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

김태형 · 자기계발/인문학
28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4명)

‘높은 자살률’ ‘극단적 이기주의’ ‘자본만능주의’ 등 한국 사회를 수식하는 표현들은 한국인의 심리를 어지럽히고 있다. 무엇보다 ‘사람’을 사랑하는 한국인은 인간중심적 사고관을 역사적으로 이어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국인은 의심과 갈등이 팽배한 한국 사회에서 상처받고 정처 없이 헤매고 있다.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풍요중독사회』 등의 저서로 한국의 현주소를 파헤쳐 온 저자는, 이번 책에서 독자가 한국인이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행복이 무엇인지를 알리고자 한다. 저자는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을 정의하기 위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 도구로 삼아 한국인의 심리를 분석해왔다. 이러한 분석으로 한국인만의 고유한 특성인 ‘우리성’을 발견한다. 개인과 개인이 믿음과 사랑으로 끈끈한 관계를 맺으려는 특성이 ‘우리성’이며, 한국인은 이러한 우리성이 강한 민족이라고 정의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은 ‘가족’이라는 작은 우리와 ‘국가적 결합’이라는 큰 우리까지 모든 우리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은 우리 관계에 있음을 이야기한다. 더불어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한국인의 ‘우리성’ ‘인간중심성’ ‘비종교성’ ‘도덕성’ ‘낙천성’이라는 특성을 각각 분석해 다른 민족에게서 볼 수 없는 한국인의 위대함도 전한다.

[인터렉티브 필름] 앵무새 죽이기

새로운 인터렉티브 필름 DEMO ver.

[인터렉티브 필름] 앵무새 죽이기

새로운 인터렉티브 필름 DEMO ver.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 한국인의 심리 민족성이란 민족성 형성, 발전의 원인 한국인만의 민족성 1부 - 우리 1장 집단주의와 우리 집단주의의 동기 가짜 집단주의 가짜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집단과 우리 우리주의 감정과 우리성 우리와 평등 우리가 되면 무엇이 좋을까 우리성의 원인 2장 가족과 우리 가족과 가족심리 가족주의와 우리 가족 확장성인가, 아니면 우리성인가 서열주의 3장 우리 관계 비계산적 관계 마음을 주고받는 관계 마음 알아주기 경계란 없다 스킨십의 원조 4장 우리에 대한 열망 한국 사회의 큰 우리 2부 - 인간중심 1장 인간중심성 한국인의 개방성 인간에 대한 믿음 조화(어울림) 인간사랑 그리고 정 큰 우리와 친절 2장 인간은 존엄하다 주체적인 한국인 민초들의 힘 인간중심적 양육 3장 감정을 중시하는 한국인 한국인은 왜 감정을 중시할까 감정의 진폭이 큰 한국인 신바람과 흥 3부 – 비종교 인간을 위한 종교 현세주의 비종교성의 원인 4부 - 도덕 우리를 위한 도덕 도덕적 평가 힘에는 굴복하지 않겠다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 한국인 5부 – 낙천 풍자와 해학의 민족 한국인은 왜 낙천적일까 나오며 – 이상사회에 대한 열망 민족성의 종착지 이상사회에 대한 꿈 미주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한국인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한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이상사회를 꿈꾸는 한국인에게 인심과 온정을 꽃피우게 해줄 ‘우리주의’를 전하다 ‘높은 자살률’ ‘극단적 이기주의’ ‘자본만능주의’ 등 한국 사회를 수식하는 표현들은 한국인의 심리를 어지럽히고 있다. 무엇보다 ‘사람’을 사랑하는 한국인은 인간중심적 사고관을 역사적으로 이어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국인은 의심과 갈등이 팽배한 한국 사회에서 상처받고 정처 없이 헤매고 있다.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풍요중독사회』 등의 저서로 한국의 현주소를 파헤쳐 온 저자는, 이번 책에서 독자가 한국인이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행복이 무엇인지를 알리고자 한다. 저자는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을 정의하기 위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 도구로 삼아 한국인의 심리를 분석해왔다. 이러한 분석으로 한국인만의 고유한 특성인 ‘우리성’을 발견한다. 개인과 개인이 믿음과 사랑으로 끈끈한 관계를 맺으려는 특성이 ‘우리성’이며, 한국인은 이러한 우리성이 강한 민족이라고 정의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은 ‘가족’이라는 작은 우리와 ‘국가적 결합’이라는 큰 우리까지 모든 우리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은 우리 관계에 있음을 이야기한다. 더불어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한국인의 ‘우리성’ ‘인간중심성’ ‘비종교성’ ‘도덕성’ ‘낙천성’이라는 특성을 각각 분석해 다른 민족에게서 볼 수 없는 한국인의 위대함도 전한다. 이 책의 제목처럼 한국인의 마음에는 민족적, 국가적 큰 우리를 이루고자 하는 열망이 있다. 저자는 이 책으로 개인 간 경쟁과 격차 확대 때문에 생긴 다층적 위계화로 ‘우리’를 상실한 한국인에게 진정으로 우리가 무엇을 추구해야 할지 고민하기를 요청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민이 범국가적으로 집중되었을 때 한국인의 진정한 행복이 눈앞에 다가올 것으로 기대한다. 가장 한국적인 심리학적 접근으로 한국인의 집단심리와 삶의 방향을 제시하다 역사적으로 이어져온 우리가 되려는 성향이 강한 한국인의 특성을 분석한 저자는 극단적 이기주의가 만연한 사회에서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인의 고유한 5가지 특성은 ‘우리성’ ‘인간중심성’ ‘비종교성’ ‘도덕성’ ‘낙천성’이다. 우리성은 한국인이 타인과 허물없는 관계 맺기를 원하며,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적극 공감해 ‘우리 관계’를 강하게 원한다는 특성이다. ‘우리 가족’ ‘우리 엄마’ 등의 표현에서 사용된 우리라는 표현에서 한국인은 우리성의 민족임을 설명할 수 있다. 인간중심성은 한국인이 다른 국가의 사람들보다 인간을 가장 존중하며 사랑한다는 특성이다.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단군신화의 ‘홍익인간’ 사상적 뿌리에서 발전해온 한국인은 인간중심적 특성을 타고날 수밖에 없다. 다른 국가보다 개종이 비교적 쉽고 종교적 영향력이 낮은 한국인의 특성은 비종교성으로 설명했으며, 과거의 양반계층, 현재의 공인들에게 엄격한 ‘청렴결백’ 기준을 세우고 잘못된 점을 풍자와 해학으로 비판한다는 점에서 도덕성, 낙천성을 설명했다. 저자는 자신이 정리한 한국인의 5가지 특성을 이야기하며 잃어버린 한국인의 행복을 되찾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모든 한국인이 우리 관계가 되어 한마음, 한뜻으로 뭉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을 읽고 한국인의 민족성을 깨닫고 자신의 삶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