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의 심장

마르 베네가스님 외 1명
64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4(16명)
평가하기
3.4
평균 별점
(16명)
바닷가에서 태어나 바다의 말을 먼저 배운 소녀가 세상을 알아가는 아름다운 모험. 시인의 심장을 지닌 소녀 나나는 시와 시의 마음을 찾아 도시로, 숲으로 떠난다. 남다른 호기심, 때 이른 이별, 애틋한 우정, 자유로운 영혼으로 빚어진 삶은 나나로 하여금 마침내 시와 사랑을 발견하게 할 것이다. 나나는 그 작은 떨림의 순간들을 놓치지 않고 ‘새의 심장’이라는 이름의 책으로 엮어 우리에게 전한다. 안희연 시인은 “‘새의 심장’ 없이는 그 어떤 시도 완성될 수 없다고”, 또 “누구에게나 있다”라고 썼다. 그렇다면 시와 사랑의 탄생에 대한 이 이야기를 읽는 것은 그동안 잊고만 있던 나의 작은 ‘새의 심장’을 깨우는 일일지 모른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별점 그래프
평균3.4(16명)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 2022 볼로냐 라가치상 시 부문 스페셜 멘션 수상작 [심사평] 시인 버넌 스캐널은 ‘시와 빵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사람은 몹시 위험하다’라고 쓴 바 있습니다. 마르 베네가스가 쓴 《새의 심장》 속 주인공 나나는 바닷가에 살면서 제빵사의 아들인 친구와 함께 시에 관한 발견과 자신의 보물을 나눕니다. 시간이 흐르고 우정과 바다로도 마음이 채워지지 않자 나나는 시가 거주하는 곳을 찾기 위해 모험을 떠나죠. 하지만 빵 반죽처럼 부풀어 오르는 시는 나나가 가는 곳 어디든 나타나고 장소를 새롭게 변화시키며, 답을 알 수 없는 질문에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마르 베네가스는 이 섬세한 이야기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자기만의 방식으로 시를 찾게끔 자극하고, 시구를 만드는 장난스럽고도 재미난 방법들을 제공하며, 읽기와 쓰기를 창작의 심장에 놓습니다. 이따금 시가 등장하는 이 시적인 글에, 빨강과 먹으로 그려진 하셀 카이아노의 매혹적인 일러스트가 더해져 책은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그뿐 아니라 디자인과 물성에 이르기까지 독자들을 시로 이끄는 잠재력을 지닌 사랑스러운 작품입니다. “이 아름다운 그림책은 시를 쓰지 않는 사람도 손쉽게 시인으로 만든다. 이것이 기적이 아니라면 무엇을 기적이라 부를 수 있을까.” -안희연 시인 시와 사랑이 탄생하는 작은 떨림의 순간들 시는 무엇일까? 시인은 어떻게 탄생할까? 바닷가에서 태어나 바다의 말을 먼저 배운 소녀가 세상을 알아가는 아름다운 모험. 시인의 심장을 지닌 소녀 나나는 시와 시의 마음을 찾아 도시로, 숲으로 떠난다. 남다른 호기심, 때 이른 이별, 애틋한 우정, 자유로운 영혼으로 빚어진 삶은 나나로 하여금 마침내 시와 사랑을 발견하게 할 것이다. 나나는 그 작은 떨림의 순간들을 놓치지 않고 ‘새의 심장’이라는 이름의 책으로 엮어 우리에게 전한다. 안희연 시인은 “‘새의 심장’ 없이는 그 어떤 시도 완성될 수 없다고”, 또 “누구에게나 있다”라고 썼다. 그렇다면 시와 사랑의 탄생에 대한 이 이야기를 읽는 것은 그동안 잊고만 있던 나의 작은 ‘새의 심장’을 깨우는 일일지 모른다. 