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감정수업

강신주 · 에세이/인문학
52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3(6,244명)
0.5
4
5
평가하기
3.3
평균 별점
(6,244명)

철학자 강신주가 읽어주는 욕망의 인문학. 17세기 철학자 스피노자와 그의 저서 <에티카>는 철학사에서 많은 논란과 동시에 흠모의 대상이다. 이성 중심의 서양 철학 전통에서 ‘감정의 철학자’로 불리게 되는 혁명적인 사상가이기 때문이다. 철학자 강신주 박사는 스피노자가 정의한 48가지 감정을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하나하나 세심하게 설명해 준다. 대중과의 소통을 소중히 여기는 철학자 강신주는 자아를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에게 지금 시급한 문제는 바로 자기 감정을 회복하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철학자의 어려운 말을 독자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위대한 심리학자와도 같았던 작가들의 이야기에서 예를 가져온다. 또한 자칫 추상화될 수 있는 인문학을 구체적인 현실과 연결 짓기 위하여 ‘철학자의 어드바이스’를 덧붙였다. 타인의 감정을 살피고 나의 감정을 들여다보기 위하여 각 장마다 그림 보는 시간을 할애했다. 그리하여 <강신주의 감정수업>은 스피노자의 48개의 감정, 48권의 세계 문학의 걸작, 철학자가 들려주는 48개의 어드바이스,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시각화했던 예술가들의 명화 45개로 이루어진 책이다.

