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정용욱 · 역사
547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약어일람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과제와 방법 3. 이용자료 제Ⅰ부 조우 1 태평양전쟁기 미국의 대한(對韓)구상과 점령정책의 준비 1. 현자들, 밑그림을 그리다: 미국의 전후구상과 한국 2. 군인들 선을 긋다: 한반도 분할점령안 2 미국의 대한인(對韓人) 정책과 한인 독립운동 1. 미국의 전략정보 수집: 한국에 관한 정보가 조직되다 2. 미국인 관리와 한국인 혁명가 3. 한인 독립운동에 대한 미국의 평가와 대응 제Ⅱ부 점령의 파열음 3 미국의 초기 점령정책과 미군정의 과도정부 수립계획 1. 국무부의 초기 ‘대한기본지령’(對韓基本指令) 2. 미군정 통치방침과 과도정부 수립계획 3.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과 ‘조선임시정부’안 4 신탁통치 파동과 미군정 1. 군인과 저널리즘, 그리고 여론공작: 3상회의 결정 왜곡보도의 전말 2. 박헌영·존스톤 기자회견 사건 3. ‘장군 멍군’: 타스통신 보도 4. 이승만과 미군정, 임정의 반탁입장 5. 신탁통치 파동의 역사적 성격 5 미소공동위원회와 민주의원 1. 미소공동위원회에 임하는 미국의 입장 2.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3. 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경과 제Ⅲ부 개혁과 개량 사이 6 미국의 과도정부 구상과 중간파 정책 1. 과도정부 수립 구상의 형성 2. 중간파 정책의 형성과 그 성격 3. 미군정 ‘중도정책’의 성격과 추진세력 7 입법의원과 중간파 정책의 귀결 1. 좌우합작운동과 남조선과도입법의원 2. 이승만의 방미와 단독정부안 선전 3. 반탁운동의 재연과 미군정의 「정치발전계획」 4. ’남조선과도정부’ 설치에 대한 한국인 정치세력의 대응 제Ⅳ부 대비책을 찾아서 8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과 단정안의 현실화 1. 미소공위 재개 교섭과 1947년 봄 워싱턴의 철군논의 2. 미국의 회담방침 변화와 2차 미소공동위원회 9 미국의 남한 단정수립 대책 1. 한국문제의 유엔이관 2. 철군논의 재연의 의미 3. 점령정책의 최종 조율: 웨드마이어 사절단의 방한 결론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