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 성서 주석 2 : 신약성서

데린 게스트
52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무지개신학 시리즈”를 발간하면서 __ 9 저자소개 __ 14 서문 __ 21 감사의 말씀 __ 23 약어 __ 26 서론: 성서에 근거한 동성애자 공격을 무장해제시키기 (로날드 롱) / 29 마태복음 (토마스 보해치) __ 57 마가복음 (마르셀라 알타우스-레이드) __ 105 누가복음 (로버트 E. 고스) __ 119 요한복음 (로버트 E. 고스) __ 153 사도행전 (토마스 보해치, 로버트 E. 고스, 데린 게스트, 모나 웨스트) __ 181 로마서 (토마스 행스) __ 206 고린도전서 ‧ 후서 (할리 E. 히어론) __ 243 갈라디아서 (패트릭 S. 쳉) __ 272 에베소서 (로버트 E. 고스) __ 281 빌립보서 (저스틴 타니스) __ 294 골로새서 (토마스 보해치) __ 320 데살로니가전서 ‧ 후서 (테오도어 제닝스) __ 340 목회서신: 디모데전서 ‧ 후서, 디도서 (R. E. 고스, 데보라 크로스) __ 362 빌레몬서 (스티븐 J. 무어) __ 376 히브리서 (토마스 행스) __ 381 야고보서 (L. 윌리엄 컨트리맨) __ 412 베드로전서 ‧ 후서 (로빈 홀리 고슬린) __ 424 요한 서신 (L. 윌리엄 컨트리맨) __ 444 유다서 (L. 윌리엄 컨트리맨) __ 459 요한계시록 (티나 피핀, J. 마이클 클락) __ 469 용어 해설 / 497 참고문헌 / 503 편집후기 / 52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인종차별이 유색인종의 문제가 아니라 백인들의 문제인 것처럼, 성소수자들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성소수자들의 문제가 아니라 이성애주의자들의 문제라는 사실을 분명히 깨닫게 해준다.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가 몰락하는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기독교가 예수와 바울의 보편적 은총과 사랑 대신에 가부장적 이성애주의에 사로잡혀, 낙태를 반대하고 성소수자를 혐오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난한 이들을 섬기며 노예제 철폐와 보편 교육, 병원과 감옥 개혁 등 사회 개혁에 앞장섰던 복음주의자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오늘날 혐오와 차별에 앞장서는 가장 큰 이유는 극우적 복음주의자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섬김과 포용의 신학’ 대신 ‘지배와 번영의 신학’을 주창하고, 기독교 우월주의와 국가주의, 인종차별과 낙태 등 감정적 문제들을 정치적 이슈로 삼기 때문이다. 성서가 일차적으로 기존 체제에 대한 비판과 체제변혁을 위한 하나님의 꿈을 담고 있는 문헌이라는 사실, 그리고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 텍스트는 악마의 빌미(프리텍스트)가 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할 질문들 왜 예수를 처형하는 일에 예루살렘 성전 제사장들과 신학자들이 앞장섰는가? 왜 독일개신교회 목사들과 대학교수들이 히틀러를 지지하는 데 앞장섰는가? 왜 미국 백인 복음주의자들 대다수가 인종차별주의자 트럼프를 지지하는가? 왜 섬김과 사회개혁에 앞장섰던 복음주의자들이 오늘날 혐오에 앞장서는가? 왜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않은 텍스트는 악마의 빌미(프리텍스트)가 되는가? 왜 차별과 번영신학은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배우지 못한 결과인가? 창조주/산모 하나님은 시방 무엇을 출산하려고 마지막 몸부림을 치고 계신가? 성서의 하나님은 왜 퀴어하시며, 또한 예수는 어떻게 ‘퀴어 그리스도’이신가? 차별과 폭력이 구조화된 세상에서 예수와 바울은 어떻게 혁명을 시작했는가? 세례자 요한이 선포한 하나님 나라를 예수는 왜, 어떻게 완전히 수정했는가? 예수는 왜 하나님 나라를 불결의 상징 누룩과 성가신 겨자씨에 비유했는가? 왜 탕자나 세리처럼 “자격 없는” 아웃사이더가 하나님 나라에서 환영받는가? 예수는 왜 성전보다 사람을, 율법보다 자비를, 업적보다 은총을 강조했는가? 예수는 왜 보상과 처벌 중심의 종교를 용서와 잔치 중심의 종교로 바꿨는가? 예수는 왜 가부장적인 이성애주의의 근본인 혼인과 가족제도를 폐지했는가? 예수는 왜 백부장의 동성 애인을 치유했으며, 그의 믿음을 매우 칭찬했는가? 바울은 가정교회들의 많은 노예들을 위해 어떻게 동성애 정죄를 해체했는가? 교회는 예수와 바울의 혁명적 메시지를 왜 다시 세상 질서와 타협시켰는가? 제국의 질서와 가치를 전복시킨 예수운동은 왜 퀴어 공동체로 출발했는가? 제국의 종교가 된 기독교는 누구를 위해 여성과 성소수자들을 차별하는가? 젠더와 섹슈얼리티 문제가 왜 성서 해석과 교회갱신에서 대단히 중요한가? 오랜 박해와 절망은 왜 하나님의 정의를 메시아적 폭력으로 둔갑시키는가? 