 디지털의 철학 01 디지털 가상 가상의 복권 / 존재에서 실존으로 / 모상에서 모형으로 / 관조에서 이론으로 / 역사적 사유에서 형식적 사유로 / 연속과 단절 / 비트의 분산 / 그림에서 문자로 / 문자에서 그림으로 / 창세기적 기술 / 주체에서 기획으로 / 데모크리토스, 헤겔 그리고 니체 02 탈역사적 마법 마법으로서 영상 / 예술가의 전설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 미립자와 인공생명 / 탈역사적 마법 / 억압된 것의 회귀 2장 리얼 버추얼 액추얼 03 파사드 프로젝트 가상의 구제 / 재현에서 제현으로 / 파사드 프로젝트 04 프레임의 미학 낯설게 하기 / 가상의 현실화, 현실의 가상화 05 역사적 현재 관계적 건축 / 문화적 기억의 시차(時差) / 문화적 기억의 시차(視差) 06 리얼 버추얼 액추얼 비실재로서 가상 / 잠재성으로서 가상 / 가상현실과 현실가상 / 가상의 업로딩 / 미디어적 에포케 3장 파타피직스 07 메타포에서 파타포로 상상적 해결의 과학 / 일상의 파타피직스 / 메타포에서 파타포로 / 촉각적 인터페이스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08 패러다임 게임 텔레비전의 현상학 / 재매개 / 토털 게임 / 리포터와 아바타 / 촉각성 / 온라인·오프라인 / 노동과 유희 / 역사와 서사 09 웹캐스트에서 팟캐스트로 디지털 구술문화 / 역사에서 신화로 / 파타피직스 / 상상력은 환각으로 / 전유와 기능전환 10 디지털 성전(聖戰) 정치의 게이미피케이션 / ‘병신’ 게임 / 애국서사 / 절대시계 / 홀리 워크래프트 4장 지표의 상실 11 사진 이론의 역사 사진적 행위 / 세계의 그림 / 관념의 텍스트 / 세계의 흔적 12 밝은 방 스투디움과 푼크툼 / 세부, 공간의 푼크툼 / 죽음, 시간의 푼크툼 / 도상, 상징, 지표 / 유아론과 회고주의 / 근본적 위험 13 회화적 사진의 귀환 예술이냐 기록이냐 / 픽토리얼리즘 / 다큐멘터리 포토 / 콤비네이션 프린팅 / 몽타주의 미학 14 사진은 회화처럼 카메라의 회화 / 라이트 박스 타블로 / 연속성의 몽타주 / 파편성과 총체성의 변증법 15 물신적 숭고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 컴퓨터의 눈 / 냉담한 아름다움 / 현대의 물신적 숭고 16 사진 이후의 사진 디지털의 물리적 특성 / 사진 이후의 사진 / 전유의 전략 / 사진의 해방 5장 실재의 위기 17 다큐멘터리의 종언 회화적 기념비로서 다큐멘터리 / 크로노토피아 / 아르카디아에도 내가 / 데드팬에서 더블클릭으로 18 허구로서 과학 과학과 예술의 경계 / 환상의 과학적 재현 / 스톤헨지 밑의 자동차 19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의 재발명 / 소비에트 스냅숏 / 사회주의 팝아트 / 역사의 산증인 / 픽션의 재료가 된 역사 주 초고 수록 지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