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중독 사회

켄타로 토야마
36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여는 글 과학기술은 인류의 구원자인가 7 1부 기술 혁신의 한계 1장 컴퓨터는 교사가 아니다 아무리 가난해도 쓸 수 있는 컴퓨터 25 │ 모두를 위한 선물은 없다 27 │ 에디슨의 예언 30 │ 교실에 꼭 컴퓨터가 있어야 할까? 33 │ 현명한 부모는 알고 있다 39 │ 스스로 이해 못할 일을 한다는 것 41 2장 기술의 증폭효과 인터넷 카페와 인도 소녀들 45 │ 기술과 사회의 격전지 49 │ 기술 유토피아 50 │ 인터넷 정보에 압도된 민주주의 52 │ 스타트렉과 멋진 신세계 55 │ 결국은 사람이다 56 │ 능력에 따른 기술 격차 59 │ 컴퓨터는 지렛대다 62 │ 증폭의 힘 65 │ 페이스북 혁명 66 │ 혁명은 어디에서 오는가? 69 │ 불만이 없다면 혁명도 없다 72 3장 환상이 낳은 신세계 워크맨이 바꾼 인류의 습관 75 │ 외로워지는 사람들 77 │ 의료보험 비용이 새고 있다 80 │ 어떤 기술도 망가진 시스템을 고치진 못한다 83 │ 사람은 모르는 이에게 손을 내밀지 않는다 85 │ 디지털 격차를 줄이지 못하는 이유 88 │ 중국이라는 코끼리 90 │ 증폭의 법칙으로 보는 미래 94 │ 예상 밖의 결과란 없다 98 │ 기계와 신 99 4장 미봉책은 언젠가 터지고 만다 패키지 개입과 증폭의 법칙 103 │ 소액신용대출의 진실 103 │ 좋은 신용이라는 것이 존재할까? 107 │ 우물 안 민주주의 109 │ 인도판 ‘로미오와 줄리엣’ 111 │ 백신이 있어도 사람을 구하지 못하는 이유1 13 │ 패키지 개입에서의 역할 분담 114 │ 패키지 개입에서 놓칠 수 있는 것 118 │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철칙 120 │ 빛이 좋아도 개살구이듯 121 5장 기술만능주의 과연 출판업계는 위기일까? 127 │ 무작위 대조군 실험의 혁명 131 │ 카메라 너머의 비밀 133 │ 빈곤을 퇴치하면서 이윤도 얻는다? 138 │ 반사회적인 사회적 기업 141 │ 모든 가치는 행복으로 이어진다 145 │ 개미와 배짱이 148 │ 일리아드의 가치 151 │ 기술 십계명 152 │ 시험만을 위한 수업 155 │ 계몽주의의 진실 157 2부 기술과 우리의 미래 6장 훌륭한 교육은 기술이 아니다 실패에서 얻은 교훈 165 ┃ 디지털 그린의 탄생 168 ┃ 효과적인 기술 활용을 위한 세 가지 171 ┃ 디지털 그린에는 농부 직원이 없다 173 ┃ 패키지 개입의 성공을 결정짓는 세 가지 175 ┃ 상충되는 상황에서의 기술 증폭 177 ┃ 브로콜리 같은 교육, 유혹하는 게임 179 ┃ 테일러 선생님의 노하우 181 ┃ 경쟁의 기회가 공평할 수 있을까? 183 ┃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법 185 ┃ 학교에 무선 인터넷이 필요할까? 187 7장 새로운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때 벽 구멍 컴퓨터 프로젝트의 재해석 191 ┃ 개입 대 교육 192 ┃ 아셰시대학교의 기적 195 ┃ 운명의 돌파구 197 ┃ 지혜의 세 기둥 199 ┃ 죽은 현자의 살아 있는 가르침 203 ┃ 집단에서의 내면적 성장 208 ┃ 평화와 배움의 천국, 샨티 바반 211 ┃ 정규교육의 가치 215 ┃ 지속 가능한 교육이란 221 ┃ 희망이 오는 곳 224 8장 구원자의 진짜 얼굴 그녀가 회사를 그만둔 사정 227 ┃ 보이지 않는 티핑 포인트 229 ┃ 돈을 따지지 않는 경제학자 232 ┃ 오랜 잠에서 깨어나야 할 때 233 ┃ 새로운 시작 237 ┃ 깨달음의 숨겨진 힘 239 ┃ 매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 242 ┃매슬로 다시 보기 244 ┃ 기술 십계명에 맞서다 250 9장 인간의 지혜를 측정하다 개인 성장과 사회 발전의 상관관계 255 ┃ 베버가 지금 인도를 찾았다면 258 ┃ 빵이 많으면 일어나는 일 262 ┃ 인도 IT 발전에 대한 고찰 268 ┃ 창조 계급의 시대 272 ┃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274 ┃ 온정 계급과 우리의 미래 276 10장 사람이 세상을 바꾼다 피아니스트가 되는 지름길은 없다 281 ┃ 눈앞의 변화 285 ┃ 효과적인 멘토십이란? 288 ┃ 멘토십처럼 보이지만 멘토십이 아닌 것 297 ┃ 외부에서 내부로 299 ┃ 멘토십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꿈꾸다 302 ┃ 행복으로 가는 멀고 험한 여정 303 마치는 글 기술 의존에서 인간 존중으로 306 부록 주요 비영리단체 316 주 318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기술만능주의에 대한 날 선 고찰 왜 사회의 해답을 기술에서 찾는가? 미국은 몇십 년간 놀라운 기술 발전을 보였지만 빈곤율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국민의 집단행동을 막고자 소셜미디어의 글을 검열한다. 