약자를 차별하고 혐오하는 교회가 몰락해가는 이유가 성서 본문 때문인가? 투투 대주교는 왜 ‘안티게이 하나님을 예배하느니, 지옥에 가겠다!’ 했는가? 저자 마르셀라 알타우스-레이드(Marcella Althaus-Reid)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신학대학원(Edinburgh Divinity School)에서 그리스도교윤리, 실천신학,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남미 신학자이고 『외설적인 신학: 섹스, 젠더, 정치학에서의 신학적 도착』(Indecent Theology: Theological Per/versions in Sex, Gender and Politics), 『퀴어 하나님』(The Queer God), 『페미니스트 신학부터 외설적인 신학까지』(From Feminist Theology to Indecent Theology)의 저자이다. 자신의 신학에 대해 “나는 내가 하는 신학을 외설적이라고 부른다. 이 신학은 과거에 신학이 적절하고 점잖다고 주장하면서 권력과 결탁하고 현상유지를 지지한 것을 비난하기 때문이다. 한편 과거의 신학은, 신학에서의 유일한 점잖음이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정직과 정의 추구에서 나온다는 것을 무시했다. 그렇다면 나는 점잖지 않은 외설적인 신학자가 되고 싶다”고 말한다. 토마스 보해치(Thomas Bohache)는 1988년부터 메트로폴리탄 공동체교회(이하 MCC교회)의 목사로 캘리포니아, 버지니아, 델라웨어에 있는 회중을 섬겼다. 학부에서 고전어와 신학을 공부했고 버지니아대학교와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종교학 석사를 두 개 받았다. 현재 매사추세츠 캠브리지에 있는 성공회신학대학원(Episcopal Divinity School, Cambridge, Massachusetts)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갈라디아서를 퀴어 시각으로 해석한 논문을 『말씀을 되찾아라』(Take Back the Word)에 실었고, 『신학과 섹슈얼리티』(Theology and Sexuality)에 성육신(화육)에 대해 퀴어 관점으로 썼고, SCM 출판사에서 상황적 그리스도론들에 대한 단행본이 나올 예정이다. 패트릭 쳉(Patrick S. Cheng)은 MCC교회에서 안수받은 사제이다. 예일대학교(Yale College), 하버드법학대학원(Harvard Law School), 유니온신학대학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학위를 받았다. 현재 유니온신학대학원의 박사과정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고 있다. 아시아계 LGBT 사람들을 위한 온라인 사역인 Queer Asian Spirit, www.queerasianspirit.org의 창립자이자 코디네이터이다. 마이클 클락(J. Michael Clark)은 에모리대학교(Emory University)와 조지아주립대학교(Georgia State University)에서 가르친 바 있다. 현재 워렌윌슨대학교(Warren Wilson College)에서 가르친다. 그리고 미국종교학회의 종교그룹 내에서 게이남성의 이슈 분과를 시작했고 후에 공동의장을 했다. 저서로 『반항의 축하: 신학적 윤리와 게이 영성』(A Defiant Celebration: Theological Ethics and Gay Spirituality), 『우리의 게토를 넘어서: 생태학의 관점으로 본 게이 신학』(Beyond Our Ghetto: Gay Theology in Ecological Perspective), 『출발점: 당당한 게이해방신학을 향하여』(A Place to Start: Towards an Unapologetic Gay Liberation Theology)가 있다. 『종교학의 무지개: 에이즈, 하나님, 신앙, 동성애 혐오와 유대 그리스도교 전통』(A Rainbow of Religious Studies; Aids, God, and Faith and Homophobia and the Judaeo-Christian Tradition)의 공동 편집자이다. 윌리엄 컨트리맨(L. William Countryman)은 버클리(Berkeley)에 있는 처치신학대학원(Church Divinity School)의 셔먼 존슨(Sherman E. Johnson) 성서학 교수이다. 제너럴신학대학원(General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학사(STB)를 받았고 시카고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타자성의 선물: 교회 안의 게이와 레즈비언 그리스도인』(Gifted by Otherness: Gay and Lesbian Christians in the Church)의 공동저자이다. 또한 다음의 여러 저서를 썼다. 『인간과 신의 사랑: 사랑, 섹슈얼리티, 우정에 대한 성찰』(Love Human and Divine: Reflections on Love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