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백남준 : 초기 예술의 융합 미학

임산
236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프롤로그 1 서울에서의 유소년기 -피아노를 배우다 -마르크스주의와 쇤베르크 -한국전쟁 2 패전국 일본을 목격하다 -군정 -전통과 근대 -구타이 그룹 -미학적 정신의 복원 3 독일에서의 새로운 인생 -전후 독일, 쇤베르크의 기운 -뮌헨대학과 프라이부르크 음악학교 -다름슈타트, 《신음악을 위한 국제 여름코스》 -쾰른, WDR 전자음악 스튜디오 4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경의> -행위음악의 시작 -존 케이지의 실험음악 -존 케이지를 넘어서다 5 융합적 사유의 실험 -<피아노포르테 소곡> -텍스트악보 -융합예술의 작은 계보 -공유의 공간 -조지 마추나스와 플럭서스 그룹 6 테크놀러지와 커뮤니케이션 -마그네틱테이프 테크놀러지 -소리콜라주 -전자시대의 구술성 이론 -음향 공간 도판 7 복합성의 건축 -공간적 복합성 -매체적 복합성 -선Zen 모티프 -유기적 구성 8 실험텔레비전 -텔레비전 세상 -인간?기계 관계성 -가변성 개념 -“더 멀리 보다” 9 피드백 미학 -인터랙티브 사운드아트 -피드백 프로세스와 랜덤 액세스 -상호학제성 참고문헌 에필로그 감사의 말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그의 청년기 예술세계를 집중 분석한 세계 최초의 연구서! 백남준 예술의 시원(始原)을 추적하다! “청년 백남준은 가슴에 쇤베르크를 품었고 손은 과격했다. 테이프레코더와 텔레비전은 보이지 않는 세상을 향해 달리는 백남준의 발이 되어 주었다. 훗날 ‘비디오아트의 선사’로서의 백남준의 삶의 근원에는 청년기를 관류했던 아방가르드 정신이 자리한다. (…) 이 책은 7년여 동안(1956년부터 1963년까지) 독일에 살면서 새로운 예술 인생을 펼친 청년 백남준을 만나러 간다.” - 프롤로그에서 백남준 출생 80주년인 2012년, 드디어 본격적인 백남준 연구의 첫발을 내딛는다! 2011년 말의 어느 보도에 따르면, 국내 미술인들은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가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백남준"이라는 대답을 가장 많이 했다고 한다. 그렇다. 백남준은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가’이다. 하지만 높은 환호 소리에 비해 백남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아직까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하다. 그간 백남준을 다룬 저서 또한 여러 권 출간되었으나 대부분이 전기 분야에 치우쳐 있었고, 그의 예술의 미학적.역사적 의미에 대한 학술적인 조명은 극히 드물어 아쉬움이 많았다. 그런 와중에 이 책은 백남준의 초기 활동(독일시대)을 집중 분석한 세계 최초의 연구서로서 큰 의의를 지닌다. 훗날 ‘비디오아트의 선사’로서 세계적 거장의 반열에 오르는 백남준의 예술적 시원이라 할 수 있는 시기가 바로 1956년부터 1963년까지의 독일시대라고 할 수 있다. 백남준은 일본 도쿄대에서 아르놀트 쇤베르크 연구로 논문을 쓴 이후, 쇤베르크의 아방가르드 정신이 살아 있는 독일로 향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새로운 예술의 세계로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그의 예술적 에너지가 응집되어 있었던 독일시대의 작업 세계를 면밀하게 되짚어 보는 것은 백남준의 예술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더욱이 올해 2012년은 백남준 출생 80주년이 되는 해로, 본격적인 백남준 연구의 첫발을 내딛는 일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저자는 이 시대의 화두인 ‘융합’의 관점에서 백남준의 초기 예술을 분석한다. 백남준의 ‘융합’은 단순히 매체(media) 간의 혼합이 아니었다. 당시는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업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사이버네틱스를 비롯한 과학담론이 예술의 세계에 응용되던 시대였다. 이른바 예술과 과학이 결합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백남준의 행위음악은 청각중심적인 전통 음악과 시각중심적인 전통 미술 등의 장르 경계를 초월했다. 오늘날 미디어아트의 주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상호학제적 연구와 관객참여적 상호작용성 또한 지금으로부터 50여 년 전에 이미 백남준에 의해 실험되었다. 특히 현대 네트워크 사회를 대표하는 “랜덤 액세스” 개념 역시 백남준의 1963년 작품에서 제시되었으니, 우리는 그의 선구성에 다시 한번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이후 백남준은 예술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성을, 나아가 동서양의 문화적 의식의 통합을 두루 포괄하기에 이른다. 미디어아트 역사의 초기, 유럽 한가운데서 일어난 격동의 변화 속에 백남준이 있었다. 