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인의 말 『어느 바람』 시인의 말 일러두기 제1부 폐결핵(肺結核) 천은사운(泉隱寺韻) 심청부(沈淸賦) 다어(茶語) 시인(詩人)의 마음 초파일날 제주만조(濟州滿潮) 묘지송(墓地頌) 사치(奢侈) 신성노동절(神聖勞動節) 해연풍(海軟風) 내 아내의 농업(農業) 애마(愛馬) 한쓰와 함께 저문 별도원(別刀原)에서 저녁 숲길에서 슬픈 씨를 뿌리면서 과육(果肉) 국도(國道) 예감(豫感) 도단(道斷) 종로(鍾路) 투망(投網) 문의(文義)마을에 가서 청진동(淸進洞)에서 휴전선(休戰線) 언저리에서 두만강(豆滿江)으로 부치는 편지 우리나라의 들국화 삶 임종(臨終) 무등(無等)의 노래 대장경(大藏經) 황사(黃砂) 며칠 입산(入山) 초대(招待) 보리밭 추석(秋夕) 화신북상(花信北上) 제2부 화살 만세타령(萬歲打令) 어느 방 차령산맥(車嶺山脈) 걸레 오늘의 썰물 3월(三月) 자작나무숲으로 가서 구름에 대하여 릴레이 조국의 별 부활(復活) 아버지 선술집 가야 할 사람 수평선 내장산 변산 나들잇길 밥 입춘 동행 지나가며 기러기 입추 뒤 새벽 관광객 그리움 바람 시편 두 아낙 잉크 국화 역사로부터 돌아오라 제3부 먼 데 아기의 말 쌍무지개 태풍 산수유 난초 앞에서 다시 눈물 골리앗 크레인 상계동 가는 길 산기슭 영일만 1 이화령 올빼미 아기 소고기 웃음 주정뱅이 좌선(坐禪) 청개구리 뻐꾸기 별똥 내일 나무의 앞 폭염 이후 동네 가게에서 아리랑 어머니 서산 할머니 우리나라 음유시인 휴식 제4부 밤송이 하루 안성장 할머니 몇분 두엄자리 옆에서 어떤 대화 어떤 기쁨 꿈 다른 세상이 오고 있다 아기의 노래 다보여래의 댁 성철 스님 각령으로부터 폭포 나의 시 어느 기념비 빈손 네개의 날개 사자 귀향 노래 말 별 서산 가서 싸락눈 춤 가야산 노래섬 다시 보면 어떤 노래 히말라야 이후 샛강 어느 노동자 너무 거룩하지 않게 나그네 다음 골목 갑산 마라도 개마고원 조치원 평양 주을온천 가까이 단풍 서울 현저동 101번지 동해 북부 압록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