마비노기x장송의 프리렌

장송의 프리렌과의 콜라보 진행중

마비노기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3(6,244명)
0.5
4
5

마비노기x장송의 프리렌

장송의 프리렌과의 콜라보 진행중

마비노기 · AD

저자/역자

코멘트

100+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감정의 윤리학자’ 스피노자 1부 1 비루함,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극복해야 할 노예의식 『무무』, 이반 투르게네프 2 자긍심, 사랑이 만드는 아름다운 기적 『정체성』, 밀란 쿤데라 3 경탄, 사랑이라는 감정의 바로미터 『오래오래』, 에릭 오르세나 4 경쟁심, 서글프기만 한 사랑의 변주곡 『술라』, 토니 모리슨 5 야심,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약점 『벨아미』, 기 드 모파상 6 사랑, 자신을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변화시킬 수 있는 힘 『동풍서풍』, 펄 벅 7 대담함, 나약한 사람을 용사로 만드는 비밀 『1984』, 조지 오웰 8 탐욕, 사랑마저 집어삼키는 괴물 『위대한 개츠비』, F. 스콧 피츠제럴드 9 반감, 아픈 상처가 만들어낸 세상에 대한 저주 『풀잎은 노래한다』, 도리스 레싱 10 박애, 공동체 의식을 가능하게 만드는 원동력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11 연민, 타인에게 사랑이라는 착각을 만들 수도 있는 치명적인 함정 『초조한 마음』, 슈테판 츠바이크 12 회한, 무력감을 반추하도록 만드는 때늦은 후회 『전락』, 알베르 카뮈 2부 13 당황, 멘붕, 즉 멘탈붕괴와 함께 하는 두려움 『채털리 부인의 연인』, D. H. 로렌스 14 경멸, 자신마저 파괴할 수 있는 서글픔 『여인의 초상』, 헨리 제임스 15 잔혹함, 사랑의 비극 『인생의 베일』, 서머싯 몸 16 욕망, 모든 감정에 숨겨져 있는 동반자 『프랑스 중위의 여자』, 존 파울즈 17 동경, 한때의 기쁨을 영속시키려는 서글픈 시도 『아우라』, 카를로스 푸엔테스 18 멸시, 사랑이라는 감정의 막다른 골목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에드워드 올비 19 절망, 죽음으로 이끌 수도 있는 치명적인 장벽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20 음주욕, 화려했던 과거로 돌아가려는 발버둥 『밤으로의 긴 여로』, 유진 오닐 21 과대평가, 사랑의 찬란한 아우라 『허조그』, 솔 벨로 22 호의, 결코 사랑일 수 없는 사랑 『노르웨이의 숲』, 무라카미 하루키 23 환희, 원하는 것이 선물처럼 주어질 때의 기적 『판결』, 프란츠 카프카 24 영광, 모든 이의 선망으로 타오르는 위엄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3부 25 감사,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품고 친절을 베풀 수밖에 없는 서러움 『거미여인의 키스』, 마누엘 푸익 26 겸손, 진정한 사랑을 위한 자기희생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 에밀 졸라 27 분노, 수치심이 잔인한 행동이 될 때까지 『죄와 벌』, 도스토예프스키 28 질투, 사랑이 드리우는 짙은 그림자 『질투』, 알랭 로브그리예 29 적의, 자신의 삶을 지키려는 허망한 전투 『개인적인 체험』, 오에 겐자부로 30 조롱, 냉소와 연민 사이에서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나쓰메 소세키 31 욕정, ‘프레스토’로 격하게 요동치는 영혼 『악마』, 톨스토이 32 탐식, 자신의 동물성을 발견하게 될 때 『먹는 일에 대한 이야기 둘』, 모옌 33 두려움, 과거가 불행한 자의 숙명 『유령』, 헨리크 입센 34 동정, 비참함이 비참함에게 바치는 애잔한 헌사 『티파니에서 아침을』, 트루먼 커포티 35 공손, 무서운 타자에게 보내는 친절 『인간 실격』, 다자이 오사무 36 미움, 내가 파괴되거나 네가 파괴되거나 『피아노 치는 여자』, 엘프리데 옐리네크 4부 37 후회, 모든 불운을 자기 탓으로 돌리는 나약함 『캐스터브리지의 읍장』, 토머스 하디 38 끌림, 사랑으로 꽃필 수 없어 아련하기만 한 두근거림 『연인』, 마르그리트 뒤라스 39 치욕, 잔인한 복수의 서막 『토요일』, 이언 매큐언 40 겁, 실패를 예감하는 위축된 자의식 『여명』, 시도니가브리엘 콜레트 41 확신, 의심의 먹구름이 걷힐 때의 상쾌함 『레베카』, 대프니 듀 모리에 42 희망, 불확실해서 더 절절한 기다림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43 오만, 사랑을 좀먹는 파괴적인 암세포 『위험한 관계』,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 44 소심함, 작은 불행을 선택하는 비극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프랑수아 사강 45 쾌감, 포기할 수 없는 허무한 찬란함 『도나 플로르와 그녀의 두 남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감정의 윤리학자’ 스피노자와 함께 떠나는 내면의 여행 이성과 감성, 인간은 이 두 가지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어야 온전한 삶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가부장제와 물질만능주의가 야기하는 억압적인 구조 아래에서 감정을 억누르며 살 수밖에 없다. 이성이 절대 위치에 있는 철학 전통에서 인간을 이해하는 데 감정이 중요한 키워드임을 주지시켰던 ‘혁명적인’ 철학자가 있었으니, 바로 17세기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유대인 교회에서 파문당한 스피노자다. 스피노자는 『에티카』 3부에서 인간의 감정을 크게 48가지로 분류하고, 그와 유사한 감정들을 비교하면서 파고들었는데, 인간의 감정을 이토록 세분해서 소개한 철학자는 없었다. 대중과의 소통을 소중히 여기는 철학자 강신주 박사는 자아를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에게 지금 시급한 문제는 바로 자기 감정을 회복하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철학자의 어려운 말을 독자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위대한 심리학자와도 같았던 작가들의 이야기에서 예를 가져온다. 또한 자칫 추상화될 수 있는 인문학을 구체적인 현실과 연결 짓기 위하여 저자는 지난 10여 년간 ‘철학 카운슬러’로 활동한 경험을 살려 ‘철학자의 어드바이스’를 덧붙였다. 이제 우리는 잠자고 있는 감성을 깨울 시간이다. 타인의 감정을 살피고 나의 감정을 들여다보기 위하여 각 장마다 그림 보는 시간을 할애했다. 그리하여 『강신주의 감정수업』은 스피노자의 48개의 감정, 48권의 세계 문학의 걸작, 철학자가 들려주는 48개의 어드바이스,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시각화했던 예술가들의 명화 45개로 이루어진 책이다. ★ 우리는 왜 내 감정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가? 현재에 살지만 과거나 미래에 사로잡힌 사람의 행동 준칙은 ‘선(Good)과 악(Evil)’이다.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의 목소리에 충실한 사람의 행동 준칙은 ‘좋음(good)과 나쁨(bad)’이다. 