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며 8 창작에 도움이 되는 중세 유럽의 기초 지식 10 중세의 세계관을 만들 때 알아 두어야 할 「봉건제도」 12 통치 형태와 권력 구조를 알면 이야기의 퀄리티가 높아진다 14 이 책의 구성 16 PART 1 권력자들의 생활 ① 왕궁의 사람들: 왕궁에는 누가 살았을까? 18 ② 지역의 권력자: 영주는 관할 지역의 왕 같은 존재 22 ③ 영주의 생활: 아침부터 와인을 마시는 우아한 삶을 산 영주들 24 ④ 귀부인과 영애: 아내가 남편을 대신해 싸움에 나갈 때도 있었다 28 ⑤ 기사: 기사는 귀족일까, 평민일까? 일과 역할 30 ⑥ 교황: 교황은 절대적인 권력자? 성직자의 위계 제도 34 ⑦ 주교·대주교: 귀족과 비슷한 권력을 가졌던 주교들 38 ⑧ 수도원장: 수도원의 리더! 엄격한 생활을 했을까? 40 ⑨ 성직자의 생활: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식생활 42 ⑩ 종교 기사단: 강대한 권력을 가진 기사 × 종교인 집단 44 ⑪ 한자동맹: 막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강력한 발언권을 가진 상인 조직 46 Column 1 신분을 초월한 사랑: 기사와 왕가의 결혼은 허가되었을까? 48 PART 2 평범한 서민들의 생활 ① 도시의 삶: 도시가 발전하는 장소와 구조 50 ② 도시의 음식: 정육점, 빵집, 주점 등 도시에서 일하는 상인 54 ③ 목욕: 아침에 목욕하는 것이 일반적 58 ④ 위생 관념: 배설물을 정원에?! 화려하지만은 않은 도시의 실태 60 ⑤ 오락: 어른은 도박, 아이는 곤충을 장난감으로 62 ⑥ 시장: 슈퍼마켓이 없던 시대, 시장은 핫플레이스 64 ⑦ 길드: 장인들의 세계에 존재했던 피라미드 계급 66 ⑧ 민병과 경찰: 기사만 싸우는 게 아니다! 도시를 지키는 위병들 70 ⑨ 사형집행인: 법의 심판을 수행했지만, 거리에서 미움받는 자 72 ⑩ 그 밖의 사람들: 빈곤을 내세운 비즈니스의 등장 74 ⑪ 농촌 생활: 토지 유무로 격차가 벌어지는 농민의 계층 80 ⑫ 축제: 유럽 문화의 기반! 축일이 줄줄이 탄생 82 ⑬ 농산물: 밀이나 콩, 과일 등 중세 시대에 생산하던 농작물 84 ⑭ 농촌의 음식: 농촌의 빵은 검고 딱딱한 호밀빵이 주류 86 ⑮ 농촌의 주점: 여관도 겸하고 있던 농촌의 주점 88 ? 농촌의 일: 농촌에서 살며 일하는 사람들 90 Column 2 세상을 떨게 한 늑대인간이 실존했다? 94 PART 3 중세 유럽 사회의 규칙과 개념 ① 시간: 시간 개념은 낮과 밤이면 충분 96 ② 법 제도: 피의자에 따라 심판하는 사람도 달라지는 중세의 재판 98 ③ 화폐 경제: 중세의 돈은 종이가 아니라 은화 100 ④ 도로 정비: 걷기 어려운 길? 정비되지 않은 중세의 도로 102 ⑤ 아질: 죄인이 도망쳐 들어가는 피난처 104 ⑥ 혼인: 귀족 사회에서 남성은 14세, 여성은 12세에 결혼 가능 106 ⑦ 납세: 중세에도 주민세와 상속세가 있었다 108 ⑧ 형벌: 죄인을 처벌하는 다양한 형벌들 110 ⑨ 정보 전달: 스마트폰이 없던 시대, 정보는 기본적으로 구두로 전달 112 ⑩ 의료: 점이나 주술로 병을 치료하던 중세 의료 114 ⑪ 질병: 중세 유럽을 공포에 떨게 한 페스트 116 ⑫ 재해: 자연재해는 신의 분노? 118 ⑬ 종교관: 중세 사람들의 기본적인 종교관 120 ⑭ 생사관: 천국과 지옥의 틈새 ‘연옥’ 122 Column 3 재판에서는 동물도 심판 받았다 124 PART 4 중세 유럽의 시설과 주거 ① 성: 왕이나 영주의 자택 겸 직장이었던 성 126 ② 교회: 시대에 따라 변하는 기독교의 건축 양식 128 ③ 수도원: 수도사의 거주지, 포인트는 중정의 회랑 130 ④ 도시 시설: 적의 습격에 대비하여 성벽으로 둘러싼 도시 132 ⑤ 도시의 주거: 시민이 살던 집은 주로 3층 이상 134 ⑥ 농촌 시설: 마을의 중심에는 교회가 있었다 136 ⑦ 농촌의 주거: 짚이나 새끼줄로 만든 간소한 집 138 ⑧ 여관: 저렴한 숙소부터 고급 숙소까지 다종다양 140 Column 4 봉건사회에서 주권 국가로 142 PART 5 중세 유럽을 무대로 이야기를 창작하자 창작 FILE ① 창작 활동의 첫걸음! ‘쓸 수 있는’ 장르를 분석한다 144 창작 FILE ② 핵심 플롯을 만들어서 기점과 종점을 명확하게 만든다 146 창작 FILE ③ 역사적 사실을 깊게 이해하면 생생한 픽션을 만들 수 있다 148 창작 FILE ④ 왕족이나 기사 이야기가 아닌 서민을 소재로 만들어 보자 150 창작 FILE ⑤ 중세 작품에서는 이야기와 종교의 관계에 주의하자 152 창작 FILE ⑥ 정석적인 패턴으로 캐릭터의 매력을 어필하자 154 창작 FILE ⑦ 경칭을 대사에 활용하면 관계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156 알아 두면 써먹는 중세 유럽 연표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