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한국영화를 이해하는 실타래: 독특성과 종별성 ・5 1장 근대의 시간 ・26 : 1950~1960년대 한국영화의 지정학 2장 비교영화연구의 질문들 ・68 : 영화 그리고 자본주의 세계체계 3장 알튀세르라는 유령들의 귀환 ・114 :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와 종별성 4장 경험적 역사와 비역사적 중핵 사이의 긴장 ・158 : 〈괴물〉이라는 급진적 예외 5장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에서 ‘네이션적인 것’으로 ・196 : 초국적 작가로서 박찬욱이라는 사례 6장 장르적 상상력의 실패 ・ 232 : 현재주의와 역사 기록의 문제 7장 포스트-정치 시대의 재난과 공포 ・ 258 : 한국영화의 정치적 상상력 초출 일람・301 찾아보기・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