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들어가는 글 우연과 필연: 다섯 가지 만남의 풍경들 공공프로젝트 1. 전환기의 면사무소 1. 안성땅을 꿈꾸다 2. 진도리마을회관: 절반의 성공 3. 안성면 주민자치센터: 주민이 원하는 건축 4. 적상면 주민자치센터: 관계 맺기 5. 부남면 주민자치센터: 마을의 질서/하늘의 질서 6. 무풍면 주민자치센터: 벌판에 서 있는 풍경 공공프로젝트 2. 사람의 삶, 자연의 삶 1. 공설운동장: 감응 2. 무주군청과 뒷마당 리노베이션: 반복과 차이 3. 무주시장 현대화프로젝트: 새로운 호흡, 시대가 원하는 건축 공공프로젝트 3. 건축의 총체적 접근 1. 청소년수련관: 풍경과 집합 2. 청소년문화의집: 해를 좇는 새 3. 곤충박물관과 자연학교: 곤충과 공생 4. 향토박물관: 신성한 땅, 땅이 원하는 건축 5. 천문과학관: 백운산 줄기에 낀 반지 6. 버스정류장: 존재와 풍경 공공프로젝트 4. 농촌의 문제인가 1. 농민의집: 준비되지 않은 미래 2. 된장공장: 새로운 도전 3. 전통문화공예촌: 펼쳐진 속도 공공프로젝트 5. 지속 가능한 사회 1. 보건의료원 리노베이션: 이별의 공간에서 만나는 마지막 풍경 2. 종합복지관: 평등한 사회, 사회가 원하는 건축 3. 노인전문요양원: 따로 또 같이, 내집같은 공간에서 4. 무주 추모의 집(무주공설납골당): 영혼을 위한 밝은 집 나오는 글 1. 새로운 사회적 의제 : 성찰적 한국(meta. Korea) 2. ‘무주’를 말하다 1: 단순한 사례인가, 의미 있는 참조인가(좌담) 3. ‘무주’를 말하다 2: 주민과 주인 사이(군민들의 이야기) <감응의 건축> 발간에 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