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영화를 바라보는 다른 시선 1. 선전영화와 관객성 2. 선전과 영화 제2장 제국 일본의 교육영화-효과적 선전 수단 1. 제국 일본의 교육영화 인식 2. 교육영화 상영, 배급 조직 3. 교육영화의 내용 4. 교육영화의 상영, 관람환경 5. 관객의 관람 양상과 그 효과 제3장 식민지 조선의 교육영화-동화 정책의 모순 1. 식민지에서의 교육영화 인식 2. 교육영화의 내용 3. 배급 조직과 상영환경 4. 관객의 관람 양상 5. 일본 교육영화 상영 양상과의 비교 6. 교육영화 상영을 통해 본 식민지 권력 제4장 프로키노영화 상영회와 그 아카이빙-아카이브 열병과 기억의 풍화 1. 프로키노와 아카이빙 2. 프로키노영화 상영회 상황 3. 프로키노 아카이빙의 시대적 배경 4. 프로키노 아카이빙의 양상 5. 저항영화에서 관객 그리고 아카이브 제5장 통영청년단의 순회 상영-식민지 민족 엘리트와 대중 사이의 균열 1. 식민지기 영화관 이외 장소에서 영화 상영 2. 1920년을 전후한 시기의 통영 3. 통영청년단과 활동사진대의 발족 4. 활동사진대의 선전 활동과 그 효과 5. 활동사진대의 영화 상영 목적 6. 영화 상영환경 7. 관객의 영화 관람 8. 순회 영사회장에서 드러나는 엘리트와 대중의 관계 제6장 전후 일본의 원전 PR영화-패전국에 새로운 국가정체성 제시 1. 일본에서 원전과 PR영화 2. 전후 일본 선전영화 상영의 역사 3. 원전 PR영화의 내용 4. 원전 PR영화 상영의 결과 제7장 한국의 원전 선전영상-개도국에 있어 진보, 풍요, 안전이라는 환상 1. 한국에서 원전과 선전영화 2. <대한뉴스>·선전영화의 제작·상영 상황 3. 원전 선전영상 내용 4. 원전 선전영상 상영의 결과 부록-춘천의 극장에서 영화보기 관람 양상의 다양성 1. 지역과 영화 관람 2. 춘천의 도시 구조 3. 춘천의 극장 4. 1960~1970년대 한국에서 영화의 의미 저자 후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