바다와 숲의 바람이 불어오는 시적인 그림책 “땅에도 바다가 있어. 바람이 숲을 어루만지면 초록빛 파도가 물결처럼 일렁이며 답하거든. 노래도 해. 우리의 바다처럼.” 나나가 영혼의 친구 마르탱에게 쓴 편지의 문장처럼 이 아름다운 그림책은 글과 그림에도 바람이 불고 소리가 나고 냄새가 스며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스페인 시인 마르 베네가스와 포르투갈의 아티스트 하셀 카이아노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이 시적인 작품은 은유와 암시로 가득하면서도 가볍고 경쾌한 리듬을 가지고 있다. 시에 대해 말하지만 시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 방식으로. 글은 질문과 비밀이 차오르는 시기의 소녀의 내면과 모험, 두 인물의 우정, 자연과 도시의 풍광을 세밀히 포착해내고, 그림은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의 제한된 팔레트로 단순하고 천진하게 표현되어 독자들이 이야기를 완성해나갈 빈 공간을 마련해 놓았다. 우리는 그 빈틈으로 불어오는 바다와 숲의 바람 속에서 나나의 사랑과 모험을 채워가고, 나아가 이야기 바깥으로 자기만의 모험을 떠날 수도 있다. 음미하고 듣고 냄새 맡으며 떨림을 흠뻑 느낄 수 있는 책. 좋은 시가 바로 그러할 것이다. - 오후의 소묘에서는 시인의 그림책을 꾸준히 펴내고 있으며, 브라질 시인 클라우지우 테바스의 《마음의 지도》, 이탈리아 시인 아주라 다고스티노의 《눈의 시》에 이어 《새의 심장》에서도 정원정 번역가와 박서영(무루) 작가가 또 한 번 합을 맞췄다. 깊고 섬세한 번역으로 탄생한 아름다운 문장들이 단연 돋보인다. 시가 있는 곳은 어딜까? 사랑이 나를 떨리게 하는 걸까? 배, 그물, 모래로 가득한 부두에서 자라난 소녀는 조약돌이 파도와 나누는 대화, 폭풍이 고함치는 소리, 조개껍데기가 품은 태양, 낱말들이 생겨나는 실뭉치처럼 누구도 들을 수 없는 것을 듣고, 누구나 볼 수는 없는 것들을 본다. 나나가 모은 작은 보물들은 저마다 무엇이든 일어날 수 있는 우주다. 나나는 그것이 바로 ‘시’라는 것을 알게 되고, 더 많은 시를 만나고 그것들이 품은 비밀을 풀기 위해 시인을 찾아 도시로, 숲으로 떠난다. 모험을 떠난 것은 나나 혼자지만, 나나는 결코 혼자가 아니었다. 하얀 밀가루로 시를 쓰는 제빵사의 아들 마르탱은 나나가 떠나기 전 새 모양으로 구운 빵을 선물한다. 이걸 먹으면 날개가 생길 거라고. 그리고 마르탱은 바다에 남아 나나가 모으던 보물들을 계속해서 찾아내고 또 간직한다. 나나가 돌아오리라 믿으며, 그때 시가 나나의 곁에 있을 수 있도록. 페이스트리와 바다와 숲의 냄새가 나는 편지들을 주고받으면서 나나에게는 누구도 답할 수 없는 질문들이 쌓여간다. 나나는 답을 찾게 될까? 나나가 마침내 시의 마음을 발견한 순간엔 어느 때보다 마르탱을 그리워하며 그에게 자신이 본 모든 것을 공유하고 싶어진다. 그런 마음을 담아 마르탱에게 마지막 편지를 보낸 밤에는 시가 나나에게 말을 걸어오기도 한다. “나는 너에게서 왔고, 그에게서도 왔고, 그 모든 것 속에 있어”라고. 이 이야기는 이렇게 우리에게도 말을 걸어온다. 시에는 사랑이 깃들어 있고 사랑은 시를 부르며 시는 어디에나 있다고, 우리는 나나처럼 그것을 알아보기만 하면 될 것이라고.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