아제르바이잔에서는 투표소에 설치된 웹캠 때문에 소신껏 투표하지 못하고, 이란의 경우 국가 경찰의 수장이 시위를 진압할 때 신기술로 가담자를 찾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례는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던진다. 마이크로소프트 인도 연구소 공동 창립자인 켄타로 토야마는 이 책을 통해 기술이상주의에 경종을 울린다. 그는 개발도상국이 현재 겪고 있는 문제, 특히 빈곤 문제에 주목한다. 그동안 선진국의 기업들은 주로 기술적 측면으로 개발도상국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우리 모두 알다시피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교육에 아이패드로 ‘개입’한다고 해서 아이들이 스스로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켤까? 왜 저렴한 백신을 개발하여 ‘개입’해도 여전히 병으로 죽어가는 아이들이 있을까? 2011년 일어난 이집트 혁명은 과연 페이스북의 ‘개입’으로 이루어진 것일까? 많은 사람들이 기술 도입을 이끄는 리더, 기술을 실행하는 실행자, 기술의 혜택을 받는 수혜자의 노력을 간과한다. 우리는 이미 기술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우리에게 세계를 이끄는 건 기계가 아니라 사람의 지혜임을 일깨워 준다. ★ 빌 게이츠 추천 도서 빌 게이츠, “인간 행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촉구하는 책이다.” ★ 뉴욕대학교 경제학 교수 윌리엄 이스털리, 《벼락부자》의 저자 벤 메즈리치가 주목한 책! ★ 이 책에 쏟아진 독자들의 찬사 사회 변화를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인생을 바꿀 책이다. 내 인생도 이 책으로 바뀌었다. _Bill Thies 엄청난 아이디어로 가득하다. 각 장 모두 일반적으로 알려진 편견을 하나씩 무너뜨린다. _ KristofS 이 책에 담긴 논의의 깊이와 넓이에 무척 놀랐다. 일본, 미국, 가나 등 여러 나라의 기관에 몸담은 저자의 이력이 돋보인다. _R. L. D. 사회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이 도대체 왜 기대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를 고민하는 모든 이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_Ajit G. (출처: 아마존 www.amazon.com) 기술의 시대, 괴짜 공학자가 던지는 질문 기술로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무엇으로 해결해야 하는가? 오늘날 세계는 기술의 시대라 불러도 손색없을 만큼 고도의 기술 발전을 이루었다. 그 혜택은 무척 컸다. 인터넷으로 먼 곳의 사람과 연락할 수 있고, 수많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백신을 값싸게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술 발전이 모두에게 혜택을 준 건 아니다. 백신 값이 많이 싸졌지만 세계 많은 나라에서 여전히 백신을 접종받지 못하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있다. 왜 좋은 기술이 있는데도 세상은 더 나아지지 않을까? 이 책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기술에 대해 놓치고 있던 부분, 그러나 빌 게이츠를 비롯하여 세계적인 학자들은 이미 알고 있던 부분에 집중한다. 바로 기술 이면에 존재하는 ‘증폭의 법칙’이다. 저자 켄타로 토야마는 컴퓨터공학자로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오랜 기간 컴퓨터 시각 기술과 멀티미디어를 연구했다. 이후 그는 발전된 기술을 활용해 사회 격차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는 사명감을 갖고 인도를 찾았다. 마이크로소프트 인도 연구소 공동 창립자이기도 한 저자는 기술을 활용한 여러 프로젝트를 주도하였다. 자신만만했던 그는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작용하는 현실의 벽에 부딪히고 시각을 바꾸게 되었다. 기술은 법이나 제도로 개발도상국 사회에 정착되는 만큼 기술과 제도의 관계 등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이 책에서는 기술의 효과를 ‘증폭’으로 설명한다. 즉, 어떠한 기술을 어떤 사회 흐름에 적용하면 그 흐름이 증폭한다는 것이다.