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단편집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소설
15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4(33명)
0.5
5
평가하기
4.4
평균 별점
(33명)
코멘트
더보기

'지식을만드는지식 소설선집'.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사상적 흐름을 읽을 수 있도록 전.중.후기의 대표 작품 세 편을 실었다. 자신의 딸이 화마에 휩싸인 순간에도 그림에만 몰두하는 지독한 열정의 화가 요시히데와, 파업을 일으킬 경우 모두 죽여 그 고기를 먹어버리는 '갓파' 세상의 모습 등을 통해, 그의 뛰어난 예술적 상상력과 패러디 정신을 확인할 수 있다. 그가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신인 문학상의 이름으로 회자되며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별점 그래프
평균 4.4(33명)
0.5
5

저자/역자

코멘트

5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지옥변(地獄變) 무도회(舞踏會) 갓파(河童)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사상적 흐름을 읽을 수 있도록 전·중·후기의 대표 작품 세 편. 자신의 딸이 화마에 휩싸인 순간에도 그림에만 몰두하는 지독한 열정의 화가 요시히데와, 파업을 일으킬 경우 모두 죽여 그 고기를 먹어버리는 ‘갓파’ 세상의 모습 등을 통해, 그의 뛰어난 예술적 상상력과 패러디 정신을 확인할 수 있다. 그가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신인 문학상의 이름으로 회자되며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옥변(地獄變)>(1918)은 전기의 대표작이다. 이 시기는 일본의 고전에서 제재를 얻어와 패러디하는 작품이 대부분이다. 이 작품도 일본 중세(13세기 초) 설화집 ≪우지슈이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에서 제재를 따왔지만, 한편으로 보면 젊은 아쿠타가와 자신의 예술가선언이라 할 수도 있다. 예술과 인생과 정치권력의 삼자 대립 구도를 설정하여, 예술적 승리를 구가하는 예술가의 장엄한 삶을 재창조하고 있다. 자연주의 전성기에 데뷔하여 기성 비평가에게 적지 않게 비판을 받기도 했던 작가의 초기 예술관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예술의 승리인가 패배인가의 문제, 딸과 영주와 아버지의 욕망의 삼각구도에 대한 정의, 그리고 딸을 범한 자가 영주인가 아버지인가에 대한 답도 주어져 있다. 아쿠타가와는 자살 직전의 자전적 단편 <하구루마(?車, 톱니바퀴)>에서 주인공 요시히데(良秀)를 떠올리며 다시 한 번 자신의 삶을 중첩시키고 있다. <무도회(舞踏會)>(1920)는 중기의 대표작으로 두 가지 관점에서 읽을 수 있다. 하나는 예술과 생활의 이항대립적 구도를 지양하고자 하는 진지한 고민이 결말 부분의 찰나적 폭죽에 투영되어 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무도회장과 아키코(明子)라는 인물은 다름 아닌 서구 근대를 그대로 모방하는 일본 근대를 희화화한 것이라는 점이다. 아쿠타가와가 <지옥변>과 같은 예술지상주의적 태도를 서서히 지양하는 과도기적 작품 중 하나이자, 중기에 집중적으로 보이는 개화물(開化物)로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프랑스 장교는 실존하는 인물로, 그의 일본 체험을 통해 나온 문장들을 참고하여 완성한 귀여운 단편 중 하나다. <갓파(河童)>(1927)는 작가 스스로가 ‘걸리버풍 이야기’라고 고백하고 있듯이, 여러 서구 문학의 수용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하지만 걸리버 유의 작품들이 가지는 풍자성을 넘어서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 근대 지식인으로서의 고립적 삶과 죽음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었던 자의식의 도식을 상징적으로 묘출한, 자살 직전의 유서 같은 작품이다. 근대 지식인들의 예술과 인생을 일본 고유의 민속학적 모티프인 갓파(河童)에 빗대어 그리고 있다. 수직적으로 하강하는 지하세계를 이루고 있는 갓파의 나라는 근대 지식인의 인식 세계라 할 수 있으며, 그 지하세계를 모르는 표층적 인간 나라는 다름 아닌 상식을 바로미터로 하여 살아가는 일상적 세계의 상징인 것이다. 갓파를 보느냐 보지 못하느냐에 따라 광인과 동물의 대립성이 설정되는 것은, 중국 근대소설 루쉰(魯迅)의 <광인일기(狂人日記)>와 유사한 면이 있다. 갓파를 보지 못하는 자가 동물도 아니거니와 갓파를 본 자가 광인도 아니라는 이중 부정에서 상통하는 면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적인 니힐리즘으로 맺고 있다는 점에서는 상이하다. 이 작품은 인물들의 이름이나 여러 설정들을 퀴즈를 풀듯이 읽을 수 있는 재미있는 작품이다. 