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인문학 입구에서 망설이는 그대에게 1부 상상력이 인문학의 첫걸음이다 인문학의 힘 우리를 주눅 들게 하는 인문학 왜 인문학이 필요한가 인문학에 대한 편견부터 없애자 인문학은 생활이다 일상 가까이에 인문학이 있다 인문학이 어떻게 일상에 적용되는가 인문학적으로 생각의 지평을 확장한다는 것 인문학은 상상력에서 시작된다 - 장자 《장자》 상상력은 현실에 밀착한 꼼꼼한 관찰에서 시작된다 존 레논의 <이매진>과 인문학적 상상력 《장자》, 마르지 않는 인문학적 상상력의 샘 물고기의 즐거움을 아는가 이성과 논리로 보는 혜자의 눈 마음으로 보는 장자의 눈 인문학적 상상력을 방해하는 적들 - 마르쿠제 《일차원적 인간》 인문학에는 천재가 없다 통념과 관성을 강요하는 사회를 고발하다 첫 번째 장애물: 소비 중독 두 번째 장애물: 합리성 중독 세 번째 장애물: 미디어 중독 2부 나를 돌아보는 시간 나는 누구인가 - 플라톤 《파이돈》 가장 생뚱맞은 말 “너 자신을 알라!”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인간의 본질 몸이 진정한 자신일 수 있는가 몸에 기초한 감각은 우리를 속인다 순수한 영혼을 통한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라 과연 육체에서 분리된 정신이 곧 인간의 본질일까 나는 악한 존재인가 - 마키아벨리 《군주론》 인간은 악하다는 가르침들 마키아벨리, 악한 인간 본성을 말하다 은혜를 모르고 변덕스러우며 위선적인 인간 인간의 악마성을 만나다-<눈먼 자들의 도시> 악한 본성론의 문제는 억압의 정당화에 있다 나는 왜 항상 불안한가 - 키에르케고르 《불안의 개념》 현대인은 불안을 끌어안고 산다 불안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 인간은 불안에서 달아날 수 없다 현대사회는 왜 불안이 만연해 있나 복잡해진 현대사회의 새로운 불안 양상 불안은 능동적인 역할을 한다 나는 내 마음의 주인인가 - 프로이트 《꿈의 해석》 내가 생각하는 내가 진정한 자신일까 무의식의 세계를 그리다-<인셉션> 당신은 무의식에 지배당하고 있다 꿈은 중요한 심리적 행위다 꿈은 성적인 퇴행 과정이다 3부 삶과 죽음 그리고 행복 어떻게 살 것인가 -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우리는 왜 대박의 꿈에 집착하는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 소유할 것인가, 존재할 것인가 소유를 통한 자아 정립은 결국 실패한다 존재하라, 보다 적극적으로 존재로서의 삶을 사는 법 죽음은 두려움의 대상일 뿐인가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당신은 죽음을 얼마나 생각하는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적극적인 질문, 버킷리스트 죽음에 대한 생각이 철학의 입구다 우리는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 관성의 삶은 순종을 부른다 죽음을 생각할 때 비로소 삶이 열린다 감정과 성격이란 무엇인가 - 아들러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우울이라는 감정과 성격 왜 우울증이 증가하는가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우울증 성장 과정에서 형성된 열등감이 감정과 성격을 만든다 열등감은 성격 장애를 불러온다-<아마데우스> 부모의 취약한 협동이 아이의 열등감을 만든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전부가 아니다 광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미셀 푸코 《광기의 역사》 광기가 예술이 된 사람, 고흐 광기의 역사는 권력과 맞닿아 있다 전통사회에서 광인은 직접 대면하는 현실의 일부였다 이성이 비이성으로서의 광기를 정복하는 사회 광기는 인간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이다-<소돔의 120일> 광기를 인정하면 자유가 온다 4부 관계 안의 인간<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