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부. 기획이란 무엇인가
말에는 공통성은 있어도 동일성은 없다 / 17
논리의 출발은 용어의 정의로부터 시작한다 / 21
용어의 정의에는 두 가지 확고한 기준이 있다 / 26
비즈니스맨이라면 용어 정의 방법 2가지를 알아야 한다 / 30
기획이란 무엇을 왜 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 35
문제와 문제점을 혼용하면 시간이 낭비된다 / 39
목적과 목표를 구분 못하면 쓸 데 없는 일을 하게 된다 / 43
사실과 의견을 구분 못하면 “그건 네 생각이고”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 47
팩트는 현상·원인·배경에 관한 정보 세 가지 뿐이다 / 52
기획서의 기본구조는 클라이언트·컨셉·플래너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 55
기획의 프로세스는 무엇을 기획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 58
2부. 문제해결형 기획의 프로세스와 방법론
기획의 출생증명을 위해 정보를 수집한다 / 63
목적을 명확화 하는 데는 브레이크스루 씽킹이 최고다 / 68
제목을 잘못 잡으면 한 페이지도 못 넘기고 깨진다 / 73
클라이언트 블록을 명확화 할 때 실무자의 생각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 79
컨셉 블록부터 실무자의 의도와 생각이 들어간다 / 89
현상과 배경을 분석할 때는 가급적 피라미드 구조로 한다 / 95
So What은 실무자, Why So는 경영자의 사고방식이다 / 103
3은 단순한 것의 마지막이면서 복잡한 것의 시작인 숫자다 / 117
현상과 배경을 분석할 때는 MECE로 중복과 누락을 없앤다 / 123
배경분석·현상분석·기획과제는 연역과 귀납의 상호보완체계를 이루어야 한다 / 131
기획과제를 명확화한 후 기획의 논리적인 스토리를 만든다 / 144
컨셉은 기획에서 접착제와 꼬치구이 역할을 수행한다 / 147
정보관리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비축한다 / 159
해결책을 찾을 때는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한다 / 165
액티비티 별로 마감날짜를 정해야 절박감이 생긴다 / 172
스케줄을 완성했으면 돌발사태에 대비한 계획을 세운다 / 178
오른손잡이가 무의식중에 왼손으로 식사를 하려면 피나는 연습이 필요하다 / 183
3부. 가설검증형 기획의 프로세스와 방법론
가설은 현 시점에서의 결론이다 / 189
가설검증력은 비즈니스맨의 가장 강력한 무기다 / 195
가설검증 방법은 실험·토론·분석 세 가지다 / 200
가설검증의 기본도구는 이슈트리다 / 207
현장확인을 통해 가설을 진화시켜 기획과제를 명확화 한다 / 221
컨셉 하에서 하우트리로 해결책을 완성한다 / 232
가설검증 프로세스를 한 장으로 정리한다 / 238
가설검증력은 CEO의 직관력으로 발전한다 /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