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한국의 극우를 만나다
1장 비상계엄이 선포된 날: 극우화된 한국사회의 민낯
12·3 비상계엄 | 극우 세계관 | 극우의 주도권 | 1·19 폭동
2장. 극우세력을 통치에 활용한 정부: 뉴라이트와 어버이연합
“잃어버린 10년” | 보수의 귀환 | 뉴라이트의 이념 지향 | 극우의 등장 | 민주체제의 퇴락
3장. 박근혜 스캔들과 시민의 저항: 한국 민주주의의 전환점
2016년 박근혜 스캔들의 시작 | 최순실은 누구인가 | 박근혜 지지율 5%대로 추락 | 촛불집회가 시작되다
4장. 촛불집회 VS 친박집회: 태극기부대의 탄생
촛불집회, 박근혜를 몰아내다 | 친박집회, 박근혜를 지키기 위해 모이다 | 박근혜 파면, 분노한 시위대
5장. 태극기부대, 그들은 누구인가: 극우세력의 궤적
극우 조직, 태극기부대로 재편 | 태극기부대의 여러 모습들: 대한애국당(현 우리공화당), 사랑제일교회, 일파만파, 태극기혁명국민운동본부, 활동가들-서울역 앞 노년 여성, 활동가들-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 앞 노년 남성
6장. 한국 극우의 사상: 변하지 않는 그들만의 신념
박씨 가문 | 권위주의 옹호와 법치주의 경시 | 반공 | 친미
7장. 누가 극우인가: 유럽 극우와 한국 극우의 같은 점과 다른 점
‘극우’의 의미 | 유럽의 극우 | 한국의 극우 | “반공세력이 곧 우리 민족” | 극우와 비슷한 한국 우파의 특징
8장. 무엇이 그들을 태극기부대로 만들었나: 극우의 성장 배경
정치적 고립 | 경제적 고립 | 태극기부대의 조직력 | 그들만의 소통 창구 | 그들만의 시위 문화, 그리고 유튜브
9장. 한국 극우의 새로운 흐름: 청년 남성의 등장과 중국 혐오
반중 정서 | 극우에 청년들이 모이는 이유 | 이대남의 불만 | 세계적 극우 흐름
맺는 글: 우리는 길을 만들 수 있을까
윤석열과 극우의 부활 | 한국사회의 숙제 | 한국사회의 희망
참고문헌