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굶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인터넷의 발명으로 많은 사람들이 서로 연결되고,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생명을 살려 사회가 이로워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토야마가 말하는 증폭은 일종의 사회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사회를 변화하려는 움직임은 정부, 비영리단체, 개인 등 다양한 주체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은 물론 선진국의 사회 병폐를 처리하는 방향으로까지 다채롭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된 현대인들이 금전적인 것보다 사회를 이롭게 하는 데 삶의 목적을 두면서 긍정적인 증폭의 가치는 더욱 중요해졌다. 세상에는 여전히 굶는 사람, 고립된 사람, 병들어 죽어가는 사람이 있다. 그러므로 사회를 바꾸고 싶다면 증폭의 힘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만일 사회에 긍정적인 증폭이 실패했다면, 기술 주변을 살펴보아야 한다. 증폭의 실패 원인은 주로 기술을 도입하려는 주체가 기술‘만’ 중요한 변수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선진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문제이다. 미국은 그동안 교육에서 기술을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맞춰 로스앤젤레스 통합 교육구는 학생 전체에게 아이패드를 배포하는 프로젝트를 개시했지만 교육 효과는 증폭되지 않았다. 학생들이 아이패드의 보안 소프트웨어를 해킹하여 교육 프로그램 대신 게임을 했기 때문이다. 결국 프로젝트는 폐지되고 말았다. 이것은 기술 뒤에 학생들을 봐주는 어른이 필요하다는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 실수이다. 반대로 미국의 한 사립학교의 경우, 학부모들은 기술보다 학생들을 봐주는 어른이 있는 이곳에 많은 학비를 대고 있다. 다른 공학자와 마찬가지로 저자 또한 과거엔 모든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고자 했다. 그가 혼신을 쏟았던 프로젝트에는 교육 관련 프로젝트가 많았는데, 컴퓨터 수가 부족한 학교에 이를 위한 기술을 제공하거나 컴퓨터 수업을 하는 식이었다. 그러나 노력만큼 기대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인도에서는 여전히 카스트 제도의 영향이 남아 있었고, 여자아이들은 방과 후에는 남의 집안일을 하며 돈을 벌고 14~15살 즈음에는 결혼해야만 했다. 더군다나 신부 지참금이 올라간다는 이유로 부모는 더 이상 학교를 다니지 못하게 했다. 컴퓨터에 서투른 교사들은 수업을 시작할 때마다 애를 먹었으며, 기술직원도 없어 컴퓨터는 관리되지 못했다. 다른 학자의 프로젝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뉴델리 슬럼가 벽에 컴퓨터를 설치한 프로젝트는 처음에는 많은 사람의 지지를 받았지만 아이들은 컴퓨터로 주로 비디오게임을 하고 이마저도 컴퓨터가 사라지기 일쑤였다. ‘어린이에게 노트북컴퓨터를(One Laptop Per Child)’이라는 원대한 이름의 프로젝트도 아이들이 스스로 컴퓨터로 공부하지 않으면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어떠한 기술을 사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기술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밑바탕에 깔려 있어야 한다. 워크맨이 음악 듣는 문화를 만든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렇지 않다. 사람은 이전부터 음악을 들어왔고, 손쉽게 음악 듣기를 원했다. 워크맨이 그러한 욕구를 증폭시킨 것이다. 반대로 기술은 있지만 사람이 원하지 않으면 성공하지 않는다. 입으면 몸이 근질거리는 옷이 있다면 과연 입고 싶을까? 그러한 기술이 있다고 해도 이미 사람은 편안함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 기술은 사회에 증폭효과를 불러올 수 없다. 이처럼 증폭에는 사람이 우선시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좋은 의도, 안목, 자기통제가 필요하다. 기술 적용에 있어 사람의 의지와 사회 환경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2011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이집트 혁명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집트 혁명은 ‘페이스북 혁명’으로 불릴 만큼 페이스북의 영향이 크다고 알려졌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리비아의 경우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후 무아마르 카다피가 국가 통신망을 약화시켰지만 시위는 성공하였다. 또한 시리아도 마찬가지로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