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저자의 말 프롤로그: 호르몬의 짧은 역사 1 인간의 탄생은 배 속이 아니라 뇌에서 시작한다―임신과 출산 호르몬이 없으면 새 생명도 없다 ? 스트레스는 대를 이어 해로운 영향을 줄까? ? 임신테스트기에 두 줄이 뜨고 나면 ? 자연이든 인공이든 임신은 쉬운 일이 아니다 ? 태아의 성별에 따른 변화 ? 여성 교황이 정말로 존재했을까? ? 엄마의 식욕이 왕성하면 남자아이라고? ? 출산이라는 마지막 허들 ? 편두통 환자는 임신 중에 증상이 덜하다? ? 산후우울증이 뒤따르는 이유 ? 아빠의 입덧 2 앞으로의 삶을 결정할 위대한 도움닫기―영유아기 무해한 소사춘기인가, 호르몬에 의한 조기사춘기인가 ? 점점 흔해지는 어린이 유방 발달 ? 어릴수록 플라스틱 물질이 위험한 이유 ? 남아의 생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정체성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는 기회 ? 인형놀이가 더 재밌는 것도 호르몬 때문일까 ? 왜 남아의 자폐증 발병 확률이 더 높을까 ? 부모가 몰랐던 골든타임 3 성장호르몬부터 사랑의 설렘까지―사춘기 사춘기의 시작이 점점 빨라진다 ? 반항은 본성일까, 양육 방식의 차이일까 ? 키스만으로 만족할 수 없는 이유 ? 역사 속 거인들의 이야기 ? 잘 자고 잘 먹는 게 정답인가요? ? 심리적 스트레스가 성장을 둔화시킨다 4 호르몬이 결정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젠더와 섹슈얼리티 남자가 여성이고, 여자가 남성이라면 ? 전 세계 헤드라인을 장식한 성전환 수술 ? 트랜스젠더의 뇌는 무엇이 다를까 ? 동성애자의 뇌는 무엇이 다를까 ? 성적 지향에 관한 여러 가설들 5 우리 뇌는 배고픔에 어떻게 대처할까?―식욕과 체중 조절 과체중과 수면 부족의 악순환 ? 때로 ‘살’은 ‘의지’의 문제가 아니다 ? 배고픔, 생명의 가장 오래된 욕구 ? 내 몸속의 언제든 까먹을 수 있는 도시락 ? 배고플 때 중요한 결정을 내리면 안 되는 이유 ? 풍요의 시대가 가져다준 빈곤 ? 당신은 그 체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 에너지 공급량 vs 소비량 ? 과체중을 막는 호르몬 제동기 ? 인슐린 저항성이 위험한 이유 ? 고칼로리 음식은 왜 하필 맛있게 느껴질까 ? 기발한 뇌가 복잡한 식습관을 만든다 ? 위절제수술이 도움이 되는 사람들 6 장 속, 보이지 않는 동반자들의 활약―장내미생물 “모든 질병은 장에서 발생한다” ? 내 장 속에 뭔가가 살고 있다고? ? 대변 이식이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엄마가 전해준 건 사랑뿐이 아니다 ?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 7 스트레스가 당신을 소리 없이 망가뜨릴 때 _성인기 “우울하고 무기력해요… 그런데…” ? 갑상샘과 부신에 주목하라 ? 신체의 보일러 조절하기 ? 갑상샘에 관한 짧은 역사 ? 스트레스가 우리 몸의 균형을 깨뜨리면 ?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호르몬 ? 매일 요가를 하는 사람의 혈당이 더 낮다 ? 운동선수들이 테스토스테론을 찾는 이유 8 성호르몬 감소가 노화를 가속화한다―갱년기 악명 높은 열성홍조와 다한증 ? 언제부터 갱년기를 ‘질병’으로 보았을까 ? 폐경 이후를 황금기라고 하는 이유 ? 합성 에스트로겐 섭취는 괜찮을까 ? 피임약이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 인간의 폐경기는 ‘최적기’를 찾았다 ? 불임과 폐경 이후의 임신 ? 남성과 여성의 갱년기는 어떻게 다를까 ? 테스토스테론은 만능 호르몬이 아니다 9 건강한 노후를 위한 새로운 호르몬 균형―노년기 부부의 얼굴이 서로 닮아간다고 말하는 이유 ? 주름은 나이를 속이지 못한다? ? 할머니는 힘이 세다 ? 갱년기 이후 찾아온 두 번째 변성기 ? 남성의 몸이 표준일 때 생기는 문제 ? 나이 들수록 살 빼기 힘든 이유 ? 새로운 젊음을 향해 ? 호르몬에도 ‘때’가 있다 ? 살짝 부족하다 싶을 때 숟가락을 놓아라 10 당신은 스스로 몇 살이라고 느끼는가―삶의 질과 호르몬 회춘의 묘약은 과연 존재할까 ? 삶의 박자를 정하는 시상하부 ? 줄기세포, 호르몬, 노화 과정 ? 생체나이와 달력나이 ? 불면의 밤을 보내고 있다면 ? 운동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체취로 나이를 가늠할 수 있는 이유 ? 식욕과 소화 호르몬의 변화 ? 수명 연장에 대한 연구 ? 죽지 않는 불멸의 세포가 말해주는 것 ? 설탕, 우리의 수명을 갉아먹다 ? 진료실 밖에서 우리가 해야 하는 일 에필로그: 미지의 세계 너머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것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