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균형잡힌 시각에서 쓰여진 라틴아메리카의 전체 역사!! 『라틴아메리카의 역사』(A History of Latin America)는 1980년 『간략한 라틴아메리카의 역사』(A Short History of Latin America)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간된 이래, 오늘날까지 30여 년 동안 아홉 번의 개정을 거치면서 꾸준히 읽히고 있는 권위 있는 라틴아메리카 역사 입문서이다. 이 책은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라틴아메리카 대륙에서 벌어진 역사 전체를 포괄적이면서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깔끔한 구성과 평이한 문체로 쓰여져 있어 독자들이 복잡하고 광범위한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각 장의 초입에 제시되고 있는 각 장의 핵심문제와 간략한 연표, 그리고 풍부한 도판과 지도 자료 역시 독자들이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접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렇게 독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폭넓고 균형잡힌 시각에서 쓰여졌다는 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 책의 주저자인 벤자민 킨은 에스파냐 인들에게 희생된 인디오 문명, 즉 ‘패자들의 관점’에서 신·구 세계의 ‘만남’을 살펴야 하며, 인디오들에 대한 에스파냐 인들의 잔혹한 착취와 파괴를 고발한 당대의 소수 에스파냐 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러한 킨의 시각은 이 책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킨은 이 책에서 유럽과 미국의 5세기에 걸친 착취와 불평등 무역, 즉 ‘중심부 국가들에 의한 종속화’라는 ‘종속이론’적 시각을 통해 라틴아메리카의 저개발 상태를 진단하면서 라틴아메리카 민중을 가난과 억압 속으로 몰아넣은 중심부 국가들에 대한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마지막 장을 특별히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영향을 다루는 데 할애하고 있는 것은 상징적이다. 하지만 이 책은 초국가적인 요인과 제도적 권력 구조를 강조하면서, 모든 형태의 민중 저항을 대수롭지 않게 만드는 ‘고전적 종속이론’과 달리, 내부의 계급투쟁, 인종투쟁, 젠더투쟁, 종족투쟁, 이익집단투쟁이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발전 과정에서 중대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또한 실증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이 책에서는 여성을 ‘최후의 식민지’로 보는 페미니즘 이론을 취하면서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에서 여성들이 행한 역할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여성들은 무임금 혹은 저임금 노동, 극도의 빈곤, ‘구조적인 예속과 종속’에 고통받아 왔고, 고용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하면서는 직장과 가정에서의 이중의 착취에 시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라틴아메리카의 여성들이 수동적인 희생자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이 책은 그들이 생산과 재생산에서 라틴아메리카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독립과 사회운동에서도 중요하고도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여러 사례를 들어 보여 주고 있다. 벤자민 킨과 키스 헤인즈가 이 책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또 한 가지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저자들은 라틴아메리카의 발전을 증진한다는 명목으로 시작된 신자유주의 정책들이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위기의 악화, 중심부 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한 종속의 심화만을 불러왔다고 비판하면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서의 좌파 정권들의 집권(분홍 물결)과 쿠바의 사회주의적 모델의 가능성과 추이를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