이 책은 번역의 원전으로 1987년 이와나미서점(岩波書店)판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전집(芥川龍之介全集)≫을 사용했다. [인터뷰] 김명주가 옮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단편집≫ 인간이 인간임을 잊었을 때 응징의 불꽃이 속세의 모든 어둠을 태워 빛을 내는 곳, 거기는 지옥이다. 요시히데는 불세출의 화가, 영주는 지옥을 그리라 명령하고 화가는 지옥을 봐야 한다고 맞선다. 둘은 지상에서 지옥을 만든다. 딸을 불 지르고 화염은 인간을 마취한다. 그림은 남아 명작이 되었다. 지옥은 더욱 선명한 지옥이 되었다. “요시히데, 이 밤 그대가 원하는 대로 가마에 불을 질러주겠노라.” 영주님께서는 이리 말씀하시고 옆에 있는 자들을 곁눈질로 바라보셨습니다. 그때 영주님 곁에 있던 사람들이 뭔가 회심의 미소를 주고받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건 제 기분 탓일지도 모릅니다. 그러자 요시히데는 쭈뼛쭈뼛 머리를 들어 마루 위를 올려다보았지만 역시 아무 말 없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잘 보아라, 그건 내가 평소 타던 가마다. 그대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나는 그 가마에 불을 질러 바로 눈앞에서 염열지옥을 보여줄 작정이다만….” 영주님께서는 다시 말씀을 멈추시고 옆에 있는 자들에게 눈짓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심기가 불편한 듯한 목소리로 “그 속에는 죄지은 시녀가 하나 묶인 채 타고 있다. 그러니 가마에 불을 지르면 필시 그 여자는 살이 타고 뼈가 타들어 단말마의 최후를 맞게 될 것이다. 그대가 병풍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본보기가 될 게다. 하니 눈 같은 피부가 타 내리는 것을 외면하지는 말아라. 검은 머리가 불티가 되어 날아오르는 것을 잘 봐두어라.” 영주님께서는 세 번 입을 굳게 다무셨습니다만, 뭘 생각하셨는지 이번에는 그냥 어깨를 들썩이며 조용히 웃으시다가, “후세에 두고두고 보기 힘들 구경거리일 게야. 나도 예서 구경하고 있으마. 이봐! 발을 올려 요시히데에게 안의 여자를 보여주도록 하라!” 분부를 받든 하인 하나가 한 손에 횃불을 높이 치켜들고는 성큼성큼 가마에 다가가 단번에 다른 한 손을 뻗어 발을 확 젖혔습니다. 큰 소리로 타고 있는 횃불의 불빛은 한동안 벌겋게 흔들리면서 금세 좁은 가마 속을 훤하게 밝히고, 무참히 쇠사슬에 묶여 바닥 위에 있는 여자는?아아 어느 누구로 오인할 수 있겠습니까? 화려한 자수가 놓인 분홍색 당의 위로 늘어뜨린 긴 검은 머리채가 아리땁게 드리워져 조금 기울어진 황금 비녀도 아름답게 빛나 보였고 차림새야말로 달랐지만 아담한 몸매나 하얀 목덜미 언저리는, 더욱이 쓸쓸할 정도로 조신한 옆얼굴은 요시히데의 딸임이 분명했습니다. 저는 하마터면 소리를 지를 뻔했습니다. 그때입니다. 저와 마주하고 있던 무사는 급히 몸을 일으키며 칼자루를 한 손으로 잡은 채 정색하고 요시히데 쪽을 노려보았습니다. 놀라 바라보니 그 남자는 그 광경에 반쯤은 정신을 잃었겠지요. 지금껏 밑으로 웅크리고 있던 사람이 갑자기 일어서자마자 양손을 앞으로 내민 채 가마 쪽으로 무의식중에 뛰어가려고 했습니다. 다만 공교롭게도 앞에서도 말씀드린 대로 먼발치에서 얼굴 표정은 잘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사색이 다 된 요시히데의 얼굴이, 아니 마치 어떤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공중에 끌려 올라간 것 같은 요시히데의 모습이, 갑자기 어둠을 가르며 뚜렷이 눈앞에 떠올랐습니다. 딸을 태운 가마가 이때 “불을 지르라”는 영주님의 말씀과 함께 하인들이 던지는 횃불을 받아 타오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불길은 순식간에 가마를 휘감았습니다. 가마 처마 끝에 달려 있던 보라색 장신구용 방울 술이 부채질을 한 듯이 날리자 그 아래에서 자욱하게 밤눈에도 허연 연기가 소용돌이치며 혹은 발, 혹은 양옆, 혹은 용마루의 금속 도구가 순식간에 타서 날아가 버리고 말 것인가 할 정도로 불티가 비처럼 날리는 그 기세란 새삼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아니 그보다도 활활 혀를 날름거리며 옆 창틀에 휘감기어 공중 중간쯤 타오르는 격렬한 화마는 마치 해가 땅에 떨어져 번갯불에 의한 불길을 용트림하며 내뿜는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앞에서는 하마터면 소리를 지를 뻔했던 저도 이제는 넋이 나가 그저 망연자실하여 입을 벌리고 그 무서운 광경을 바라볼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아비인 요시히데는? 요시히데의 그때 표정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무의식중에 가마 쪽으로 달려가려던 그 남자는 불이 붙자 동시에 발길을 멈추고 역시 손을 뻗은 채 뚫어질 듯한 눈빛으로 가마를 휘감는 화염을 빨려 들어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5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