감정은 우리 삶의 속도만큼 충분히 지속적이다. 그러니 감정의 색채를 믿고 따르라! 자신의 심장 소리와 함께 지속되는 그 감정의 목소리를 존중하라! 그것이 당신의 삶을 현재로 충만하게 사는 유일한 방법이니까. 물론 그러기 위해서 여러분은 타인의 평가에서 자유롭고 당당해져야만 한다. 주변 사람들은 자유로운 감정의 소유자와 당당한 사람을 무서워하는 법이다. 그건 자신들이 그렇게 살지 못하고 있다는 자괴감 때문이다. 비겁함 때문에 자신이 따먹지 못한 과일을 과감히 따먹는 사람을 보고 마음이 편할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 감정을 순간적이라고 저주하면서 현재를 부정하는 사람들, 그래서 현재에 살지만 과거나 미래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사람들의 행동 준칙은 ‘선(Good)과 악(Evil)’이다. 반면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의 목소리에 충실한 사람들이 따르는 행동 준칙은 ‘좋음(good)과 나쁨(bad)’이다. 돌아보면 경제적인 여러 이유로 사랑하는 남자를 포기한 여성은 ‘좋음과 나쁨’의 기준이 아니라 ‘선과 악’의 기준을 따른 것이다. 여러 가지로 무능력해 보이는 남자와 결혼하는 것, 그것은 자본주의라는 공동체의 가치를 수용하고 있는 부모나 친구들에게서는 악으로 보였던 것이다. ―「에필로그」에서 이 책에서 감정 하나하나를 구체적인 예와 함께 파고드는 이유는 스스로 나의 감정의 정체를 식별하는 훈련을 하기 위함이다. ‘연민’이나 ‘동정'을 사랑으로 착각하는 여자들, ‘질투'를 사랑의 증거라고 오해하는 남자들, ‘경멸'과 ‘멸시' 속에서도 헤어지지 못하는 연인들… 억압적인 자본주의와 권위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현대인은 나의 감정에 충실하지 못하고 돈 버는 남편으로서, 공손한 며느리로서, 말 잘 듣는 자식으로서 인습의 노예로 살아간다. “나쁜 감정인데 좋은 감정이라고 착각하거나, 반대로 좋은 감정인데 나쁜 감정이라고 혼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감정의 혼동은 삶의 혼동을 낳고, 마침내 자신을 불신하는 것으로 막을 내리기 쉽기 때문이다.” 지금 내가 느끼고 있는 나의 감정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것, 이것은 바로 내가 누구인지를 알고, 또 비로소 내가 내 삶의 주인으로 살아갈 수 있는 첫 걸음이다. 자신의 감정과 삶을 교살시키는 이런 비극적인 사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 ‘선과 악’이라는, 부모나 타인들의 가치 평가를 그대로 수용했기에 이런 비극이 발생한다. 하지만 감정의 중요성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이런 비극을 막을 수도 있다. 이제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지 않은가.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자신의 감정을 따르지 않는다면 우리는 내 삶을 행복하게 살아낼 수 없다는 진실을. 비극이 발생하는 두 번째 이유는 우리가 자신의 마음을 뒤흔드는 다양한 감정들에 너무나 서툴렀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두 번째 이유에서 발생하는 비극을 막기 위해서, 지금 자신을 휘감고 있는 감정이 슬픈 것인지 아니면 기쁜 것인지 정확히 식별할 수 있어야만 한다. ―「에필로그」에서 ★ 『에티카』와 스피노자의 48가지 감정 감정을 다스리려는 칸트의 이성이 아니라 감정을 긍정하고 지혜롭게 발휘하는 스피노자의 이성이 필요하다. 17세기 철학자 스피노자와 그의 저서 『에티카』는 철학사에서 많은 논란과 동시에 흠모의 대상이다. 이성 중심의 서양 철학 전통에서 ‘감정의 철학자’로 불리게 되는 혁명적인 사상가이기 때문이다. 철학자 강신주 박사는 이 스피노자의 감정을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하나하나 세심하게 설명해 준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이성적인 존재일까? 이것은 감정의 강력함에 직면했던 인간의 절망스러운 소망에 지나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한 번이라도 자신과 타인을 제대로 응시했다면, 누구나 인간이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정적이라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사실 이성은 감정보다 먼저 일어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심지어 이성은 감정을 통제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성이 감정을 적대시한다면 언젠가 감정의 참혹한 복수 앞에서 자신의 무기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감정에 무조건적으로 적대적이었던 칸트의 이성과는 다른 종류의 이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직감하게 된다. 감정의 쓰나미를 무모하게 막아서려는 이성이 아니라, 감정을 긍정하고 지혜롭게 발휘하는 스피노자의 이성 말이다. ―「프롤로그」에서 ★ 철학자가 풀어주는 48가지 욕망 대부분의 철학자들이 인간의 이성에서 윤리학을 시작하려고 할 때, 스피노자는 자신의 윤리학을 욕망에서부터 출발했다. 이것이 바로 스피노자가 지닌 혁명성이다. 우리의 현실은 이성보다 감정에 좌우되는 존재다. 하지만 나의 감정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그 감정이 어떤 성격의 것인지 모를 때가 많다. 내 옆에 있는 남자에 대한 끌림이 단순히 좋은 사람에 대한 호감일까, 아니면 사랑의 시작일까? 지금 연인에 대한 나의 감정은 연민일까, 진짜 사랑일까? 나의 선택은 올바른 감정에서 비롯된 것일까, 아니면 소심함 때문에 선택한 실수일까? ‘대담함’이란 감정은 용기와 동의어일까? 나의 친구가 좋아하는 사람을 나도 좋아하는 것은 진심일까, 아니면 경쟁심의 발로일까? 우리는 나도 모르는 감정에 이끌려 잘못된 판단을 할 때도 있다.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나의 감정을 분명히 파악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감정의 종류와 성격에 대해 인문학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개개인의 삶보다는 사회질서를 우선시하는 대부분의 윤리학자들이 스피노자를 그토록 비난했던 것도 다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그들은 전체 사회를 위해 개인의 욕망은 통제되거나 절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니까. 이렇게 사회 전체의 입장에서 자신의 욕망을 검열하는 것이 바로 ‘이성’의 역할이다. 결국 이성의 윤리학은 사회의 윤리학이지 ‘살아 있는 나’의 윤리학일 수는 없다. 욕망을 긍정하면서 스피노자가 복원하고자 했던 것이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9

비슷한 작품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