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애플의 UI 규정과 사용성 테스트: 앱커비 ___팬에서 개발자로의 여정 ___애플의 가르침 ___탭 하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___간단한 사용성 테스트 ______사용자 물색 ______올바른 테스트 _________사용자 테스트 과정 _________사용성 테스트의 교훈 ___마무리 작업과 완성 ___요약 2장 대규모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구글 리더 애플리케이션 ___뉴스 리더를 개발하기로 결정 ___기존 뉴스 리더의 문제점 분석 ______구글 리더 검토 ______전체 개요의 부재와 복잡한 탐색 기능 ______정보 관리의 소홀 ___뉴스 리더 개선 ______애플리케이션 정의문 작성 ______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______효율적인 탐색 기능 ______전체 개요 개선 _________사용자가 읽는 패턴을 학습 _________정보의 표현 ___다음 단계 구상 ___요약 3장 네이티브로 구현한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브라이트카이트 ___위치 인식 소셜 네트워크, 브라이트카이트 ___더블 엔코어 ___웹에서 모바일로의 이동 ______뜨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지는 웹 ______창조적 패러다임으로 전환 ___최초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___무한한 드릴다운 개발 ___요약 4장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다루는 방법: 아웃포스트 ___아웃포스트의 첫걸음 ___아웃포스트의 와이어프레임 구상 ___아웃포스트 디자인 ______두 개의 화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_________첫 번째 시도 _________두 번째 시도 ___조화 ___소규모 팀 ___HTML을 사용한 디자인 ___화려함의 이면 ___요약 5장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대한 고민: 탄젠과 젠토미노 ___애플리케이션 아이디어는 찾기 힘들지만 찾아내야 한다 ___설계 문서 작성 ___코딩 작업 ______퍼즐 조각 UI 생성 ______퍼즐 조각의 위치 ______시뮬레이터의 현혹 ______고객의 감성을 자극하라 ______말? 말 따윈 필요 없다! ______버튼은 몇 개로 할까? ___게임다운 게임 ______유레카! ______나는 그래픽 디자이너가 아니다. 하지만 그려야 했다. ______꼭 필요한, 하지만 숨어있는 기능 ______결승점으로 질주 ______회전 동작 개선 ___드디어 아이폰에서 테스트 ______다시 그리기로 돌아가다 ______95퍼센트를 완성하면서 드는 위기감 ___앱스토어 개장! ______탄젠이 앱스토어에 올라간 첫 날의 기억 ______회전 문제에 대한 대응 ______"예"라고 해야할 때와 "감사합니다. 생각해보겠습니다."라고 해야 할 때 ______앱 스토에서의 생존 전략 ___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2번째 게임을 만들다 ______인터페이스 수정 ______새로운 게임의 규칙에 맞춰 인터페이스를 수정 ______화면 크기 제약을 중심으로 디자인 ______색상 선택 ______마무리 작업 ___요약 6장 간략한 UI 디자인의 어려움: 플래시 오브 지니어스 SAT 보캡 ___경쟁자 확인 ______사고 모델의 모순 ______적절하지 못한 화면 방향 ______너무 작은 버튼 ___개발 시작 ___플래시 카드 디자인 ___버튼 디자인 ___애플리케이션 테스트 ___애플리케이션 런칭 ___요약 7장 단순함, 미관, 사용성의 조화: 포스티지 ___애플리케이션의 목적을 사수하라 ______폰트 선택 ______폰트 색상 선택 ______이미지에 효과 적용 ______기본 값 설정과 애플리케이션 환경 설정 ______태스크 분리 ___컨텍스트 분석 ______포스티지의 컨텍스트 ______컨텍스트에 숨어있는 문제점 ______친숙한 컨트롤 사용 ___애플리케이션의 흐름 생성 ______흐름에 대한 힌트 제공 ______백문이 불여일견 ______아이콘에 의미를 중복해서 담지 말 것 ______응답성과 피드백 개선 ___포스티지를 개발하면서 사용한 기법 ______프로토타입과 목업 ______명세서 작성 ______그래픽 디자인 ______터치 세부 조정 ___요약 8장 데스크탑에서 아이폰으로 포팅 시 UI 고려사항: 폴링 볼과 그래비티 팟 ___폴링 볼 ______게임 개발 ___게임 조작 방식 ______HUD ___요약 9장 타이포그래피의 세계: 폰트셔플 ___폰트셔플 소개 ___활자체 ______폰트 ______문자와 글리프 ______활자 해부 ___화면에 사용할 올바른 활자체 선택 ___활자체 구별 ______세리프와 산세리프 ______활자체의 급증 ______활자체의 분류 ___폰트북과 폰트셔플 ______폰트샵의 활자체 분류 ______활자체의 강, 목 ______폰트셔플의 단계별 사용법 _________시작: 검색 1단계 _________활자체 이름으로 검색: 검색 1단계, 버전 1.1 _________강 표시: 검색 2 단계 _________과 표시: 검색 3 단계 _________셔플 또는 리스트뷰: 검색 3단계, 버전 1.1 _________폰트 표시: 검색 4단계 ___요약 10장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