청년 백남준의 활약상을 정교한 이론 틀 속에서 다시 그려보는 것은, 백남준이라는 이름에 습관적인 찬사를 되풀이하는 대신 그가 왜 세계적인 아티스트인가를 냉철하게 따져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이 책은 동시대 예술인들 사이의 영향관계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롭게 형성된 세계정치 지형도, 즉 미국과 독일 사이의 문화정치적 관계가 유럽과 미국의 예술현장에 끼친 여파까지 정리하고 있어 백남준의 예술세계를 더욱 거시적인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백남준의 예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고 싶은 이들이라면 이 책에 주목해보길 권한다. ■ 백남준은… 백남준(白南準, Nam June Paik, 1932~2006)은 1932년 7월 20일 서울에서 아버지 백낙승과 어머니 조종희 사이에서 3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경기중.고교를 졸업한 후, 일본 도쿄대 미학미술사학과에 진학하여 작곡가 아르놀트 쇤베르크에 대한 논문을 쓰고 졸업했다. 곧이어 1956년 독일로 유학을 떠나 뮌헨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 음악학교에서 음악사와 작곡이론 등을 공부했다. 1957년과 1958년에는 다름슈타트에서 개최된 《신음악을 위한 국제 여름코스》에 참여하여 독일인 작곡가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과 미국인 존 케이지를 만나 예술가로서의 새로운 삶을 준비했다. 이듬해 뒤셀도르프의 갈레리22에서 첫 행위음악 작품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경의〉를 초연했다. 이후 조지 마추나스를 비롯한 아방가르드 예술가 동지들과 함께 1960년대 초 유럽 플럭서스 운동을 주도했다. 1963년 부퍼탈의 갈레리 파르나스에서 열린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자 TV》는 백남준에게 ‘비디오 아트의 아버지’라는 영예를 안겨준 역사적 실험의 현장이었다. 7년여 동안의 독일생활을 마치고 1964년에 뉴욕으로 건너간 이후 첼리스트 샬럿 무어먼과의 듀엣 퍼포먼스, 1982년 뉴욕 휘트니 미술관에서의 첫 회고전, 1984년 파리.뉴욕.베를린.서울을 연결하는 최초의 위성중계 작품 〈굿모닝 미스터 오웰〉, 1986년 〈바이 바이 키플링〉, 1988년 〈손에 손잡고〉등의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예술가 반열에 오른다. 그 후 미국, 독일, 한국 등에서 수차례에 걸쳐 대규모 회고전을 가졌으며, 베니스비엔날레 황금사자상(1993), 호암예술상(1996), 일본 교토상(1998), 금관문화훈장(2000) 등을 수상했다. 2006년 1월 29일(한국 시각 1월 30일)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자택에서 74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 발간! 21세기 시각문화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조명한다! 대중과 소통하는 시각문화 이론서!! 세계적인 아트북 전문 출판사인 독일 타셴(TASCHEN)의 도서들을 독점 소개하고 있으며, 시각문화 전반에 걸쳐 국내외 양서들을 소개해 온 마로니에북스가 급변하는 매체 문화의 환경에 발맞추어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를 펴냅니다.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는 유행 학문이나 주류 담론만을 좇지 않고, ‘지금 여기’에서 ‘현재적 의의’를 가지는 동서고금의 고전과, 오랜 시간 널리 읽힐 만할 가치를 지닌 소중한 글을 찾아 소개하고자 합니다. ■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는?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는 특정한 예술 영역이나 학문의 경계에 갇히지 않고 시각문화라는 큰 틀을 설정하여, 일상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깊은 통찰과 폭넓은 사유를 제시하는 동서고금의 텍스트들을 아우릅니다. 다소 느슨할 수 있지만, 다변화하는 시각문화 논의들을 넉넉하게 포섭하여 당대의 화두인 ‘융합’의 정신을 찾겠다는 당찬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나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교환하는 오픈 플랫폼 역할을 하겠습니다. ■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의 방향성은…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는 동서양의 다양한 고전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과 안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믿고 따를 만한 본보기로서의 고전이 아닌, 늘 ‘현재’에 살아 있는 텍스트로서의 고전 읽기를 지향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해석적 프레임을 통해 문화적으로 재평가되는 고전을 만날 수 있습니다.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는 대중을 위한 알기 쉬운 이론서를 지향합니다. 일반인과 괴리된 채 전문적이고 난해한 언어들로 뒤덮여 있던 기존 이론서의 한계를 뛰어넘어, 대중의 흥미와 필요에 따른 내용을 선별하고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마로니에북스 시각문화 총서》는 시각문화 여러 영역들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로부터 시각문화의 혁신적 전개를 이루는 생생한 현장의 소리를 모아 전달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각 분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5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