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

도리스 되리
364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6(36명)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36명)
독일 영화감독이자 작가 도리스 되리의 소설 열여덟 편을 연작 형식으로 묶은 작품으로, 엇나간 사랑과 뒤틀리고 무너진 관계, 일상의 그로테스크함을 간결하고 건조하지만 위트 있게 그리고 있다. 단조로운 일상에 숨겨진 비극성과 광기를 보여주면서도 그 안에서 웃음을 이끌어내는 특유의 글쓰기는 이 책에서도 유효하다. 그와 함께, 잠시 기쁨을 안겨주기도 하지만 실상 문제투성이인 인간관계의 장면장면을 스냅숏처럼 포착해 펼쳐 보인다.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20세기를 통틀어 드물게 여성의 정신적, 육체적 사정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는 작가'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영원히Für immer und ewig'라는 제목으로 영화보다 앞선 1991년 독일에서 출간되었으며, 이 책에 수록된 '오르페오'에서 기본 설정을 빌려 만든 영화가 [파니 핑크]다. 영화와 소설의 관계는 비교적 느슨하지만 공통적으로 '파니 핑크'라는 특별한 캐릭터가 중심에 있다. '파니 핑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록작 열여덟 편은 각각 그 자체로 완결된 이야기인 동시에, 모자이크 조각처럼 이어지며 인물간의 관계를 드러내는 한편 더 큰 하나의 이야기로 나아간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별점 그래프
평균3.6(36명)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코멘트

