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들뢰즈는 영화철학으로 무엇을 하고자 했는가 1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이해 1장 들뢰즈 영화철학의 철학적 위상 2장 운동-이미지의 다층적 의미 3장 플랑: 운동-이미지와 운동의 통일성 4장 『시네마』 1권과 2권의 구조 분석: 니체의 재발견 2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적용 5장 이미지의 평면성: <올드보이>의 이미지와 공간의 형식에 대한 분석 6장 영화 윤리학: 봉준호의 경우 7장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현대 정치영화적 함의 8장 애도의 형식으로서의 영화: 박찬경의 <만신> 3부 들뢰즈 영화철학의 확장 9장 역사-이미지: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서 푸티지의 역할 10장 확장된 몽타주: 아피찻퐁의 비디오 설치 작업 11장 네트워크-이미지: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너머 12장 관객-이미지 들뢰즈 저작 약어표 참고 문헌 수록 원고 출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