4

목차

1968년 9 불행은 떼를 지어 다닌다 29 ‘Are you experienced?’ 45 오르페오 61 구타 104 비네토우의 오른발 121 15달러짜리 사진 찍기 148 빨간 장미 161 투바 양탄자 전용 세제 182 쇼핑 열병 198 호텔방에 혼자 있는 여자들 205 일요일 오후 221 핸드백 235 비밀 250 ‘Reality’ 276 영원히 297 마트에서 만난 남자 319 센토리 339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영화 〈파니 핑크〉의 감독 도리스 되리 소설집 인간관계에 대한 영리한 고찰. 도리스 되리는 명사수처럼 단어들을 적재적소에 쏘아넣는다. 아마존 독자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는 독일 영화감독이자 작가 도리스 되리의 소설 열여덟 편을 연작 형식으로 묶은 작품으로, 엇나간 사랑과 뒤틀리고 무너진 관계, 일상의 그로테스크함을 간결하고 건조하지만 위트 있게 그리고 있다. 단조로운 일상에 숨겨진 비극성과 광기를 보여주면서도 그 안에서 웃음을 이끌어내는 특유의 글쓰기는 이 책에서도 유효하다. 그와 함께, 잠시 기쁨을 안겨주기도 하지만 실상 문제투성이인 인간관계의 장면장면을 스냅숏처럼 포착해 펼쳐 보인다. 무엇보다 이 책을 통해 ‘20세기를 통틀어 드물게 여성의 정신적, 육체적 사정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는 작가’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독일과 유럽에서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출간한 작가인 도리스 되리는 영화감독으로 먼저 이름을 알렸고, 현재 포스트 파스빈더 세대를 이끄는 거장으로 입지를 굳혔다. 단편영화와 다큐멘터리영화 시절을 지나 1983년 장편영화 데뷔작 〈마음 한가운데로〉로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뒤 새로운 감각의 코미디를 선보이며 서서히 지지층을 넓혀갔으며, 그 정점이라 할 만한 작품이 1995년 국내에도 소개된 〈파니 핑크〉(원제: Keiner Liebt Mich)다. 운명의 숫자 23을 갖고 있는 남자를 찾아다니는, 엉뚱하지만 사랑스러운 파니 핑크를 주인공으로 돈과 연애, 결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코믹하고도 몽환적으로 풀어낸 영화는 번뜩이는 재치와 유머, 감각적인 대사와 영상으로 많은 마니아를 확보했다.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는 ‘영원히F?r immer und ewig’라는 제목으로 영화보다 앞선 1991년 독일에서 출간되었으며, 이 책에 수록된 「오르페오」에서 기본 설정을 빌려 만든 영화가 〈파니 핑크〉다. 영화와 소설의 관계는 비교적 느슨하지만 공통적으로 ‘파니 핑크’라는 특별한 캐릭터가 중심에 있다. 책에서는 마음 편히 사랑하고 사랑받길 원하지만 응답받지 못하는 사랑에 좌절하거나 결혼과 독신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파니 핑크는 물론, 파니의 연애 상대들과 어린 시절의 친구, 가족까지 화자로 등장해 각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이들 모두 자기만의 방식으로 진정한 애정을 갈구하지만 기만당하기 일쑤고 무의미하고 공허한 관계 속에 잠식당한 채 우울한 환멸에 빠지고 만다. ‘파니 핑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록작 열여덟 편은 각각 그 자체로 완결된 이야기인 동시에, 모자이크 조각처럼 이어지며 인물간의 관계를 드러내는 한편 더 큰 하나의 이야기로 나아간다. 도대체, 마음 편히 사랑하고 사랑받는 게 그다지도 불가능한 일인 거야? 인간관계에 대한 사려 깊고 독창적인 고찰 첫 단편 「1968년」에서 학창 시절 조숙한 친구 안토니아에게 남몰래 열등감을 느끼며 가슴이 나오게 해달라고, 제대로 된 남자를 만나게 해달라고 기도하던 파니는 드디어 흥미로운 남녀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다. 파니가 제안하는 낭만적인 사랑에 남자들은 예외 없이 반색하지만 원하는 만큼의 사랑을 되돌려주는 일이 없고, 그녀는 클라우스, 파울과의 연애를 거쳐 크사버의 곁에서도 호텔방에 혼자 있는 여자들을 떠올린다. 소설 속에서 언제나 근사해 보이던 그들과 달리 혼자인 자신은 초라한 것만 같다. 호텔방에서 혼자,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좋은 책을 읽고 라디오에서 나오는 오후의 클래식을 듣고 딸기 생크림케이크를 한 조각 먹으며 창밖의 눈과 어둠과 추위를 관조하는 삶. 지금 그녀가 있는 곳은 그간 거쳐온 남자들의 사랑이 부족하다고-아니면 거짓이라고-느낄 때면 언제나 가닿고자 꿈꾸던 그곳이었다. 그러나 그토록 자주 그리워하던 섬이 지금은 적막하고 황량하게 느껴질 뿐이었다. 왜 소설에서는 호텔방에 혼자 있는 여자들이 늘 낭만적으로 보이는지, 부러울 만큼 당당하고 고상해 보이는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파니 자신이 혼자 있으면 그냥 매력 없고 왠지 존재감도 좀 없다는 느낌이 들었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비눗방울처럼. (「호텔방에 혼자 있는 여자들」) 그 와중에 동생 샤를로테의 결혼 소식을 듣게 된 파니는 그런 속물적인 제도는 거부할 거라고 생각하면서도 눈물을 쏟는다. 샤를로테의 삶이 정상적이고 평범한 것이고 자기는 누군가 함께하지 못하도록 저주받았다고 느끼면서. 그리고 동생의 결혼식 당일 엄마에게서 아빠의 비밀에 대해 듣게 된다(「빨간 장미」). 샤를로테는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가지지만 그것이 정말 원하던 삶인지 의문은 가시지 않고 영원한 사랑 따윈 가망 없는 일이라 여긴다(「영원히」). 그리고 엄마로, 아내로 사는 그녀의 삶이 행복한 것 같다고 생각하는 파니에게 한낮의 일탈에 대해 고백한다(「마트에서 만난 남자」). 집으로 어린 애인을 불러들였다가 전혀 예상치 않은 일과 맞닥뜨린 헤르베르트는 절망적인 심정으로 미친듯이 상황을 수습하려 하고(「투바 양탄자 전용 세제」), 삼십 여년을 함께 산 남편의 불륜 사실을 알게 된 에바는 공허한 마음을 쇼핑으로 달래려 한다(「쇼핑 열병」). 각자 끔찍하고 지리멸렬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핑크 부부는 두 딸 파니와 샤를로테가 얼마나 불행한지 모른다. 한편 학창 시절 파니의 친구이자 부러움의 대상이었던 안토니아는 불행한 연애의 돌파구를 찾고자 점술가 오르페오를 찾아간다. 자신은 아르크투루스 행성에서 왔기 때문에 예언을 할 수 있다는 오르페오는 안토니아의 공허한 마음을 꿰뚫어보고, 그녀는 그런 그에게 점점 의지하게 된다(「오르페오」). 영화와는 달리 화자는 파니 핑크가 아니라 안토니아이며, 슬픔에 빠진 젊은 여자가 아파트 위층에 사는 오르페오라는 이름의 흑인 동성애자 점술가를 찾아간다는 설정만 같을 뿐 완전히 다른 이야기가 전개된다. 시간이 흘러 어엿한 커리어우먼으로 파니와 재회한 안토니아는 이제 점술가가 아닌 바흐 꽃 자기치유법에 매달린다(「센토리」). 사랑과 슬픔, 기만과 환멸의 장면들 윤무처럼 펼쳐지는 ‘파니 핑크’들의 이야기 이렇게 윤무처럼 펼쳐지는 이야기 속 파니 핑크, 핑크들은 바람과는 달리 엇나가기만 하는 관계에 상처받는다. 이들의 내면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은 도리스 되리의 솔직하고 꾸밈없는 서술방식 덕분이다. 책장을 넘기며 터져나오던 웃음이 어느 순간 목구멍에 턱 걸리고 마는 것도 입체적으로 그려지는 캐릭터 덕분이다. 특히 파니나 샤를로테 등 여성 캐릭터들이 고민하는 문제, 결혼과 독신 사이에서, 커리어와 아이 사이에서 쉽지 않은 선택을 요구받고 그 삶을 감당해가는 이야기는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근본적으로 오늘날 우리는 모든 것을 동시에 잘해내야 한다는 데 압도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엄마여야 하지만 성공도 해야 하고 쉰 살이어도 외모는 서른 살처럼 보여야 하죠.” 한 인터뷰에서 도리스 되리는 말했다. 책 속 인물뿐 아니라 현실의 많은 ‘파니’나 ‘샤를로테’에게 지워진 부담의 또다른 설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는 영화 〈파니 핑크〉를 기억하고 대사 하나하나에 가슴을 쳤던 90년대 영화 팬은 물론 지금의 우리에게도 특별한 독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